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d oral habi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일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구강 악습관과의 관련성 (A Study of the Relation of Perceived Stress to Oral Parafunctional Habits in University Students)

  • 이현옥;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21-727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대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가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악습관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 내 악습관 정도에 '수면 시 한쪽으로 누워 잔다'가 가장 빈도 높은 구강 악습관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카페인 음료를 즐겨 마신다', '손이나 물건으로 턱을 괸다',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는다' 등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학교생활 문제, 자신 문제, 경제적 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스트레스 중 자신 문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 중 학교생활 문제, 자신 문제는 구강 악습관 점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구강 악습관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학년,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학교생활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자신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는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 악습관이 해결하기 어려운 구강문제임을 인식하고 구강 악습관에 대한 적절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이 필요하다. 또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노력으로 규칙적인 운동 및 식생활을 하며 개인의 특성에 맞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의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y Stud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Employees Residing at Seoul)

  • 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08-323
    • /
    • 1996
  • 저자는 설문지 방식에 의해 1995년 8월1일부터 1995년 11월 30일까지 서울에 직장을 갖고 있는 직장인 282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측두하악장애의 분포 및 관련요인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을 가진 사람이 남자 41.88%, 여자 46.15%로 전체의 43.26%였다. 2. 일반관절 및 근육통의 증상이 심할수록, 두통 및 진통제 복용빈도가 높을수록, 측두하악장애증상의 빈도가 높았으며 이들 사이에 매우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001). 3. 이갈이, 이악물기, 구강악습관의 빈도가 높을수록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빈도가 높았으며 Stress에 예민하게 반응할수록 이갈이나 이악물기, 깨무는 습관 등 이상기능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4. 편측저작이 양측저작에 비해 측두하악장애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증부위와 측두하악장애 지수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융합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Oral Symptoms According to Dietary Life of Adolescents)

  • 박신영;임선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51-256
    • /
    • 2020
  • 본 연구는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통해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따른 구강건강 증진행위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하루 칫솔질 횟수는 식생활 모두 유의하였고, 에너지음료, 식습관교육경험은 구강건강증진행위와 모두 유의하였으며, 구강보조위생용품은 과일, 채소의 섭취, 실런트 경험은 과일, 패스트푸드, 채소의 섭취, 스켈링 경험에서는 과일섭취,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는 과일,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채소의 섭취가 유의하였다. 구강증상에서는 외상은 과일,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통증과 출혈은 에너지음료, 패스트푸드, 채소섭취와 식습관교육경험, 구취는 과일, 에너지음료, 채소섭취와 유의하였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증상의 관리를 위해 식생활이 고려되어야 한다.

체육전공 대학생의 구강악안면 외상 예방법 교육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 장경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15-920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68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Busan.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4 questions), TMJ symptoms(9 questions), oral habit(8 questions), and mouth guard awareness(5 question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by 5 Likert scale. Higher points of Likert scale showed the negative tendency except the mouth guard awareness. The higher points of mouth guard awareness showed the positive tendency to use the mouth guard. Results: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f 2.75 points in bad oral habit than the female students(p<0.05). Female students higher score of 1.30 points in mouth guard awareness than male students(p<0.05). TMJ symptoms experience in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was 3.15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e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without maxillofacial trauma(p<0.001). TMJ symptoms and Mouth guard awareness showed 2.71(p<0.01) and 1.20 points(p<0.001) respectively in students with maxillofacial trauma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These score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education experience of trauma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rauma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are mouth guard awareness(p<0.001), oral habits(p<0.01),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p<0.01). Conclusions: The necessity of mouth guards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the serious oral trauma.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the rule for mouth guard use in sports activities. Therefore,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Oral habits and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가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울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3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턱관절 장애지수는 구강 악습관 지수, 학교생활 스트레스 지수, 가정생활 스트레스 지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수, 자아 영역 스트레스 지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 악습관 및 각종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 악습관 지수가 턱관절 장애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 영역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학생일수록 턱관절 장애지수가 높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구강 악습관이 지속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Y(턱관절 장애지수)=2.563+.550X1(구강악습관지수)+.134X2(자아영역 스트레스지수) 의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성인으로 이어지는 턱관절 장애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구강 악습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간의 구강건강행태 비교 (Comparison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native family adolescents in Korea)

