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it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2초

심해무인잠수정 해미래를 이용한 남마리아나 아크 해저화산 열수분출공 탐사 (Explorations of Hydrothermal Vents in Southern Mariana Arc Submarine Volcanoes using ROV Hemire)

  • 이판묵;전봉환;백혁;김방현;심형원;박진영;유승열;정우영;백세훈;김웅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89-399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explorations of hydrothermal vents located in the Marina Arc and Back Arc Basin using the deep-sea ROV Hemire. These explorations were conducted by KRISO and KIOST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Hemire in various applications for deep-sea scientific research. The missions included the following: (1) to search the reported vents, (2) conduct visual inspections, (3) deploy/recover a sediment trap and bait traps, (4) sample sediment/water/rock, (5) measure the magnetic field at the vent site, and (6) acquire a detailed map using multi-beam sonar near the bottom. We installed three HD cameras for precise visual inspection, a high-temperature thermometer, a three-component magnetometer, and a multi-beam sonar to acquire details of the bottom contour or identify vents in the survey area. The explorations were performed in an expedition from March 23 to April 5, 2016, and the missions were successfully completed. This paper discusses the operational process, navigation, and control of Hemire, as well as the exploration results.

총채벌레 및 고추탄저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 FT333 선발 (Se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FT333 for Dual Control of Thrips and Anthracnose)

  • 이모란;정혜주;김재윤;김다연;안성호;이상엽;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9-490
    • /
    • 2018
  • 고추의 주요 병해충인 총채벌레(Thrips palmi)와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지만,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여 방제가 힘들어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효과와 탄저병에 항균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여 동시 방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13균주($1{\times}10^7conidia/mL$)를 오이총채벌레 성충과 약충에 처리하여 70~100%의 우수한 살충률을 나타내는 6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6균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탄저병균에 대치 배양한 결과, 항균력이 우수한 FT333 균주를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최종 선발된 균주를 형태학적 조사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beta}-tubulin$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Isaria javanica로 동정하였고, I. javanica FT333으로 명명하였다. I. javanica FT333 (KACC93316P)의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기내에서 검정한 결과($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onidia/mL$)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 javanica FT333 균주가 고추 탄저병균과 미소해충인 오이총채벌레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경북(慶北)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된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 (Changing Patterns of Infect ions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 in River Taega,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 주경화;김태형;주종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61-179
    • /
    • 2001
  • 성주(星州)댐(1994년(年) 담수(潭水) 시작(始作))이 건설(建設)되고,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되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기 위해 1998년(年) 10월(月)부터 2000년 9월(月)까지 대가천(大駕川)의 상(上), 중(中), 하류(下流)5개처(個處)에서 투망(投網), 낚시, 사발모지 등(等)으로 담수어(淡水魚)를 채집(採集)하였다. 채집(採集)된 어류(魚類)는어종별(魚種別)로 분류(分類)한다음, 어체부위별(魚體部位別)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을 조사(調査)함과 동시(同時)에 신선(新鮮)한 어육(魚肉)1g 당피낭유충수(當被囊幼蟲數)를 계산(計算)하여 감염도(感染度)를 추정(推定)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結果)를 Lee(1993)의 조사성적(調査成績)과 비교(比較)하였다. 6과(科) 19종(種)의 어류(魚類)에서 8정(種)의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즉 간흡충(肝吸蟲), Centrocestus armatus, Cyathocotyle orientalis, Exorchis oviformis, Metagonimus sp 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orchis orientalis, Clinostomum complanatum, 및 소속미정(所屬未定)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A와 C를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대체(人體)에 기생(寄生)하는 간흡충(肝吸蟲)의 피낭유충(被囊幼蟲)은 7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고, 그 기생율(寄生率)은 1993년(年) Lee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으며, 기생도(寄生度)는 적었다. Metagonimus species 피낭유충(被囊幼蟲)은 1993년에서는 11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率)은 최소(最小)1.2%, 최대(最大)33.3%의 감염율(感染率)을 나타내었는데 비(比)하여, 이번 조사(調査)에서는 6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은 4.3- 20.0%이였다. 기생도(寄生度)는 1993年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다. Exorchis oviformis 유충(幼蟲)은 5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Cyathocotyle orientalis는 7종(種), Metacercaria hasegawai는 9종(種), Centrocestus armatus는 3종(種), Clinostomum complonatum은 2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어종별(魚種別)로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비늘, 지느러미와 꼬리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은 너무 변동(變動)이 심(甚)하여 1993년(年)의 그 율(率)과 비교(比較)할 수 없었으나, 대체(大體)로 낮았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보아 성주(星州)댐 건설(建設)과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간흡충(肝吸蟲)을 위시(爲始)한 각종(各種)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댐 담수(潭水)를 시작(始作)하기 전(前)(1994년)보다 낮음을 알았다.

