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sa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New and noteworthy records of the moss flora of Korea

  • KIM, Wonhee;HIGUCHI, Masanobu;YAMAGUCHI, Tomio;SATO, Takumi;INOUE, Yu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19-426
    • /
    • 2020
  • A total of 34 taxa, 33 species and one variety, are newly added to the moss checklist of Korea. They were collected on Jejudo Island, Samcheok limestone areas in Gangwon Province, and Socheongdo Island from 2015 to 2018 and organized into 19 families and 26 genera. Additionally, eight genera are new to Korea. This study verifies the distributions of nine species whose distributions and specimens have remained unknown thus far. Finally, two unrecorded taxa, consisting of one species and one variety, are identified by reexamining Korean specimens deposited at the National Museum and Science in Japan (TNS).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1942 and 1940 from Mt. Baekdusan and Anbyun in North Korea.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Leptodromiella (Diptera: Hybotidae) from Korea

  • Kim, Young-Kun;Suh, Sang J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8권4호
    • /
    • pp.222-225
    • /
    • 2022
  • A rare genus Leptodromiella Tuomikoski, 1936, which belongs to the subfamily Ocydromiinae in the family Hybotidae contains only one recorded speices, L. crassiseta (Tuomikoski, 1932). Until now, there is still no known ecological information about this genus, and its distribution was restricted to only in central and northern Europe, such as Finland, Sweden and Russia. In Korea, only one species, Bicellaria koreana Barták, Plant & Kubík, 2013, was recorded in the family Hybotidae from Mt. Baekdusan so far. Herein, the second genus Leptodromiella is newly recorded along with the nominate species, L. crassiseta (Tuomikoski, 1932) in Korean fauna. Re-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external features and male genitalia of the newly recorded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paper.

일제강점기 반도팔경 선정과정을 통해 본 경관인식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andscape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of Bandopalgyong - eight beautiful scenary in Korea - within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해경;안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8-88
    • /
    • 2015
  •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는 다양한 매체가 창간되었고, 발행 부수 확보를 위한 미디어 이벤트를 실시했다. 이중 "삼천리"는 1929년 창간호에서 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서 '반도팔경'을 선정하는 미디어이벤트를 기획했다. 이에 반도팔경의 선정과정과 선정된 반도팔경에 대한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팔경의 선정은 당시의 지식인에 해당하는 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이다. 팔경으로 선정 가능한 경승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명시하지 않았다. 젊은이 계몽, 민중 계몽, 아름다운 경승지 소개가 목적이며, 문인들의 반도팔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둘째, 반도팔경에 선정된 경승지는 금강산(金剛山), 대동강(大洞江), 부여(扶餘), 경주(慶州), 명사십리(明沙十里), 해운대(海雲臺), 백두산(白頭山), 촉석루(矗石樓)이다. 선정된 팔경은 경승지의 규모나 영역에서 일관성이 없으며, 일부 문인은 선정되지 못한 경승지를 거론하면서 교통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셋째, 기행문으로 발표된 반도팔경 경승지인 백두산과 부여 낙화암에 대한 경관인식이다. 백두산 경관에 유구한 역사와 민족 정기를 대입시켰으며, 조선시대를 부정하면서 부여는 고도 백제로 빈 공간이라고 했다. 기행문은 실제 답사를 다녀온 후 작성된 것이 아니라 기존 발표한 내용을 재편집했다. 넷째, 김동환의 편집으로 1941년 기행문 형식의 "반도산하"가 발간되었다. '사적'과 '경승'으로 구분하여 팔경을 선정하였으며, 보존해야 할 경관과 향유하는 경관을 구분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1929년 선정된 반도팔경의 분석을 통해서 일제강점기 지식인인 문인의 경관 인식을 도출했다. 이는 미디어 이벤트를 통한 새로운 선정 방식과 기행문을 통한 경관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백두산 화산재 피해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 지역 농작물의 경제적 피해 추정 (Estimation of Economic Losses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Gangwon Province, Korea, Based on the Baekdusan Volcanic Ash Damage Scenario)

