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 filtra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8초

토양특성에 따른 강변여과수의 수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ater Quality of Bank Filtration Depending on Soil Characteristics)

  • 나현영;권대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6호
    • /
    • pp.19-26
    • /
    • 2011
  • In this research, soil analysis and adsorption were conducted, and compared with the water quality of bank filtration and river in terms of TS, TDS, SS, $NH_4$-N, $NO_3$-N, $NO_2$-N, Fe, Mn, BOD and $KMnO_4$ consumption for the development of bank filtration in Gimhae city. Analysis of soil showed high levels of Fe (470 mg/kg), Mn (80 mg/kg) and $NH_4$-N (15 mg/kg). Also, adsorption coefficient values (k and 1/n) were 0.00159 and 0.8714,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the adsorption of the soil depends on organic matter. Water qualitiy of the river and the bank filtration reveal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S and TDS almost didn't change but the concentration of SS decreased 84% through the bank filtration. $NH_4$-N in the bank filtration was detected more than 1 mg/L which might be due to agricultural activities in the research area. $NO_3$-N was close to the detection limit owing to the removal by the adsorption. $KMnO_4$ consumption and BOD of the river were decreased by the bank filtration 250% and 350%, respectively, while Fe and M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bank filtration.

강변여과 취수정의 간섭효과와 하천수 비율에 대한 해석적 평가 (Analytical Evaluation of Interference and Ratio of River Water at Riverbank Filtration Pumping Wells)

  • 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8호
    • /
    • pp.685-691
    • /
    • 2014
  • 강변여과는 하천 인근에 다수의 관정을 설치하여 하천수의 수질 개선을 추구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다수의 관정이 인접해 있는 경우 관정간의 상호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취수량에 영향을 미친다. 강변 여과 관정의 경우에는 관정이 관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간섭효과의 요인에는 지하수위 강하량 외에도 유량변화에 따른 관망 수두손실이 포함된다. 간섭효과는 취수정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와 배후 지하수의 비율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여과시스템의 대수층과 관망흐름을 통합해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 관정의 간섭효과와 하천수 비율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에 가까운 가상의 강변여과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관정 가동 패턴에 따라 취수량은 5% 이상 차이가나고 배후지하수 유입비율도 30~40% 범위로 10% 이상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변여과에 의한 이.취미 물질 제어 특성에 관한 타당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Removal Characteristics of Taste and Odor using Bank Filtration Treatment)

  • 맹승규;박노석;임재림;김성수;정우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7-31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bulk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2-MIB) during riverbank filtration, which are general surrogates of taste and odor in drinking water. Column studies were used to simulate bank filtration systems. Most of the aliphatic organic matter was removed effectively after soil passage, and it is believed to be polysaccharides according to LC-OCD and F-EEM analysises. Removal efficiencies of geosmin and 2-MIB within the filtration column reached above 95%.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of total dissolved organic matter has a correlation with that of geosmin and 2-MIB in the near of filtration surface (about 50cm).

AHP를 이용한 강변여과 적지 분석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Bank Filtration Using AHP)

  • 김병찬;이승철;류지협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3-59
    • /
    • 2008
  •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 사태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용수부족이 예상된다. 지하수는 이러한 문제를 일부 지역에서 해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강변여과는 위치와 규모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저수지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강변여과 적지분석을 위해 댐건설 지연과 물부족을 겪고 있는 네 지역을 선정하여, 갈등을 해결하고 대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분석도구인 계층분석과정 (AHP)을 적용하였다. 또한 AHP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강변여과 적지분석 방법론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판단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변여과수 처리를 위한 포기-모래여과공정에서 망간제거 기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anganese removal mechanism in aeration-sand filtration process for treating bank filtered water)

  • 최승철;김세환;양해진;임재림;왕창근;정관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1-349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manganese is hard to oxidize under neutral pH condition in the atmosphere while iron can be easily oxidized to insoluble iron ox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moval mechanism of manganese in the D water treatment plant where is treating bank filtered water in aeration and rapid sand filtration. Average concentration of iron and manganese in bank filtered water were 5.9 mg/L and 3.6 mg/L in 2008, respectively. However, their concentration in rapid sand filtrate were only 0.11 mg/L and 0.03 mg/L, respectively. Most of the sand was coated with black colored manganese oxide except surface layer. According to EDX analysis of sand which was collected in different depth of sand filter, the content of i ron in the upper part sand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lower part. while manganese content increased with a depth. The presence of iron and manganese oxidizing bacteria have been identified in sand of rapid sand filtration. It is supposed that these bacteria contributed some to remove iron and manganese in rapid sand filter. In conclusion, manganese has been simultaneously removed by physicochemical reaction and biological reaction.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er reaction is dominant than the latter. That is, Mn(II) ion is rapidly adsorbed on ${\gamma}$-FeOOH which is intermediate iron oxidant and then adsorbed Mn(II) ion is oxidized to insoluble manganese oxide. In addition, manganese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tocatalytic reaction of manganese oxide. The iron and manganese oxide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sand and then are aged with coating sand surface.