  • PDF

부산향토음식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 및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Aguyjjim (Local Foods in Busan))

  • 김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42-1149
    • /
    • 2002
  • 본 연구는 부산 향토음식인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과 영양성분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ulcorner$자산어보$\lrcorner$에 아귀의 형태 및 식이방법에 대하여 적고 있으나 조리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예전에는 거름이나 사료용으로 쓰였으나 아귀찜의 붐이 형성된 80년대부터 고단백 식품으로 인정되면서 고급어종으로 부상되었다. 2. 표준조리방법은 요리서 및 부산아귀찜 전문점의 레시피에 근거하여 식재료의 종류 및 양,조리방법을 3차례의 실험조리 및 관능검사를 거쳐서 수정.보안하여 확정하였다. 3. 표준조리방법으고 조리된 부산아귀찜의 특징은 생아귀, 콩나물, 해물조미료, 맛국물, 전분, 미세한 고춧가루 등의 식재료와 볶음.찜이 병행되는 조리법, 화력의 강약 조절 등으로 독특한 감칠맛과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다. 4. 아귀찜 100 g당 에너지는 89 kcal, 단백질 10.7 g, 지질 1.3 g, 당질 3.0 g, 식이섬유 2.5 g, 칼슘 167 mg, 철분 1.3 mg 이었다. 또 1인분(370 g)당 에너지는 329 kcal, 단백질 40 g, 지질 4.8 g, 당질 11.1 g, 식이섬유 9.6 g, 칼슘 167 mg, 철 4.8 mg으로 단백질, 철분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감칠맛 성분을 가진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의 산성 아미노산의 할량이 높았으며 맛에 영향을 주는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의 함량이 높았다. 구성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서로 함량이 많았다. 아귀찜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아귀와 콩나물 등 20여 종의 식품이 이용된 전통.향토음식으로 식이섬유의 양은 많고 열량은 낮아 저열량식 이고 다이어트식이며 또한 영양균형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귀찝은 많은 전통.향토음식이 가지고 있는 생활습관질환의 예방에 호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각 지역의 전통 향토음식의 발전은 우리음식문화발전의 기틀이 되고 있지만 점차 전통음식이 사라져가고 있는 이 때 부산의 전통향토음식인 아귀찝의 표준조리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영양소,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그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 과학적.영양적 자료가 가정을 비롯한 전문점, 단체 급식시설에서 널리 활용되어 전통향토음식의 보급 및 우리음식의 전통성.향토성의 전수가 확대되길 기대하며 우리음식의 세계화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어류의 시각에 관한 연구 - II . 쥐치의 시인한계에서의 밝기와 선의 굵기와의 관계 (Visual acuity of Fish -II. Relationship between light intensity line width at visual limit of filefish)

  • 안영일;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4호
    • /
    • pp.352-359
    • /
    • 1997
  • 쥐치 Stphanolepis cirrhifer의 선시력을 구하기 위하여, 표적물거리 100cm, 광환경 5가지(400,20,3,1,lx)및 표적물의 굵기(8.0~0.2mm)12가지 조건하에서 행동학적 수법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쥐치의 학습교과는 실험회수가 210회이상에서 시인율이 80%이상이였고, 도달시간이 4~5초로 안정되었따. 2. 시인율은 표적물의 굵기가 굵고 겉보기 콘트라스트가 클 때 높았으나, 1lx이하에서는 대체로 낮았다. 3. 시인한계선의굴기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굵었는데, 400lx의 경우가 0.24m로 가장 가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30mm, 5lx인 경우 0.40mm, 3lxmm, 5lx인 경우가 2.87mm로 가장 굵었다. 4. 시인한계선의 굵기에 대한 겉보기 콘트라스트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400lx와 20lx인 경우 0.01로 가장 작았으며, 5lx와 3lx인 경우는 각각 0.02와 0.03이였으며, 1lx의 경우가 0.09로 가장 컸다. 5. 쥐치의 선시력은 400lx의 경우가 1.21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97, 5lx인 경우 0.73, 3lx인 경우 0.63으로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1lx의 경우가 0.10로 현저距하게 감소하였다. 6. 표적물의 굵기 1mm와 6mm에 대한 시인거리는 밝기 400lx하에서 각각 약 4.2m와 25.0m였으나, 1lx인 경우는 400lx의 1/14과 1/12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