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ar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7초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의 Hill-Sachs 병변의 치료에서 Remplissage의 Review (Review in Remplissage o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Huge Hill-Sachs Lesion)

  • 고상훈;이채칠;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34-139
    • /
    • 2011
  • 목적: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을 동반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 하 Remplissage 술기를 고찰하고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관절염이 없고, 견관절 주위의 골절이 없으며, 10회 이상의 재발성 탈구를 경험하였던 환자들 중에, 30~40% 이상의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 및 관절와 골 결손이 20% 미만인 경우를 대상으로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과 함께 Remplissage 술기를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는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0세 이상 환자에서 발생한 외상성 견관절 전방 탈구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 하종경;유재두;박성필;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42-49
    • /
    • 2006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clinical results, and recommended treatment protocol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the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ith first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ged over 60 years were included. The average age was 69.4 (range, 60 to 87 years). There were 8 men (average age of 71.6) and 30 women (average age of 69). Most common cause of injuries was a fall on the outstretched hand. The additional injuries were evaluated using MRI or CT arthrogram in the patients with significant pain and weakness while movements after 2 weeks sling immobilization. Results: Fifteen patients (39%) had rotator cuff tears and 5 patients (14%) had greater tuberosity fractures. The sizes of rotator cuff tears were diverse; 2 partial tears, 1 small tear, 4 medium tears, 3 large tears and 5 massive tears. Among 5 massive cuff tears, 3 patients revealed cuff arthropathy after reduction. 4 patients (11%) had recurrent dislocation more than one time during 1 month after the first dislocation. Bankart lesions revealed in 5 patients and three of them had associated rotator cuff tears. 3 out of 5 patients with Bankart lesions, 13 out of 15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3 patients with displaced greater tuberosity fracture had operations. Conclusion: The injury mechanism of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seems to have either anterior or posterior mechanism. The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be approached 2 weeks after dislocation.

Outcomes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anterior instability with greater than 20% glenoid bone defects: are Latarjet procedures absolutely indicated for these patients?

  • Kim, Sae Hoon;Jung, Whanik;Rhee, Sung-Min;Kim, Ji U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2호
    • /
    • pp.62-70
    • /
    • 2020
  •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high rates of recurrence of shoulde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greater than 20% after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failure rate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instability in the presence of glenoid bone deficits >20%. Methods: Retro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case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nd glenoid bone defects of >20% that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with a minimum 2-year follow-up (30 cases). We included the following variables: age, bone defect size, instability severity index score (ISIS), on-/off-track assessment, incidence recurrent instability, and return to sports. Results: The mean glenoid bone defect size was 25.8%±4.2% (range, 20.4%-37.2%), and 18 cases (60%) had defects of >25%. Bony Bankart lesions were identified in 11 cases (36.7%). Eleven cases (36.7%) had ISIS scores >6 points and 21 cases (70%) had off-track lesions. No cases of recurrent instability were identified over a mean follow-up of 39.9 months (range, 24-86 months), but a sense of subluxation was reported by three patients. Return to sports at the preinjury level was possible in 24 cases (80%), and the average satisfaction rating was 92%. Conclusions: Arthroscopic soft tissue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for treating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mong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20%, even enabling return to sport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determining the range of bone defect sizes that can be successfully managed by soft tissue repair.

수술 후 재발한 견관절 불안정증의 치료 (Revision after Instability Surgery)

