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 Mountai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백두산 화산재 유해성분 추정을 통한 팔당댐 유역 수질영향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aldang-dam Surface Area through the Estimation of Volcanic Ash Toxic Components from Mt. Baekdu)

  • 지용근;이경빈;최정렬;김지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237-245
    • /
    • 2014
  • 백두산 분화 시 분출되는 화산재에 의한 수질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재 성분을 추정하고, 화산재 퇴적 두께에 따른 수질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백두산 화산재 성분을 추정하기 위해 주요 해외 화산의 마그마분과 백두산의 마그마 성분을 비교하여 유사한 화산을 선정하고, 해당 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재의 성분을 백두산의 화산재 성분과 유사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화산재 유해성분에 의한 수질 농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화산재 퇴적 두께에 따른 유해성분 농도의 증감을 분석한 후,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과 비교함으로서 수질환경에 대한 영향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알루미늄, 카드뮴, 불소, 철, 납, 마그네슘, 염소와 스트론튬 등이 취수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카드뮴, 불소, 철, 납,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수질관리 및 화산분출 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Baekdu Mountain Area Using ANN and AHP Method

  • Quan, Hechun;Moon, Hongduk;Jin, Guangri;Park, Sungsik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79-85
    • /
    • 2014
  •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aekdu mountain area in china, we get two susceptibility maps using AcrView software through weighted overlay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ethod in this paper. To assess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five factors which affect the landslide occurrence were selected as: slope, aspect, soil type, geological type, and land use. The weight value and rating valu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by the two different methods of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n, the weight and rating value was used to obtain the susceptibility maps. Finally, the susceptibility map shows that the very dangerous areas (0.9 or higher)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ous areas around JiAnShi, LinJiangShi, and HeLongShi near the china-north Korea border and in the mountainous area between the WangQingXian and AnTuXian. From the contrast two susceptibility map, we also Knew that The accuracy of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drew by ANN method was better than AHP method.

Sentinel-1 위성의 영상 분류 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천지의 얼음 면적 변화 탐지 (Changes Detection of Ice Dimension in Cheonji, Baekdu Mountain Using Sentinel-1 Image Classification)

  • 박성재;엄진아;고보균;박정원;이창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39
    • /
    • 2020
  • 아시아에서 가장 큰 칼데라 호수인 천지는 해발 약 2250 m의 백두산 정상에 위치한다. 천지는 높은 해발고도 및 바다와 인접한 환경으로 인해 1년 중 6개월 정도가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천지의 수원은 대부분 지하수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수온과 백두산의 화산활동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며 백두산에 많은 화산활동이 관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 ESA)에서 제공하는 Sentinel-1 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백두산의 겨울철 생성되는 얼음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Sentinel-1 위성의 후방산란 영상에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 질감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2개의 편파영상에서 20개의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GLCM) 레이어를 생성했다. 면적 산출에 사용된 방법은 GLCM 레이어를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으로 분류하여 영상에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했다. 또한 산출된 면적은 삼지연 기상관측소에서 획득된 기온자료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본격적인 장기간의 시계열 분석에 앞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한북정맥 훼손유형 연구 (The Study on Damaged Hanbuk Mountain Range in Gyeonggi-Do)

  • 서정영;이양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5-74
    • /
    • 2010
  • This study is for Hanbuk Mountain Range within Gyeonggi province which is to propose the conservation plan by each damage pattern through site survey of the mountain range. The damage patterns are classified by siding, pointing and lining. The total damaged area is 103 areas: The siding pattern is damaged by developing farmland, mineral and quarry mining, dam, large scale development complex and cemetery park; The pointing pattern i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road, transmission tower and way and mountaineering trail; The construction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military facility,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heliport and shelter. The damages by developing road and large scale development complex are the most cause, and military facility, dam and reservoir, and residential area are the main causes, respectively. One of the compromised situation Hanbuk-Mountain Range usage as per section 7 section (18.45%), 12 section (18.45%) is the largest number of compromised has been surveyed, undermine the situation if you look at the usage by the road 25 locations (24.22%), military facilities and dam and reservoir to undermine this 11 established respectively (10.68%) were the most undermine.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 the conservation plan as follow: first, need to understand, educate and publicize on Hanbuk-Mounatin Range; second, manage through the regulations and ordinance of Gyeonggi province; third build and expand the law for protecting Baekdu-Great Mountain Range.

글루타메이트로 유발한 HT22세포 독성에 대한 백두산 식물 추출물의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Plant Extracts from Baekdu Mountain on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HT22 cells)

  • 리빈;정길생;안인파;이동성;변에리사;윤권하;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3-217
    • /
    • 2008
  • Oxidative stress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 variety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central nervous system. The immortalized mouse hippocampal cell line, HT22, phenotypically resembles neuronal precursor cells but lacks functional ionotropic glutamate receptors, thus excluding excitotoxicity as a cause for glutamate triggered cell death. Therefore, HT22 cells are a useful model for studying oxidative glutamate toxic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methanol extracts of some native plants at Mt. Baekdu could protect HT22-immortalized hippocampal cell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Seventy-eight plants sources were collected at Mt. Baekdu, and extracted with methanol. These extracts had been screene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T22 cells at the 100 and 300 ${\mu}g/ml$. Of these, thirteen methanolic extracts, Acer mono (leaf), Artemisia stolonifera (aerial part), Carduus crispus (aerial part), Carex mongolica (whole plant), Clematis hexapetala (whole plant), Galeopsis bifida (aerial part), Galium verum (whole plant), Ganoderma lucidum (whole plant), Ixeris chinensis (whole plant), Malva verticillata (aerial part), Polygonum senticosum (whole plant), Rebes mandshricum (branch), and Taraxacum mongolicum (aerial part),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T22 cells.

