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loon angioplast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4초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Treated with DrugCoated Balloon Angioplasty for Symptomatic Peripheral Artery Disease

  • Sigala, Fragiska;Galyfos, George;Stavridis, Kyriakos;Tigkiropoulos, Konstantinos;Lazaridis, Ioannis;Karamanos, Dimitrios;Mpontinis, Vangelis;Melas, Nikolaos;Zournatzi, Ioulia;Filis, Konstantinos;Saratzis, Nikolaos
    •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 /
    • 제34권4호
    • /
    • pp.94-102
    • /
    • 2018
  • Purpos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real-life experience on the treatment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PAD) with a specific drug-coated balloon (DCB), and to evaluate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for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reporting outcomes in patients with PAD who were treated with the Lutonix DCB during a four-year period. Major outcomes included: all-cause mortality, amputation, clinical improvement, wound healing an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TLR). Mean follow-up was $24.2{\pm}2.3$ months. Results: Overall, 149 patients (mean age: $68.6{\pm}8.3$ years; 113 males) were treated, either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IC) (n=86) or critical limb ischemia (CLI) (n=63). More than half the target lesions (n=206 in total) were located in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and 18.0% were below-the-knee lesions. CLI patients presented more frequently with infrapopliteal (P=0.002) or multilevel disease (P=0.0004). Overall, all-cause mortality during follow-up was 10.7%, amputation-free survival was 81.2% and TLR-free survival was 96.6%. CLI patients showed higher all-cause mortality (P=0.007) and total amputation (P=0.0001) rates as well as lower clinical improvement (P=0.0002), compared to IC patients. Coronary artery disease (CAD), gangrene and infrapopliteal disease were found to be predictors for death whereas CLI and gangrene were found to be predictors for amputation, during follow-up. Conclusion: PAD treatment with Lutonix DCBs seems to be an efficient and safe endovascular strategy yielding promising results. However, CAD, gangrene, CLI and infrapopliteal lesion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predictors for adverse outcomes. Larger series are needed to identify additional prognostic factors.

GafChromic 필름을 이용한 Ho-166 의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위한 선량분포 측정 (The Measurement of Ho-166 Absorbed Dose for the Endovascular Irradiation with a Balloon Angio Catheter Using a GafChromic Film)

  • 강해진;조철우;박찬희;오영택;전미선;김영미;박경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3호
    • /
    • pp.151-157
    • /
    • 1999
  • 심장 혈관 협착증 환자의 경우 수술후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관내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혈관내벽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사성 동위원소가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생산되는 Ho-166 도 그 중의 하나의 원소이다. 따라서 이 Ho-166 을 이용하여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할 경우 선량분포를 측정해 보았다. 혈관 내벽을 방사선 조사하는 방법은 풍선 혈관 카테터를 혈관내에 위치시키고 풍선 안에 액체 상태인 Ho-l66 동위원소를 채우고 일정시간 머물게 함으로써 시행된다. 선량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Solid water phantom 과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라 현상기에 현상을 하지 않아도 바로 필름 흑화도 변화를 볼 수 있는 GafChromic Film 을 사용하였다. 필름 흑화도 측정은 Videodensi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Co-60 빔에 검교정된 GafChromic 필름의 흑화도로 부터 풍선 혈관 카테터 안에 있는 Ho-166 동위원소에 의한 선량분포플 측정하였다. 먼저 Co-60 빔을 이용한 GafChromic Film 의 calibration curve를 얻었다. 흡수선량 대 필름 흑화도 곡선 (H-D curve)은 직선을 이루지 않았으며 이는 densitometer에 쓰이는 광원으로 부터 짐작되는 결과이다. H-D 곡선을 이용하여 Ho-l66이 채워진 풍선 혈관 카테터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선량분포를 얻었으며 카테터 표면으로 부터 1 mm 떨어진 거리에서의 선량은 풍선 표면에서의 약 20% 정도 였으며 5mm 떨어진 거리에서는 풍선 표면 선량의 약 1% 정도로 급속히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혈관내 방사선 조사시 중요한 것은 혈관 내 벽에는 원하는 만큼의 방사선량을 주어야 하지만 주변의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손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선량분포가 동위원소로 부터 떨어졌을 때 급속히 감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베타선 방출 핵종 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동위원소 Ho-l66 도 혈관내벽 방사선조사를 위한 하나의 좋은 핵종으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심장혈관용 약물코팅풍선카테터의 개발 동향 (The Developing Trend of Cardiovacular Drug Coated Balloon Catheter)

