• 제목/요약/키워드: Bankart lesion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60세 이상 환자에서 발생한 외상성 견관절 전방 탈구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 하종경;유재두;박성필;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42-49
    • /
    • 2006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clinical results, and recommended treatment protocol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the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ith first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ged over 60 years were included. The average age was 69.4 (range, 60 to 87 years). There were 8 men (average age of 71.6) and 30 women (average age of 69). Most common cause of injuries was a fall on the outstretched hand. The additional injuries were evaluated using MRI or CT arthrogram in the patients with significant pain and weakness while movements after 2 weeks sling immobilization. Results: Fifteen patients (39%) had rotator cuff tears and 5 patients (14%) had greater tuberosity fractures. The sizes of rotator cuff tears were diverse; 2 partial tears, 1 small tear, 4 medium tears, 3 large tears and 5 massive tears. Among 5 massive cuff tears, 3 patients revealed cuff arthropathy after reduction. 4 patients (11%) had recurrent dislocation more than one time during 1 month after the first dislocation. Bankart lesions revealed in 5 patients and three of them had associated rotator cuff tears. 3 out of 5 patients with Bankart lesions, 13 out of 15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3 patients with displaced greater tuberosity fracture had operations. Conclusion: The injury mechanism of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seems to have either anterior or posterior mechanism. The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be approached 2 weeks after dislocation.

Outcomes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anterior instability with greater than 20% glenoid bone defects: are Latarjet procedures absolutely indicated for these patients?

  • Kim, Sae Hoon;Jung, Whanik;Rhee, Sung-Min;Kim, Ji U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2호
    • /
    • pp.62-70
    • /
    • 2020
  •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high rates of recurrence of shoulde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greater than 20% after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failure rate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instability in the presence of glenoid bone deficits >20%. Methods: Retro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case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nd glenoid bone defects of >20% that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with a minimum 2-year follow-up (30 cases). We included the following variables: age, bone defect size, instability severity index score (ISIS), on-/off-track assessment, incidence recurrent instability, and return to sports. Results: The mean glenoid bone defect size was 25.8%±4.2% (range, 20.4%-37.2%), and 18 cases (60%) had defects of >25%. Bony Bankart lesions were identified in 11 cases (36.7%). Eleven cases (36.7%) had ISIS scores >6 points and 21 cases (70%) had off-track lesions. No cases of recurrent instability were identified over a mean follow-up of 39.9 months (range, 24-86 months), but a sense of subluxation was reported by three patients. Return to sports at the preinjury level was possible in 24 cases (80%), and the average satisfaction rating was 92%. Conclusions: Arthroscopic soft tissue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for treating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mong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20%, even enabling return to sport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determining the range of bone defect sizes that can be successfully managed by soft tissue repair.

수술 후 재발한 견관절 불안정증의 치료 (Revision after Instability Surgery)

  • 김신일;조현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74-382
    • /
    • 2020
  •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불안정성의 재발이다.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 후 불안정증 재발의 원인은 주로 외상, 부정확한 진단 및 술기상의 문제 등이 있으며 재발률을 높이는 위험인자로는 환자 요인과 해부학적 원인, 기술적 요인이 있다. 수술 실패의 원인을 세심한 병력 청취와 이학적 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으로 파악하여 원인 병변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수술 후 재발한 불안정증은 우선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경우 Bankart 병변의 파열, 관절막의 이완,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결손에 따른 올바른 적응증을 가지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가능한 해부학적 복원을 시행하여야 재발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양측 견관절에 발생한 전방 불안정성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이용걸;조남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2호
    • /
    • pp.181-185
    • /
    • 2001
  • Purpose: We reviewed the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o evaluate the final outcomes and influencing factors that had effect on the fin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of the bilateral shoulder instability underwent the operative treatment and 15 patients could be followed up average 29 months. There were Bankart lesions in 28 cases and 46% retracted markedly onto the medial side of the glenoid neck. Capsular redundancy could be seen in 50%, but the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in only two patients. We performed open Bankart repair in 21 cases and arthroscopic repair in 9 cases. Inferior capsular shift was performed in 12 cases of 15 cases in patients who was shown the capular redundancy. Results: The average increment of the forward flexion was 4° postoperatively but the average decrement of the external rotation was 6° postoperatively. Afte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surgery, there were significantly the decrement in external rotation by 13° even though the forward flexion was at the same level comparing with preoperative motion. There were 13 cases(43%) in excellent result, 14 cases(47%) in good and 3 case(l0%) in poor. Rowe score improved from 53 to 87.3 postoperatively. Conclusion : Re-establishing a proper capsular tensioning in a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critical to ultimate success because there was a redundant laxity in a half and majority of them had marked retraction of an antero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complex. Especi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n unexpected limitation of external rotation could be occurred in the inferior capsular shift surgery.