백두대간보호지역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는가? (Does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Has Enough Values for World Heritage Inscription?)

  • 김성일;장진성;;박선주;이동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76-487
    • /
    • 2015
  • 이 연구는 세계자연유산으로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와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예비 타당성 검토를 실행하고, 향후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UNEP WCMC, IUCN 자료를 바탕으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기존 세계유산들과의 차이 분석,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기준을 바탕으로 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 및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최근 세계유산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백두대간은 생태적 연결성, 생태 경관과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 국가적인 관리체계의 구축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성 세계유산, 복합유산, 초국경유산으로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그리고 인식 제고 노력을 통해 백두대간의 가치 증진이 이뤄지고, 궁극적으로 남북이 연계된다면 세계유산 공동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삼차원 가시화 기법 (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 윤준희;김호웅;김상민;김태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7
    • /
    • 2016
  • 대한민국은 화산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관측 결과들은 한반도 최 북 단에 위치한 백두산이 더 이상 휴화산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 남한지역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공중의 화산재는 운항되는 비행기의 계기판 및 엔진을 마비시킴으로써 대형 항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산재의 삼차원 확산을 예측하여 화산재가 있는 항로를 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행기 운항을 중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삼차원 가시화 기법을 다룬다. 우선 화산재 확산 예측 데이터의 취득에 대하여 소개한다. 확산 예측 데이터는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all3D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세 가지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가시화 기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기법은 '공중의 큐브' 방식으로 화산재의 입자 농도별로 다른 색을 가진 반투명 큐브를 공중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기법은 '큐브안의 큐브'방식으로 '공중의 큐브' 방식을 개선하여 농도의 정도에 따라 큐브의 분할 정도를 달리하여 배치하는 방식이다. 마지막 방식은 '반투명 화산재 평면' 기법으로 화산재 농도를 가지고 있는 레이어 들을 적층하고 투명효과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목적에 맞는 방식대로 화산재 확산 예측 결과를 삼차원 가시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역대 실지조사기록 검토를 통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 분포 복원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1712~1713): Reconstructing the Distribution of Boundary Markers Based on Actual Survey Documents)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77-612
    • /
    • 2016
  • 이 논문의 목적은 임진정계(1712) 경계표지물에 대한 역대 실지조사기록을 검토하여, 1712~1713년에 만들어진 경계표지물의 분포를 복원하는 것이다. 허량 박도상(1713), 김우식(1883), 이중하(1885), 오록정(1907), 오소네 세이지(1907), 유건봉(1908), 일제지형도(1933), 청진교원대학 백두산탐사대(1948), 길림성 장백산 여행단(1957)의 실지조사기록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1713년 최종 완성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의 분포를 도표와 지도로 제시하였다.

  • PDF

백두산 화산지형에 관한 연구사 (A History of Geomorphological Researches on Baekdusan Volcano)

  • 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5-85
    • /
    • 2020
  •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question of when Mt. Baekdusan became known as a volcano. Attention has been focused rather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the boundary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than the scientific nature of Baekdusan as a volcano. It is on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Park Jong (1764), who was the scholar of the Gwanbuk region, authored the first travel journal on Mt. Baekdu and described poseok. Due to the scientific curiosity of Westerners on the existence of mysterious snow peak on the border, it was first introduced to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by a British man, H.E.M. James in 1887, who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at Mt. Baekdu is a dead volcano, and that the white color on the top is due to wide-spread pumice. Russian expedition teams including Strel'bitskii (Стрельбицкий, 1894, and Garin (Гарин-Михайловский, 1898), also explored this mountain seeking natural resources and territory of East Asia and the Manchurian region in pursuit of Russian Imperial interests explored and described Baekdusan as a volcano.

InSAR Signature 시계열 분석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The Application of InSAR Signature Time Series for Landcover Classification)

  • 윤혜원;최윤수;윤하수;고종식;조성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27-33
    • /
    • 2014
  • SAR 영상은 관측시간과 기상현상 등의 외부 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광학영상보다 광범위한 관측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더간섭기법 (InSAR)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기법은 큰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ALOS PALSAR의 후방산란계수와 긴밀도를 이용한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 최근 화산 폭발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백두산 지역에 시험 적용하였다.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체계는 ALOS PALSAR의 HH, HV편광 모드의 영상을 InSAR 시계열 상에서 패킷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주성분 분석을 도입하여 분류의 신뢰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또한 MODIS 등 광학 영상 기반 분류와 상호 검증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