  • 박정훈;조원일;변대흥;강소영;남충현;서경우;박준규
    • 공업화학
    • /
    • 제33권5호
    • /
    • pp.545-550
    • /
    • 2022
  •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서구화된 식습관에 의해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등에 의한 심장질환자의 수가 5년간 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심장질환은 지난 8년간 꾸준히 국내 사망원인 2위를 기록 중이며, 이로 인해 연간 소모되는 의료비는 6조원에 달한다. 증가한 환자와 함께 다양한 치료법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보편화 된 관상동맥중재시술 중 스텐트 삽입술의 단점인 재협착이나 장기간 이중항혈소판제 복용으로 인한 출혈의 위험 증가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약물코팅풍선카테터가 개발되어 점차 상용화되고 있는데, 국내에선 2010년 'SeQuent Please (비브라운코리아)'라는 제품이 처음 출시되면서 약물코팅풍선카테터를 사용한 시술이 시작되었고, 이후 2012년 보험급여가 적용되면서 그 사용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났다. 약물코팅풍선치료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산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동물시험 및 임상시험에서의 성능이 입증된다면 위험성이 높은 스텐트 삽입술에 비해 효과적인 시술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동맥경화증의 발생에 관한 혈류역학적 가설들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Hemodynamic Hypotheses for the Generation of Atherosclerosis)

  • 서상호;조민태;노형운;권혁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5-1918
    • /
    • 2003
  • Atherosclerosis, which is a degenerate disease, is believed to occur in the vascular system due to deposition of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LDL) or thrombosis on the blood vessel. Atherosclerosis narrows arterial lumen, which is known as stenosis phenomenon of blood vessel.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is thought to occur mainly by aging. Restenosis phenomenon is observed in the same site of insertion of a stent and balloon angioplasty after treatment of interventional theraphy. Several hypothetical theorie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atherosclerosis have been reported: high shear stress theory, low shear stress theory, high shear stress gradient theory, flow separation and turbulence theory and high pressure theory. However, no one theory clearly explains the causes of atherosclerosis. In the present study the generation of atherosclerosis in the left coronary artery is investigated. The hypotheses are verified by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 PDF

Coating defects in polymer-coated drug-eluting stents

  • Bedair, Tarek M.;Cho, Youngjin;Park, Bang Ju;Joung, Yoon Ki;Han, Dong Keun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1권3호
    • /
    • pp.131-150
    • /
    • 2014
  • Vascular stenting has a great attention as a treatment for coronary arteries diseases as compared with percutaneous balloon angioplasty. In-stent restenosis and thrombosis ar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using bare metal stent (BMS). Employing platelet therapy allowed to reduce the rate of thrombosis, however, the rate of restenosis remains a major problem. In 2002, drug-eluting stents (DESs) were introduced as an effort to reduce the restenosis. The commercially available DESs continue to suffer from coating defects that might lead to a series of adverse effects. Most importantly, multiple concerns remain regarding the polymer coating integrity on metal surfaces or the relation of polymer irregularities to longterm adverse events.

Spontaneous resolution of new coronary artery aneurysm following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after drug-eluting stent implantation

  • Jae-Geun Lee;Ki Yung Boo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31-134
    • /
    • 2023
  • Here, we present a case of a 56-year-old man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patient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t the left main bifurcation and mid-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using drugeluting stents. Four months after the PCI, the patient was readmitted for cardiac arrest. Coronary angiography (CAG) revealed stent thrombosis in the left main-to-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nd in-stent restenosis in the left main-to-proximal left circumflex artery. We performed balloon angioplasty at the left main to mid-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nd left main to proximal left circumflex artery stents; subsequently, blood flow was fully restored. However, contrast agent extravasation was observed outside the mid-portion of the left main artery to the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stent,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coronary artery aneurysm (CAA) outside the stent. After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with dual antiplatelet agents and high-intensity statins, follow-up CAG revealed near-resolution of the CAA, absence of stenotic lesions, and good blood flow.

Re-188-DTP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의 표지와 생체내 분포 (Labeling and Biodistribution of Re-188-DTP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acid))

  • 이진;김영주;장영수;정재민;신승애;정준기;이명철;고창순;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7-432
    • /
    • 1997
  • Re-188은 반감기가 17시간이고 진단을 위한 영상화가 가능한 감마선(155keV)을 방출하며 치료용으로 적당한 베타선(2.12MeV)을 동시에 방출하여 혈관성형술 풍선에 넣어 조사하는 접촉 베타선 방출체 치료용 방사성핵종으로 유력하다. 이 연구에서는 Re-188-DTPA를 관상동맥풍선 성형술시 풍선에 주입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쓸 수 있을지 알기 위해 우선 표지법과 풍선에서 혈관내로 샜을 때의 생체내 분포를 조사하였다. Re-188과 DTPA를 표지하는 방법을 확립하였고 표지효율은 95%, 실온과 사람 혈청에서 안정하였다. 마우스의 체내분포와 랫트와 실험견에서 얻은 신장 시간방사능곡선이 Re-188-DTPA가 신장을 통해 빠르게 제거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Re 188-DTPA를 관상동맥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관상동맥풍선 성형술시 풍선에 주입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사용하여도 좋음을 시사한다.

