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ubtilis

검색결과 1,793건 처리시간 0.031초

고초균(Bacillus) 염색체상에서 외래 유전자 Alkaline Elastase Gene의 증폭 (Multiple Chromosomal Integration of a Bacillus Ya-B Alkaline Elastase Gene)

  • 김병문;정봉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44-549
    • /
    • 1995
  • The alkaline elastase is an extracellular serine protease of the alkalophilic Bacillus strain Ya-B. To increase the gene copy number and the production level of the alkaline elastase Ya-B, we designed, on the B. subtilis chromosome, a gene amplification of the 10.6 kb repeating unit containing amyE, aleE (alkaline elastase Ya-B gene) and tmrB. The aleE was inserted between amyE and tmrB, and B. subtilis APT119 strain was transformed with this amyE-aleE-tmrB-junction region fragment. As a result, we succeeded in obtaining tunicamycin-resistant (Tm$^{r}$) transformants (Tf-1, Tf-2) in which the designed gene amplification of 10.6 kb occurred in chromosome. The transformants showed high productivity of $\alpha $-amylase and alkaline elastase Ya-B. The copy number of the repeating unit (amyE-aleE-tmrB) was estimated to be 25, but plasmid vector (pUC19) was not integrated. The amplified aleE of chromosome was more stable than that of plasmid in absence of antibiotics.

  • PDF

Pseudomonas sp. $\beta$-1,4-Glucosidase 유전자의 Esherichia coli와 Bacillus subtilis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beta$-l,4-Glucosidase Gene from Pseudomonas sp. in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 김양우;전성식;김석재;정영철;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118
    • /
    • 1993
  • Fro the purpose of producing glouse from cellobiose or oligo saccharide and obtaining genetic information of beta-1,4-glucosidase gene, alpha beta-1,4-glucosidase gene of Pseudomonas sp. LBC505, potent cellulase complex and xylanase producing strain, was cloned in Es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into pUC19 and pBD64, respectively. Recombinant plasmid pGL1 contained 1.2kb EcoRI fragment was isolated from transformants forming blue color around colony on LB agar plate containing 20 ng/ml of 5-bromo-4-chloro-3-indolyl-beta-D-glucopyranoside(X-glu) and ampicillin.

  • PDF

Bacillus subtilis CAP141의 고농도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Bacillus subtilis CAP141)

  • 조정일;박흥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8
    • /
    • 1997
  •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ubtills CAP141 against pathogens causing major airborne diseases to apple trees, effects of temperature,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 in the culture broth were investigated. The bacterial growth was most vigorous when the temperature and pH of the culture broth was 30~35$^{\circ}$C and 7, respectively. As for carbon source, dextros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dextrose(monosaccharide) > sucrose(disaccharide) $\geq$ saccharose (market disaccharides) > starch (polysaccharieds). Among different sugars, bacterial growth was favored by in the order of brown, black and white supars, indicating that the bacterial growth might be promoted by the minor elements presented as impurities in the less purified sugars. As for nitrogen source, organic forms were better to bacterial growth than inorganic forms, that is polypepton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soy sauce, soybeen milk and inorganic nitrogens. Differences in bacterial growth among different forms of inorganic nitrogen were negligible.

  • PDF

알칼리성 Prete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JK-1의 분리 동정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JK-1)

  • 김지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1-336
    • /
    • 2007
  • 청국장으로부터 알칼리성 pretense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Bacillus subtilis JK-1으로 판명되었다. B. subtilis JK-1이 생산하는 pretense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9.0과 $55^{\circ}C$이었으며, $40{\sim}80^{\circ}C$의 sh도에서 안정하였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 (w/v) xylose와 1.0% (w/v) yeast extract, 0.3% (w/v) $CuSO_4$를 사통하였을 경우 최대의 알칼리성 protease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JK-1의 생육은 배양 후 12시간만에 최대 성장을 나타냈으며, 효소 활성은 8시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6{\sim}20$시간에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천수로부터 분리한 항진균세균의 특성 및 감마선$(Co^{60})$ 조사를 이용한 돌연변이체 유기 (Characteristics of Antifungal Bacterium, Bacillus subtilis YS1 and It′s Mutant Induced by Gamma Radiation)