  • PDF

전간 발작과 관련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Bankart봉합술 - 2예 보고 - (Arthroscopic Bankart Repair for Post-seizure Anterior Instabilities of Shoulder - 2 Cases Report -)

  • 문영래;양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98-101
    • /
    • 2009
  • 목적: 본 증례 보고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는 간질 발작과 동반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발견되는 골병변을 기술하고 고빈도의 재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전간 발작과 동반된 2례의 재발성 전방 탈구를 경험하였으며 본 증례 통하여 일반적인 재발성 견관절 탈구에 준하여 치료하면서 정기적으로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본 두 증례에서 수술의 경과는 전간 발작의 조절 여부에 따라 경과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즉 간질 조절이 잘된 환자에서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발작이 조절되지 않은 전방 불안정성의 경우 결국 재발성 탈구가 유발되게 되었다. 결론: 전간 발작과 동반된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경련 조절이 필수적인 인자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One Anchor Double Fixation (OADF) Technique for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배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10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 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40세 이상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관절내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연구 (Arthroscopic Evaluation on Intra-Articular Pathology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ged Over 40 Years)

  • 민우기;김주은;조환성;김풍택;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목적: 40대 이상의 환자의 외상성 견관절 재발성 전방 탈구에서 관절 내 병변 구조물을 조사하고, 그 발병 기전 및 향후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임상적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 당시 나이가 40세 이상인 16명의 환자 (평균 나이 52.7세)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와 순, 관절막, 회전근 개, 골병변 등의 관절 내 구조물에 대한 관절경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한 16례의 모든 환자들에서 상완 골두의 Hill-Sachs 병변이 보였으며, 골성 Bankart 병변 3례 (19%), 관절와 순 파열 6례 (38%), 관절막 파열은 15례 (94%)에서 발견 되었다. 12례 (75%)의 환자에서 극상건 파열이 발견되었고, 견갑하근 파열은 5례 (31%)에서 발견되었다. SLAP 병변은 1례 (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40세 이상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와 달리, 장년층 이상의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손상에 대한 수술 전 대비가 요구된다.

Iliac Bone Graft for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 Ko, Sang-Hun;Cho, Yun-Jae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4호
    • /
    • pp.190-193
    • /
    • 2014
  •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a debilitating condition that is relatively uncommon, but its diagnosis in young adults is increasing in frequency. Several predisposing factors for this condition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the presence of an abnormal joint surface orientation, an osteochondral fracture of the humeral head or glenoid cavity, and a postero-inferior capsuloligamentary deficit, but their relative importance remains poorly understood. Whilst, conservative treatment is effective in cases of hyperlaxity or in the absence of bone abnormality, failure of conservative treatment means that open or arthroscopic surgery is required. In general, soft-tissue reconstructions are carried out in cases of capsulolabral lesions in which bone anatomy is normal, whereas bone grafts have been required in cases where posterior bony Bankart lesions, glenoid defects, or posterior glenoid dysplasia are present. However, a consensus on the exact management of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yet to be reached, and published studies are few with weak evidence. In our study, we report the reconstruction of the glenoid using iliac bone graft in a patient suffering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evere glenoid bone defect.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분석과 치료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지종훈;박상은;김영율;신은수;박보연;정재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10
  • 목적: 중 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0세 이상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명과 여자 12명으로, 평균 나이는 64.7세 (50~78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22개월 (8~56개월) 이었다. 탈구의 횟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견관절 내 Bankart 병변, 수술까지의 시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 전, 후의 ASES 점수, UCLA점수, SST 점수 및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술 후의 임상결과 및 결과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술 전 30.2점 (${\pm}20.7$)에서 술 후 72.3점 (${\pm}20.3$)으로, UCLA shoulder rating scale은 12.9점 (${\pm}5.2$)에서 26.5점 (${\pm}7.0$)으로. SST 점수는 2.4점 (${\pm}3.3$)에서 7.3점(${\pm}4.2$)으로 향상되었다. 운동 범위는 술 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10.8도 (${\pm}39.3$), 107.7도 (${\pm}40$), 22.5도 (${\pm}17.6$)와 L5 수준에서 술 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53.6도 (${\pm}20.6$), 152.1도 (${\pm}20.8$), 36.4도 (${\pm}22.7$)와 L1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나이와 Bankart 병변의 유무, 탈구 횟수는 수술 후의 결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그러나 파열이 클 수록 임상결과는 좋지 않았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술 후 UCLA 점수와 술 후 SST 점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39, 0.038). 결론: 중 장년 이후에 견관절 탈구 발생시 조기에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방 급성 견열손상 후 발생한 변형된 SLAP Ⅱ손상과 전방 관절순 파열 -증례 보고 1 례- (Possible Development of Modified SLAP Ⅱ and Bankart Lesion After Shoulder Avulsion injury -A Case Report-)

  • 유재철;곽호윤;황승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10-13
    • /
    • 2004
  •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lesions of the shoulder has recently been a popular issue to shoulder surgeons. Now we are correlating many shoulder symptoms to this SLAP lesion. A 45 year-old female patient injured her shoulder when her arm sleeve was entrapped in moving automobile door. A forceful pull of the arm in external and abduction position was suspected. She complained continuous shoulder pain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for 2 months.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ed possible SLAP lesion but no definite diagnosis were made prior to the operation. Arthroscopic evaluation revealed SLAP type Ⅱ lesion with concomitant avulsion of the superior glenoid cartilage. In addition anterior labrocapsular tear was seen from 7 to 9 o'clock of anterior glenoid. The SLAP lesion and the anterior capsulolabral lesion were repaired properly to the glenoid. We report a case of glenoid-cartilage avulsion type of SLAP Ⅱwith anterior labrocapsular le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