  • PDF

Comparison of Outcomes of Hybrid and Surgical Correction for De Novo Arteriovenous Graft Occlusion

  • Ko, Dai Sik;Choi, Sang Tae;Lee, Won Suk;Chun, Yong Soon;Park, Yeon Ho;Kang, Jin Mo
    •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 /
    • 제34권4호
    • /
    • pp.88-9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urgical revisions and balloon angioplasty after surgical thrombectomy on thrombosed dialysis access as a first event. Materials and Methods: Records of patients undergoing creation of arteriovenous grafts (AVGs) at th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between March 2008 and February 2016 were reviewed. Among them, patients who underwent treatment on first-time thrombotic occlusion after AVG creation were identified. Outcomes were primary, primary-assisted, and secondary patency. The patency was gener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patency rates were compared by log-rank test. Results: A total of 59 de novo interventions (n=26, hybrid interventions; n=33, surgical revisions) for occlusive AVGs were identified. The estimated 1-year primary patency rates were 47% and 30% in the surgery and hybrid groups, respectively. The estimated primary patency rat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log-rank test, P=0.73). The Kaplan-Meier estimates of 6 and 12 months for primary-assisted patency rates were 68% and 57% in the surgery group and 56% and 56% in the hybrid group. The Kaplan-Meier estimates of 12 and 24 months secondary patency rates were 90% and 71% in the surgery group and 79% and 62% in the hybrid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stimated primary-assisted and secondary patency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primary patency (P=0.73), primary-assisted patency (P=0.85), and secondary patency (P=0.78). Howeve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can give more therapeutic options for both surgeons and patients.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고찰 (Determinants of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최교원;권준영;김영진;이태일;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이삼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30-239
    • /
    • 1994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과 그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 경색후 협심증으로 진단된 172개소의 협착병소를 대상으로 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조영술 및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변수들로 나이, 성별, 협심증기간, 심혈관 위험인자, 임상적 진단명으로 구분하였고, 협착병변의 특정 및 술기적 변수들로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따른 분류, 병변혈관의 위치, 협착병소의 길이, 석회화 유무 그리고 팽창압력과 팽창시간들로 구분하였고 성공군과 실패군에서 각각의 혈관탄성반도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성형술의 전체성공율은 87.2%이고 성별로는 여성이 93.5%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임상적 진단에 따라서는 안정형 협심증이 93.7%로 가장 높았고 경색후 협심증이 77.7%로 가장 낮았다. 협착부위의 소견중 45도 이상 굴곡된 병변과 혈전이 있는 병변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성공군과 실패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성형술 전의 지름 협착율, 혈관탄성반도, 그리고 병변의 길이가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왔다(p<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분류에서는 C형에서, 단일 혈관 질환보다는 다혈관 질환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그외 관상동맥 성형술전에 혈전용해 요법을 시행했을 때가 관상동맥 성형술만을 시행했을 때보다 성공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다혈관 질환, 45도 이상 굴곡된 병소, 혈전이 동반된 병소, Type C인 병소(p<0.05), 협착정도(p<0.05), 혈관탄성반도(p<0.05), 협착길이 (p<0.05)로 보이며 앞으로 더 많은 례에서의 연구,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조혈관 동정맥루 폐쇄의 치료에서 수술적 혈전제거술 및 재건술과 경피적 혈전제거술 및 혈관성형술의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Surgical Thrombectomy with Revision and Percutaneous Thrombectomy with Angioplasty for Treating Obstruction of a Dialysis Graft)

  • 임재웅;원용순;김동현;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87-491
    • /
    • 2009
  • 배경: 인조혈관 동정맥루 폐쇄의 구조요법으로는 수술적 방법과 중재적 혈관내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조혈관 동정맥루를 재개통 시키는데 이 두가지 방법의 효율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수술적 혈전제거술 및 재건술(그룹 A)또는 경피적 혈전제거술 및 혈관성형술(그룹 B)을 시행받은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성, 협착부의 위치, 시술 후 일차 개통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41명의 환자 중, 21명의 환자는 수술적 혈전제거술 및 재건술을 받았으며, 20명의 환자는 경피적 혈전제거술 및 혈관성형 술을 받았다. 두 군간에 환자의 임상적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두 군 모두에서 정맥 문합부 협착이 인조혈관 동정맥루 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시술 후 일차 개통률은 6개월 누적 개통률이 그룹 A 90.5%, 그룹 B 55%였으며, 1년 누적 개통률은 그룹 A 38.1%, 그룹 B 20.0%로 그룹 A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p=0.034). 결론: 본 연구에서는 조기에 적절한 수술적 재건술을 시행함으로써 인조혈관 동정맥루의 구제가 가능하였고 비교적 우수한 개통률을 얻을 수 있었다. 인조혈관 동정맥루의 폐쇄가 발생하였을 경우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서 수술적 재건술은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