  • 이윤정;김수도;천준석;우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5-523
    • /
    • 2013
  •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화산재에 의한 피해가 예상된다. 적은 양의 화산재라고 할지라도 농작물의 피해나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는 등 농업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화산재에 대한 피해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화산재 위험은 농작물의 종류와 화산재 두께에 따라 다르므로 피해 예측 모델의 취약도 함수는 화산재 두께와 농작물의 손상률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RiskScape에서 정의한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별 손상률을 이용하여 취약도 함수를 정의하였다. 이 취약도 함수를 농작물 생산량과 가격 정보에 적용하여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의 피해가 예측되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강원도 농업 총 생산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화산재가 약 4 mm 정도 쌓이게 되면 농작물 피해액은 약 6,35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원도 총 농업생산액의 약 50%에 해당한다.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1차적인 피해만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화산재는 토양 오염이나 시설물과 같은 농가의 자산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농업 분야 전체에 대한 총 피해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2차적인 피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유용미생물을 적용한 화산재 블록의 강도 및 수질정화 특성 (Strength and Water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applied Volcanic Ash Block)

  • 이충원;장동수;박성용;최중대;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77-85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ength and water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applied volcanic ash block using flexural strength test and water quality analysis.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volcanic ash from Mt. Baekdusan and Mt. Hallasan, and cement as the ratios of 3.5:1, 4.0:1, 4.5:1, 5.0:1 with and without metakaolin. Flexural strength degraded with increasing of the amount of volcanic ash, and increased with addition of metakaolin as a bin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al ratio for fabricating volcanic ash-cement mixture block is determined as 3.5:1 with metakaolin. Furthermore, from water quality analysis on contaminated water, removal ability of effective microorganism-applied volcanic ash-cement mixture block and caged volcanic ash block against T-N, T-P and SS was highly evaluated because of adsorption due to the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volcanic ash. Hence, volcanic ash-cement mixture block and caged volcanic ash block possibly contribute to water purification.

흑요암을 이용한 유리 지질 표준물질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a Glass Geological Reference Material Using Obsidian)

  • 진미은;좌용주;박상구;선광민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1호
    • /
    • pp.65-71
    • /
    • 2020
  • 유리 표준물질은 정밀 지구화학 분석법에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표준물질이다. 기존의 합성 유리 표준물질의 단점인 자연 암석과의 조성 차이로 인한 높은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자연산 암석을 이용하여 유리 표준물질을 제작하였다. 백두산 흑요암인 NK-B1G 시료는 미세결정이나 포유물 등의 결정을 포함하지 않는 자연 유리질 암석으로, EPMA나 LA-ICPMS 분석 등의 미세분석을 위한 표준물질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olcanic eruption and surface deformation in volcanoes of the Alaskan Aleutian Islands using SAR interferometry

  • Lee, Seulki;Lee, Chang-Wook
    • Geosciences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1069-1080
    • /
    • 2018
  • The Alaskan Aleutian Islands form one of the world's largest volcanic island chains. The islands are exposed to both direct and indirect damage from continuous volcanic eruptions. Surface deformation is mostly observed before volcanic eruption, but with some volcanoes, such as Ontake Volcano, deformations cannot be detec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volcanic eruptions in the Alaskan Aleutian Islands, which is a region of frequent volcanic eruptions. Based on our results, we predicted the type of eruption that would occur on Baekdusan Volcano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rface deformation. For this purpose, 10 sites were selected from areas where recent volcanic activity had occurred in the Aleutian Islands. Additionally,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Phased Array-type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ALOS-PALSAR) and European Remote Sensing (ERS)-1/2 satellite data were obtained from 10 experimental sites. Based on the radar satellite data, the volcanic surface deforma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ic eruption were quantitatively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f surface de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facilitate the process of correlation between volcanic eruption and surface deformation.

