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dstop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표면 전류 분포를 이용한 T자형 UWB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 해석 (Analysis of a T-Shaped UWB Printed Monopole Antenna Using Surface Currents)

  • 이동현;박위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883-8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T자형의 방사체를 가지는 초광대역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를 제안하고, 방사체와 그라운드 표면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임피던스 대역폭은 VSWR 2 미만 기준으로 3.1${\~}$11 GHz이고, 이는 UWB 대역을 만족한다. 제안된 안테나의 주파수에 따른 표면 전류 분포를 분석하여 제안된 안테나는 두개의 90도 굽은 비대칭적인 다이폴이 대칭으로 놓여 있는 안테나로 동작함을 설명하였다. 이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가 방사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다이폴의 경우와 유사하며, 그라운드 평면의 길이와 너비는 다이폴의 굵기와 길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해석이 다른 일반적인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에도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끝으로 그라운드 평면의 모서리를 테이퍼링을 하여 공진 주파수를 낮추는 예과 방사체에 역 U자 슬랏을 추가하여 특정 대역을 저지하는 예를 제시하고 이를 표면 전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건물 내 주파수 선택적 공간 구현을 위한 인쇄전자 기술 기반 필름형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 설계 (Design of Film-Typ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Based on Printed Electronic Technology to Implement Frequency-Selective Space in Buildings)

  • 이인곤;윤선홍;홍익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007-101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건물 내에서 통신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인접 채널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에 안정적인 주파수 특성 구현을 위해 프랙탈 형상 기반의 소형화된 단위구조를 사용하였으며, 실제 적용성을 고려, 적은 제작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한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얇은 필름형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를 제작하였다. 전통적인 회로제작 방식인 PCB 공정이 아닌 전도성 Ag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통해 생산성 및 환경성을 개선하였으며, 설계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공간 측정을 통해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에 대한 안정적인 특성을 검증하고, 실제 건물 내벽에 적용 후, 수신 신호강도 측정을 통해 주파수 선택 성능을 확인하였다.

동작 주파수 확장성을 갖는 소형화된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 설계 (Miniaturize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a Scalability of Operating Frequency)

  • 이인곤;홍익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512-52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평면 위에 소형화된 단위구조의 반복 배열을 통해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에 대하여 안정적인 주파수 특성을 갖는 대역 저지 동작 주파수 선택적 표면구조(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소형화 FSS 구조는 삼각형의 루프가 반복되는 육각 형태 구조로 2.5 GHz 동작주파수에서 $0.081{\lambda}{\times}0.081{\lambda}$의 단위셀 크기를 가지며, 매우 안정적인 입사각 및 편파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안구조는 기존 소형화 기법의 단점인 높은 설계 복잡도를 개선하고, 단일 설계 변수의 조정을 통해 2~8 GHz 광대역에서 안정적인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갖는 FSS 구조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구조의 검증을 위해 2.5 GHz, 5 GHz, 8.2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FSS 구조를 각각 설계 및 제작하였고, 측정 결과로부터 계산된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넓은 대역에 걸쳐 입사파의 편파와 입사각에 대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고조파가 억제된 5.8 GHz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Design of a 5.8 GHz Narrow Band-pass Filter with Harmonics Suppression)

  • 윤기철;이종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2A호
    • /
    • pp.167-17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lambda}$g/4 단락형 및 ${\lambda}$g/2 개방형 스터브를 이용한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안한다. 스터브 대역 통과 여파기를 협대역으로 구현하기 위해, 스터브의 임피던스 값 변화 없이 스터브 위치를 변화시켜, 그에 따른 Qe (External quality factor) 값을 이용하여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구현한다. 또한,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의 전승선로 부분에 T-형태의 대역저지 여파기를 집적시켜, 여파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들을 억제한다. 제안된 여파기의 중심 주파수는 5.8 GHz, 대역폭은 10 % 이며, ${\lambda}$g/4 단락형에서의 삽입손실은 2.1 dB, 반사손실은 18 dB이고, ${\lambda}$g/2 개방형에서의 삽입손실은 1.2 dB, 반사손실은 21.9 dB의 측정결과들을 얻는다.

신호 전달 평면의 브릿지 라인을 이용한 EBG 구조 (EBG Structure Using Bridge Line in the Signal Transmission Plane)

  • 김병기;하정래;이준상;배현주;권종화;나완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86-79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EBG(Electromagnetic Band Gap) 구조에 존재하는 두 단위 셀을 신호 전달 평면상의 브릿지 라인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EBG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EBG는 단위 셀을 연결하는 비아 홀과 브릿지 라인으로 인해 전원면에서 SSN(Simultaneous Switching Noise)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였으며, 또한 신호 평면상에서 존재하는 신호선들 사이에서는 우수한 신호 전달 특성을 보였다. 제안된 구조의 EBG는 특정 사이즈에서 차단 주파수 1.2 GHz, 저지 대역폭은 8.3 GHz로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30 dB 이하의 저지 대역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대역의 저지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신호 평면상에 위치한 신호선이 우수한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전원면/접지면의 위치를 최종적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