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last Water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45초

선박평형수처리장치 형식승인을 위한 식물플랑크톤 샘플링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ampling method of phytoplankton for type approval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 장풍국;현봉길;이우진;최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26-433
    • /
    • 2020
  • 본 연구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MS) 형식승인을 위한 국제해사기구(IMO)와 미국해양경찰(USCG)의 시험방법 중 차이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전처리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배양종, 자연종, 그리고 BWMS의 육상시험에서 채취한 식물플랑크톤 샘플을 이용해 농축과 비농축에 대한 비교시험을 수행했다. 배양종과 자연종의 비교 시험은 농축하는 과정에서 네트 손실 및 손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상종의 생리·형태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BWMS 육상시험에서 생물 농도가 높은 대조수의 경우 비농축한 시료 개체수가 농축한 시료보다 2배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 생물 개체수가 낮은 처리수는 두 방법 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형식승인 방법으로 육상시험을 수행하면 시험수 조건이 더 가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 샘플링 과정에서 농축과 비농축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축 방법이 BWMS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처리수 내에서 살아있는 종이 샘플링의 농축 과정에서 네트 손실 및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종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Prospect on IMO's Performance Standards for Protective Coatings (PSPC) Regulation for Ship's Water Ballast Tanks

  • Baek, Kwang Ki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19-223
    • /
    • 2008
  • In 2006, as a means to minimize early corrosion failure of ships, thus to enhance marine safet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proposed a mandatory regulation for Performance Standards for the Protective Coatings (PSPC) for ballast tanks of newly built ships to satisfy 15 years of target useful life. In this regulation, several unprecedented strict rules are adopted as minimum, mandatory requirements for protective coatings of ship's water ballast tanks, and all type of ships sailing international sea are subjected to this regulation which is to be effective as early as June of 2008. The PSPC addresses many technical issues in the areas of surface pretreatment (primary and secondary), coating materials, coating application procedure and inspection as well as necessary documentation. The PSPC rules are new and unproven concepts, which calls for rigorous incorporation of reality-based evidences currently available, since there are no practical experiences in terms of the validity of the PSPC rules. There has been much controversy surrounding these regulations and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made by both shipyards and ship owners alike to achieve a performance standard for ballast tank coatings, which is acceptable to all. In this paper, the background and overview of the PSPC rules are given, and several issues in the PSPC are reviewed as a base to achieve robustness of the proposed PSPC, which will serve as a means to minimize early corrosion and to ensure 15 year target useful life of ships.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성능 평가를 위한 해양 바이러스 생사판별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arine Virus-like Particles Live/Dead Determination Metho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현봉길;우주은;장풍국;장민철;이우진;배미경;신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31-438
    • /
    • 2021
  • 본 연구는 향후 보다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어지는 USCG Phase II 형식승인시험을 대비하기 위해 SYBR Green I과 SYBR Gold의 염색 효율을 비교한 후 염색 효율이 높은 시약을 실제 선박평형수처리장치(electrolysis type, UV + electrolysis type)를 통과한 처리수에 적용해서 보았다. 시료의 부피가 0.5 mL ~ 2 mL, 염색 시약(Stock solution)을 100배 및 200배 희석한 조건에서 염색된 바이러스가 가장 선명하게 관찰되었다. SYBR Green I과 SYBR Gold의 염색효율은 장목한 해수조건의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SYBR Gold의 노란색에 비해 SYBR Green I으로 염색된 시료에서 발현하는 녹색 형광이 보다 선명해서 관찰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박평형수처리장치(electrolysis type, UV + electrolysis type)를 통과하지 않은 실험수 및 대조수에서의 해양 바이러스 현존량은 약 109~1010 VLP 100 mL-1 으로 확인된 반면, 처리수에서는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수 결과를 보면, SYBR Green I은 해수, 기수, 담수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염색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선박평형수처리기술에 따른 추가적인 검증 및 염색 방법 개발이 필요하지만, SYBR Green I 염색법은 USCG Phase II 미국형식승인시험 바이러스 생산판별에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해처리를 통한 밸러스트수의 유해생물 살균처리 (Disinfection of harmful organism for ballast water using electrolytic treatment system)