한국 전통사상을 중심으로 한 기공수련 단체의 현황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Kigong Training Organizations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Ideologies)

  • 조중현;한창현;박수진;권영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356-1363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eral status of Kigong organizations introduced on Internet. We have used www.naver.com, the biggest portal site in Korea and www.nice114.co.kr, which has the longest list of the telephone numbers to look up the organizations with the index of "Kigong and Danhak" and "Mediation". Among them we screened the organizations to have the list of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for more than 5 years, with more than 100 trainees and whether they published books or booklets regarding Kigong by the means of telephone conversation or home page access. The number of organizations identified by telephone and Internet with the indexes of Kigongdanhak and mediation was 852. The number of organizations that passed the primary criterion was 22, and that passed the secondary criterion was 8. Among the primarily screened organization, there are 5 focusing on mediation, 5 focusing on breathing, 3 focusing on Haenggong, 4 focusing on mediation and Haenggong, 4 focusing on breathing and Haenggong and 1 focusing on mediation and breathing. In secondarily screened organizations, they called their training method as Seondo, Shinseondo or Seonhak and origin of the training method as Dangun and Hwangwung. As Sambeop training of Jigam, Josik and Geumchok provide training methods which are a little different each other, the utilization rate was low although there are some organizations that have special training using Three Bible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many texts and writings that they took as training methods other than Three Bibles. Kigong training organization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ideologies are grounded on the Three Textbooks such as , , and and the concept of Hongikingan. This ideological ground is the study of Completion of Human Beings through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and goes with Seondo, Pungryudo and Hyunmyojido.

T. Mori의 한반도 채집지역 및 채집품 (T. Mori's collections and resolving place names in Korea)

  • 김휘;장계선;길희영;박수경;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0-353
    • /
    • 2012
  • 일본 박물학자, Tamezo Mori(1884-1964)는 1909년부터 1916년까지 약 8년간 한반도의 식물 채집을 시도하였다. Mori의 한반도 관련 문헌 및 표본레이블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채집행적을 정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채집이외 주요 채집은 1911년 8월 제주도, 1912년 제주도와 경상남도, 전라남도 남부지역, 1913년 백두산과 함경북도 지역, 1916년 낭림산과 평안남도 채집이 대표적이다. 문헌에 기록된 지명은 전체 31개이다. 채집품은 동경대학(TI)에 소장된 966개가 확인되며 이중 11개가 holotype, 23개가 syntype, 12개가 paratype이다.

백두산 천문봉 일대 알칼리유문암의 암석학적 특징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 Rhyolite in the Cheonmunbong of the Mt. Baekdu)

  • 김정수;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3-200
    • /
    • 2017
  • 백두산 천문봉 일대의 알칼리유문암은 유리질 혹은 은미정질 석기에 반상조직을 나타내며, 반정과 기질부의 주 구성광물은 알칼리장석, 휘석, 각섬석이고, 그 외 소량의 감람석, 석영, 불투명광물이 관찰된다. 알칼리장석은 새니딘과 아노소클레이스이며, 대부분의 유색광물은 $Fe^{2+}/(Fe^{2+}+Mg^{2+})$ 함량과 알칼리 원소의 함량이 높다. 감람석은 철감람석에 해당되며, 휘석은 철보통휘석 영역의 철헤덴버자이트이다. 각섬석은 알칼리 각 섬석군에 속하지만, FeO와 $Fe_2O_3$가 분리 측정되지 못해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미량원소의 거미그림에서 Nb 부(-) 이상을 보이지 않으므로, 판경계부의 섭입대 화산활동과 무관한 판내부 화산활동의 산물로 판단된다. 백두산 알칼리유문암은 코멘다이트 계열에 속한다. 비평형 상태의 광물 조합을 나타내는 백두산 산정부의 알칼리유문암들은 성층화산체 형성 단계에서 조면암질 마그마로부터 분별결정작용 이외에도 마그마 혼합을 경험하면서 진화하였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