  • 배진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79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native family adolescents to use as the basis for the oral health care. Methods: The data included a subset of the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self-administered, targeting 72,435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2013.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respondents characteristics, oral eating behavior, drinking, smoking, oral health behavior, oral symptoms. Results: 1. 35.7%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bad economic level and 26.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ived their oral health status to be poorer than native adolescents. 2. 51.1%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5 times more likely to intake milk and 15.5%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ookie intake was higher than native adolescent. 3. 29.9%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lways brushed their teeth more in a week than native adolescents. 4. Bleeding gums and oral odor symptom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24.6%, 28.0% higher than native adolescents. Conclusio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need health education including oral health food habit, oral health care, early dental visit for prevention, early treatment.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구강질환 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smartphone use and oral disease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 김선숙;윤혜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9-53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smartphone use and oral disease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2022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ere use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a smartphone (N=50,375). Chi-squared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disease symptoms and smartphone use time (p<0.05). Results: Consequent to examining the effect of smartphone use on oral disease symptoms, it was found that oral symptoms, such as pain during chewing and tingling throbbing, increased as smartphones were used for >4 h (p<0.05). Additionally, oral symptoms, such as gingivalgia bleeding and bad breath, appeared to increase as smartphones were used for >6 h (p<0.05). However, using smartphones for <0-2 h or 2-4 h had no effect on oral disease symptoms. Conclusions: In adolescents, oral disease symptom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hours of smartphone use. Therefore, adolescents should be guided so that they use smartphones for <2 h or >4 h. Moreover, guidance on forming the habit of tooth brushing after eating food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oral disease symptoms.

일부 군인의 구취관련요인에 따른 구취자각도 (Self-Perception of Halitosis According to Some Soldiers' Halitosis-Related Factors)

  • 이미라;심재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5-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soldiers' oral health level and to offer basic data on controlling and preventing halitosis. It surveyed halitosis-related elements and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elf-perception level of halitosis according to it targeting 253 soldiers in their 20s in some areas of Seoul from September 2012 to October.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for subjects' self-perception of halitosis, the perception status of oral health was indicated to be 'very bad' and to be shown most highly in one place. It was indicated to be high in the group of feeling Xerostomia much and the group of often feeling the white membrane of tongu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p<0.01). 2. Subjects' self-perception of halitosis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the largest intake of snacks. It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the group of having sinus infection and rhinitis. I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the group of having a habit of oral respir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p<0.05). 3. Subjects' self-perception of halitosis was indicated to be lower in the group, which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than the group in opposite cas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p<0.05).

치기공과 재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치기공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ase of Gyeonggi province))

  • 성환경;이선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3-41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5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three different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11,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Results: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ought that subjective health is good(89.0%). When was health bad, expose that nutrition, health responsibility, life appreciation,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oral health care are low(p<0.05). Education level of mothers that oral health care of children is low examine. When inhabit with family was expose that nutrition and oral health care go well(p<0.05). When get social support, respect of life appeared high. As respect of life is high, stress administration went well. As health responsibility is high, nutrition went well, and did well oral health care as health responsibility is high(p<0.01). Conclusion: Recognize importance of health to an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very important to do it as form desirable habit.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upon Missing Tooth of some Industrial Workers)

  • 문선정;이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0-379
    • /
    • 2011
  •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49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7,185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4인이 산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공조명하에서 치경과 핀셋, 탐침,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결손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결손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항은 구강검진문진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구강검사결과통보서 7,185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09개를 제외한 6,976개의 자료를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층이 높은 경우, 치석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흡연을 했거나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경우, 양치횟수가 적은 경우, 치아가 욱신한 경우, 잇몸에 통증 및 출혈과 혀 및 뺨이 욱신한 경우에 결손치율은 높았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결손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켈링의 유효성을 인지시켜, 스켈링의 경험률을 높여주고, 금연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진을 통한 충분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