강변여과 취수시 과도한 지하수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인공함양의 활용방안 연구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charge to Reduce the Ground-water Drawdown of the Riverbank Filtration)

  • 이동기;박재현;박창근;양정석;남도현;김대근;정교철;최용선;부성안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91-400
    • /
    • 2004
  • 강변여과수의 과도한 취수는 제내지 지하수위 하강을 발생하게 하며 이로 인해서 제내지 농경지의 토양 건조도가 증가되어 과도한 관계용수의 보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위 하강으로 인한 기존 관정사용이 어려워져 더 깊은 새로운 관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내지 측에 인공함양우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창원시 강변여과 시설에 적용한 결과 인공함양우물의 최적 위치는 취수정으로부터 제내지 측으로 200m 지점에 위치하며, 함양량을 취수량의 $5\%$를 유지하는 것이 지하수위하강을 저감하기위한 효과적인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방사형 집수정을 위한 수평천공장치 개발 (Development of Horizontal Boring Equipment for Radial Collector Wells)

  • 박근우;정경환;이충훈;권준용;김재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905-913
    • /
    • 2008
  • The water resource depending on mostly surface water has many problems, such as contaminated and unpredicted contamination event. For this reason, it has been employed highly technical treatment method for them, such as ground water dam and river bank filtration. it has been developed the radial collector wells in kind of bank filtration to increase efficiency for in-taking the water resource insead of the vertical well needed many wells to take more resource. But it has many problems with the incumbent method to bore the horizontal hole for radial collector wells, such as filling with the filter material outside of a strainer by watering, jamming as retrieving the casing tube with the filter material, eccentric boring etc. To reduce the problems of incumbent equipment, it has been developed the horizontal boring equipment and performed the field trial tests several times, which have bits and water jetting system with rotating the cone-shaped front to be excavated easily. In this paper, it was compared the brand-new with the incumbent non-rotating pressing insertion method. Also it was shown the problems of the incumbent method was reduced effectively.

  • PDF

강변 여과 취수 지역 퇴적물의 철 화학종 추출 특성 (Iron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amples from a River Bank Filtration Site)

  • 현성필;문희선;윤필선;김보아;하규철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8
    • /
    • 2013
  • 최근 들어 안정된 수자원 확보를 위해 하천수를 강변의 충적층을 통과시켜 취수하는 강변 여과수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표수 및 지하수와 반응하는 주변 충적층 퇴적물에 존재하는 철은 강변 여과 후 양수정을 통해 얻어지는 지하수의 수질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지하수-지표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철 화학종의 존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부지에서 채취한 대수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철 함유량을 퇴적물 심도 및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철 추출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체적으로 지표로부터 20 m 부근까지는 2가철 및 총 철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다 20 m 깊이 이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퇴적물 색깔이 지시하는 산화/환원 환경 특성과도 일치하였다. 한편, 퇴적물의 모래 부분보다 미사/점토 부분에서 추출법에 따라 2~10배의 철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추출법 중 DCB 용액에 의해 가장 많은 철이 추출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철 분석법으로 추출되는 철 함량 특성은 퇴적물 내에서 철의 용해 및 침전을 결정짓는 심도에 따른 산화/환원 조건의 좋은 지시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망간모래여과를 이용한 강변여과수의 망간제거 (Manganese Removal of Bank Filtrate using Manganese Sand Filtration)

  • 김충환;김학철;김한승;김범수;안효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9-414
    • /
    • 2004
  • Pilot-sca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bank filtrate contammg high manganese concentration around 2mg/L using rapid manganese sand filtration to investigate effects of oxidant dose and pH control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manganese. For theoretical dose ranges of oxidant (sodium hypochlorite) between 3 and 4mg/L, the manganese concentration of effluent was 0.57 mg/L, which corresponded to 72.5% removal and was higher tha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of 0.3mg/L. For excess dose ranges of oxidant between 4 and 8mg/L, the manganese concentration of effluent was reduced to 0.14mg/L, which corresponded to 94.5% removal, but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as over 1.0mg/L. On the other hand, manganese removal efficiency drastically increased up to the value of 98.0%, which is equivalent to the effluent concentration of 0.03mg/L by controling pH to the range between 7 and 8 for the theoretical dose of oxidant. Consequent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ropriate dose of chemicals, such as oxidant and alkali,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manganese should be necessary to obtain efficient removal of manganese and to optimize the maintenance of treatment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bank filtrate with high concentration of manganese.

강둑여과지 주변의 밭에 살포된 무기질소의 거동 연구 (Investigation of the fate of inorganic nitrogens in the near field of bank filtration site)

  • 공인철;배진희;안호준;권오억;김승현;이철희;박영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0
    • /
    • 1998
  • 안전한 먹는 물 생산을 위해 강둑여과수를 원수로 취수할 경우 여과수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무기질소성분의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강둑여과지 주변 토양의 특성은 우리나라 평균 농경지 특성과 유사하였으나 표층의 평균 pH는 약 4.3으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질소 농도는 토양 깊이별, 지역별로 다양한 함량의 $NH_3$-N과 $NO_3$-N가 관찰되었으나 $NO_2$-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토양 깊이에 따라 대체적으로 $NH_3$-N의 농도는 감소하고 $NO_3$-N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토양의 생균수와 질화균수는 각각 6.73~10.7$\times$$10^{6}$과 0.44~5.21$\times$$10^{4}$으로 조사되었고 상관관계는 $R^2$=0.992였다. 회분식으로 조사된 토양의 질산화 능력은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며 질산화균과 질산화능력의 상관관계는 높게 조사되었다. 표층과 심층토에 암모니아성 질소를 첨가한 후 호흡량 측정기로 소모되는 산소량을 측정한 결과 표층이 심층에 비해 짧은 지체기 후 많은 양의 산소소모가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