  • 이영근;김재성;송인근;정혜영;장화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5-311
    • /
    • 2001
  •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하기 위하여 온천수로부터 1종의 동물병원성 진균과 12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고온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YS1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의 감마선($Co^{60}$)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 $D_{10}$ value는 2.08 kGy로 20 kGy 의 방사선량에서도 생존 가능한 방사선 저항성 균주였다.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5종의 돌연변이체를 유기하였으며, 이 중 B. subtilis YS1-1009 돌연변이체는 Botryoshaeria dothide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의 증가 및 4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이 감소하는 종특이적 항진균 활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용농약인 tebuconazole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17종의 다른 농약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야생형 균주에 비해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B. subtilis YS1-1006 돌연변이체는 copper hydroxide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YS67 돌연변이체는 항진균 활성이 소실된 tryptophan 및 proline 또는 uracil 및 arginine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극한 환경에서 분리한 본 분리균주는 환경친화적으로 진균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으며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체 유기는 기능성 균주의 개량이나 작용기작 연구를 위한 돌연변이체의 획득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Bacillus subtilis WL-8의 Mannanase 유전자 클로닝과 특성분석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Gene from Bacillus subtilis WL-8)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7-212
    • /
    • 2010
  •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으로부터 mannanase의 생산균으로 분리된 WL-8 균주는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RNA의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WL-8은 locust bean gum 보다는 밀기울이 첨가된 LB 배지에서 mannanase 생산성이 높았으며,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약 20 U/ml에 이르렀다. 분리균 WL-8의 mannan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그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annanase 유전자는 362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086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졌다. 아미노산 잔기배열을 분석한 결과 WL-8의 mannanase는 GH family 26에 속하며 B. subtilis의 mannanases와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B. subtilis WL-8의 mannanase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대장균의 배양상등액과 균체파쇄상등액을 사용하여 반응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5.5와 $60^{\circ}C$에서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60^{\circ}C$보다 높은 온도에서 배양상등액보다는 균체파쇄상등액에 존재하는 mannanase가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ubtilis HJ18-3과 KACC 15935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특성과 isoflavone 함량의 변화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3 and KACC 15935)

  • 이경하;최혜선;최윤희;박신영;송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128
    • /
    • 2014
  • 청국장 제조 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HJ18-3과 B. subtilis KACC 15935균주를 청국장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켜 품질특성과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a-amylase와 cellulase활성은 control과 B. subtilis HJ18-3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이 B. subtilis KACC 15935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보다 각각 2.56, 2.59배 그리고 1.13, 1.23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rotease활성은 B. subtilis KACC 15935과 B. subtilis HJ18-3의 활성이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Control, B. subtilis KACC 15935, B. subtilis HJ18-3의 함량이 각각 $88.20{\pm}13.86$, $129.62{\pm}1.15$, $118.40{\pm}48.65mg%$로 나타났으며 이는 protease 효소활성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control, KACC 15935, HJ18-3의 함량이 각각 $1.95{\pm}0.72$, $2.62{\pm}1.17$, $2.59{\pm}0.76%$로 전반적으로 control에 비해 처리구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호기적 총균수와 미비한 차이로 B. subtilis HJ18-3의 균수가 적은 경향을 나타낸 것은B. cereus와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control과B. subtilis KACC15935, B. subtilis HJ18-3의 isoflavone 비배당체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 glycitein을 합한 함량은 각각 $158.20{\pm}6.55$, $131.60{\pm}4.00$, $200.79{\pm}7.54ug/g$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raw soybean의 aglycone함량이 3.96 ug/g인 것에 비하여 39~50배 전 환율을 보인다. 또한 ${\beta}$-glucosidase활성이 있는 B. subtilis HJ18-3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control과 Kacc15935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보다 1.27, 1.53배 더 높은 aglycone 전 환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메밀 속성 장으로부터 분리된 B. subtilis HJ18-3 균주는 amylase, protease, cellulase와 같은 세포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하며, 아미노태질소와 환원당 함량이 높고,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유한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청국장의 세계화를 위해 유용 starter로 찾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