  • 김신일;조현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74-382
    • /
    • 2020
  •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불안정성의 재발이다.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 후 불안정증 재발의 원인은 주로 외상, 부정확한 진단 및 술기상의 문제 등이 있으며 재발률을 높이는 위험인자로는 환자 요인과 해부학적 원인, 기술적 요인이 있다. 수술 실패의 원인을 세심한 병력 청취와 이학적 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으로 파악하여 원인 병변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수술 후 재발한 불안정증은 우선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경우 Bankart 병변의 파열, 관절막의 이완,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결손에 따른 올바른 적응증을 가지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가능한 해부학적 복원을 시행하여야 재발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분석과 치료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지종훈;박상은;김영율;신은수;박보연;정재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10
  • 목적: 중 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0세 이상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명과 여자 12명으로, 평균 나이는 64.7세 (50~78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22개월 (8~56개월) 이었다. 탈구의 횟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견관절 내 Bankart 병변, 수술까지의 시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 전, 후의 ASES 점수, UCLA점수, SST 점수 및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술 후의 임상결과 및 결과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술 전 30.2점 (${\pm}20.7$)에서 술 후 72.3점 (${\pm}20.3$)으로, UCLA shoulder rating scale은 12.9점 (${\pm}5.2$)에서 26.5점 (${\pm}7.0$)으로. SST 점수는 2.4점 (${\pm}3.3$)에서 7.3점(${\pm}4.2$)으로 향상되었다. 운동 범위는 술 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10.8도 (${\pm}39.3$), 107.7도 (${\pm}40$), 22.5도 (${\pm}17.6$)와 L5 수준에서 술 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53.6도 (${\pm}20.6$), 152.1도 (${\pm}20.8$), 36.4도 (${\pm}22.7$)와 L1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나이와 Bankart 병변의 유무, 탈구 횟수는 수술 후의 결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그러나 파열이 클 수록 임상결과는 좋지 않았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술 후 UCLA 점수와 술 후 SST 점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39, 0.038). 결론: 중 장년 이후에 견관절 탈구 발생시 조기에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관절경적 방카트르 봉합술 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임상적 치료결과 비교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Absorbable Knot-tying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 김성준;;오경수;방승철;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5
    • /
    • 2013
  • 목적: 방카르트 병변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에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과 흡수성 비매듭 봉합 나사못의 임상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연구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방카르트 봉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이용한 환자군(KT군)은 59명,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KL군)을 이용한 환자 군은 52명이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5.9개월과 37.0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통증의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VAS for pain), 관절 운동 범위, Rowe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그리고 재탈구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주관적 시각척도에 의한 통증의 정도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평균 0.5점,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0.8점이었고(p=0.250),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매듭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1예가 발생하였다. Rowe score는 각각 평균 94.3점 및 96.3점(p=0.412), ASES score는 각각 97.29점과 94.03점이었다(p=0.052). 술 후 재 탈구는 KT군에서 4예, KL군에서는 1예가 있었으며 양 군에서 재 탈구 빈도는 통계적 의의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결론: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 사이에 재 탈구 율을 포함한 결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40세 이하에서 견관절 전방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내 병변 및 임상 결과 (Accompanying Lesions and Clinical Results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Humerus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Under the Age of Forty)

  • 김두섭;윤여승;이동규;박현국;박장희;신존정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20-26
    • /
    • 2011
  • 목적: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경우 동반 병변을 조사하고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환자 중 40세 이하의 30명을 대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동반 병변을 확인한 후 도관나사 고정 또는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행하였다. Constant 점수와 Rowe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2예, 골성 Bankart 병변 4예, Perthes 병변 4예, free ALPSA 병변 2예, GLAD 병변 3예, 관절낭 파열 6예 관찰되었고, 회전근 개 부분 파열 5예 (16.7%), SLAP type I 2예 (6.7%), SLAP type II 병변 1예 (3.3%), 이두장건 파열 1예 (3.3%)가 관찰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술 전 평균 56.30${\pm}$11.83점에서 술 후 평균 94.43${\pm}$7.82점으로 증가하였고 (p=0.034), Rowe 점수는 52.56${\pm}$9.96점에서 91.76${\pm}$9.56점으로 증가하였다 (p=0.026). 결론: 견관절 전방 탈구를 동반한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동반 병변 확인과 골절 치료로 우수한 임상 결과와 골유합을 보였다. 2차 관절경 검사상 Perthes 병변, Free ALPSA 병변, GLAD 병변 및 관절낭 파열은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자연 치유되거나 더이상 손상의 범위가 증가되지 않았고 술 후 이차적인 불안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40세 이상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관절내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연구 (Arthroscopic Evaluation on Intra-Articular Pathology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ged Over 40 Years)

  • 민우기;김주은;조환성;김풍택;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목적: 40대 이상의 환자의 외상성 견관절 재발성 전방 탈구에서 관절 내 병변 구조물을 조사하고, 그 발병 기전 및 향후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임상적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 당시 나이가 40세 이상인 16명의 환자 (평균 나이 52.7세)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와 순, 관절막, 회전근 개, 골병변 등의 관절 내 구조물에 대한 관절경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한 16례의 모든 환자들에서 상완 골두의 Hill-Sachs 병변이 보였으며, 골성 Bankart 병변 3례 (19%), 관절와 순 파열 6례 (38%), 관절막 파열은 15례 (94%)에서 발견 되었다. 12례 (75%)의 환자에서 극상건 파열이 발견되었고, 견갑하근 파열은 5례 (31%)에서 발견되었다. SLAP 병변은 1례 (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40세 이상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와 달리, 장년층 이상의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손상에 대한 수술 전 대비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