  • 박상호;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32
    • /
    • 2004
  • 선박에서 발생되는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을 북극전해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하였다. 전해처리시스템에 유입되는 시료는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상향류로 전극판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였으며, 반응시간별로 유량을 조절하여 체류시간을 다르게 하였다. 양극판은 티타늄에 이산화이리듐을 전착한 Ti/IrO$_2$ 극판으로 하였으며, 음극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사용하였다. 전원공급은 최대 전압이 250V, 전류가 100Amper의 맥류가 전혀 없는 트랜지스트 평활회로를 사용한 D.C. Power Supply를 사용하여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운전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라 전류밀도를 0.1~l.0A사이로 변화를 주어 실험한 결과 5초 이내에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연구결과를 통하여 발라스트수 처리에 적용 가능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LNG선 Ballast Tank Mud Flushing System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Mud Flushing System in Ballast tank of LNG Carrier)

  • 박상협;송유석;김영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4권2호
    • /
    • pp.85-92
    • /
    • 2016
  • LNG선의 발라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할 때 해수에 부유하고 있는 해저면의 머드 입자가 탱크 안으로 유입되고 탱크내에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탱크에서 해수를 배출 할 때에 침전된 머드를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발라스트 탱크 내에 머드 플러싱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러싱 시스템의 머드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 분석기를 통해 머드의 입자 크기를 측정 하였으며, 입자 크기와 전단 응력의 관계를 바탕으로 수치해석을 통해 머드의 부유 성능을 평가하였다. 탱크내 머드 플러싱 배관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탱크내 머드 부유 성능을 극대화하였다.

선박 평형수 처리용 Phase Shift Full Bridge Converter 출력 제어 알고리즘 (An Output Control Algorithm for Phase Shift Full Bridge Converter for Ballast Water Treatment)

  • 이상리;김학원;조관열;정호철;김종혁;박귀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30-539
    • /
    • 2013
  • In large vessels, proper water level must be maintained with a balance for right and left equilibrium by absorbing or draining sea water in ballast water tank. However, this ship's ballast-water can be drained marine organisms to local sea area by world trade and this can be a source of ecological disturb.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rine organisms must be remov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covenant for the emission of microorganisms. By this reason, the seawater electrolysis rectifier of low-voltage high-current rectifiers with excellent ability for microbial treatment is required. In this paper, PSFB converter will be discussed for the seawater electrolysis rectifier. Furthermore, a new output control method with the power limit operation under the limited maximum voltage condition is proposed for this rectifier. The simulation for the proposed current control method for PSFB Converter is shown using MATLAB/SIMULINK. Finall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is present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활성물질 농도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Substances Produced by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김은찬;오정환;이승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6
    • /
    • 2012
  •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 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다. 34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IMO 활성물질 승인을 받았고, 이 가운데 20개 처리장치가 최종승인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IMO 활성물질 승인을 받은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 원리와 총잔류산화제(TRO) 농도를 고찰하였다. TRO 최대 허용 배출 농도는 중화장치를 통해 낮추어 대부분 0.2 ppm 이하의 농도를 보였으나, 최대 처리 허용 농도는 장치별로 1-15 ppm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처리장치 별로 TRO 처리 허용 농도의 차이는 처리장치의 특성 및 필터의 유무와 종류 등과의 연관성 보다는 생물 사멸시험 시 생물종 특성과 수온, 탁도 등 수질 특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Ecotoxicological effects of ballast water effluent teated by an electrolytic method on marine environment

  • Kim, Tae Won;Kim, Keun-Yong;Shon, Myung-Baek;Kim, Young-Soo;Lee, Ji Hyun;Moon, Chang Ho;Son, Min 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8호
    • /
    • pp.1010-1020
    • /
    • 2014
  • Ballast water effluent treated by an electrolytic method contains reactive chlorine species and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this study, we conducted whole effluent toxicity (WET) testing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ERA) to investigate its ecotoxicological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WET testing was carried out for three marine pelagic organisms, i.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fish Paralichthys olivaceus. The biological toxicity test revealed that S. costatum was the only organism that showed apparent toxicity to the effluent; it showed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 lowest observable effect concentration (LOEC) and effect concentration of 50% (EC50) values of 12.5%, 25.0% and 83.3%, respectively, at brackish water condition. In contrast, it showed insignificant toxicity at seawater condition. B. plicatilis and P. olivaceus also showed no toxicities to the effluent at the both salinity conditions. Meanwhile, 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ballast water effluent contained total residual oxidants (TROs) below $0.03{\mu}g/L$ and a total of 20 DBPs including bromate, volatile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VOCs), halogenated acetonitriles (HANs), halogenated acetic acids (HAAs) and chloropicrin. Based on ERA, the 20 DBPs were not considered to have persistency, bioaccumulation and toxicity (PBT) properties. Except monobromoacetic acid, the ratio of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to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 of the other 19 DBPs did not exceed 1. Thus, our results of WET testing and ERA indicated that the ballast water effluent treated by electrolysis and subsequently neutralization was considered to have no adverse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