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p. SUH 4-2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Bacillus sp. SUH4-2로부터 생산되는 말토올리고당 생성 $\alpha$-Amyl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alto-oligosaccharides Forming $\alpha$-Amylase from Bacillus sp.SUH4-2)

  • 윤상현;김묘정;김정완;권기성;이인원;박관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73-579
    • /
    • 1995
  • A Bacillus strain capable of producing an extracellular malto-oligosaccharides forming $\alpha $-amylase was isolated from soil and designated as Bacillus sp. SUH4-2. The enzyme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Toyopearl and Mono-Q HR 5/5 column chromatographies using a FPLC system.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enzyme was increased by 16.1-fold and the yield was 13.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activity of $\alpha $-amylase was 60-65$\circ$C and more than 50% of initial activity was retained after the enzyme was incubated at 60$\circ$C for 40 min. The enzyme was stable over a broad pH range of 5.0-8.0 and the optimum pH was 5.0-6.0.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determined to be about 63.6 kD and isoelectric point was around 5.8. The enzyme activity was strongly inhibited by Mn$^{2+}$, Ni$^{2+}$, and Cu$^{2+}$ ; slightly by Ca$^{2+}$. The purified enzyme produced starch hydrolyzates containing mainly maltose and maltotriose from soluble starch. The starch hydrolyzates were composed of 11% glucose, 59% maltose, 25% maltotriose and 5% maltotetraose.

  • PDF

Isolation of a Phytase-Producing Bacillus sp. KHU-10 and Its Phytase Production

  • Choi, Yang-Mun;Noh, Dong-Ouk;Cho, Sung-Ho;Lee, Hyo-Ku;Suh, Hyung-Joo;Chung, S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223-226
    • /
    • 1999
  • A bacterial strain producing high level of an extracellular phytase was isolated from cooked rice and ident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sp. and designated as Bacillus sp. KHU-10.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maximum productivity of phytase by Bacillus sp. KHU-10. 1.0% Maltose and 1.0% peptone with 0.5% beef extract were the best carbon source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CaCl_2$, stimulated the enzyme productivity with concentration between 0.01% and 0.2%, in the medium. Although sodium phosphate increased the cell mass, the enzyme activity decreased. Calcium phytate and wheat bran containing phytate did not enhance the enzyme production. Under the optimum medium, the production of the phytase reached the highest level of 0.2 unit/ml after 4 days of incubation.

  • PDF

Bacillus sp. A29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과 물성 (Produc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from Bacillus sp. A29)

  • 안성구;서현호;이창호;오희목;권기석;이동희;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1
    • /
    • 1994
  • A bacterial strain producing highly viscous polysaccharide(A29 POL)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sa Bacillus sp. A29. The cultural conditions of the Bacillus sp. A29 for the polysaccharide prouction were dextrin 12%, soytone 0.2%, SnCl$_{2}$ $\cdot $2H$_{2}$O 0.02%, Na$_{2}$HPO$_{4}$ $\CDOT $12H$_{2}$O 0.36%, L-alanine 0.01%, initial pH6.8, and 30$\circ $C at pH 3 FOR 4 days. Final viscosity of the culture broth was 65, 000 cp and then the amount of produced polysaccharide was 8.3 g/l. A29 POL was composed of glucose and xylose. A29 POL showed high viscosity at low concentration(0.1%) and in the presence of the salts such as NaCl or CaCl$_{2}$. A29 POL showed high viscosity acid condition and at alkali condition and high pseudoplasticity in the presence of a NaCl or CaCl$_{2}$. It was shown that the viscosity at high temperature(80$\circ $C) was decreased but it was recovered at low temperature (20$\circ $C. A29 POL was able to from film and gel in the presence of MgSO$_{4}$ $\CDOT $7H$_{2}$O, Na$_{2}$CO$_{3}$ \CDOT $H$_{2}$O, MnSO$_{4}$ $\CDOT $ 7H$_{2}$O. A29 POL had anionic charge.

  • PDF

균주(菌株)를 달리한 청국장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 청국장의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함량(含量)과 질소성분(窒素成分)-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III. Changes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Nitrogen 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 서정숙;류명기;허윤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5-391
    • /
    • 1983
  • Bacillus natto 및 Bacillus subtilis 균(菌)을 이용(利用)한 청국장메주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아미노산(酸) 함량(含量)과 질소성분(窒素成分)의 변화(變化)는 다음과 같았다. (1) 발효과정(醱酵過程)중에 pH는 시험구(試驗區) 모두 증가(增加)되어 발효초기(醱酵初期)에 6.37에서 72시간(時間) 후(後)에는 8.2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은 16.82%에서 18%로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증감현상을 보였고 총당(總糖)은 시험구(試驗區) 모두 감소한 반면에 Reducing sugar는 발효(醱酵) 24시간(時問)에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다가 다소(多小)감소 하였으며 protease활성(活性)은 발효시간(醱酵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48{\sim}60$시간(時間)에서 최대활성(最大活性)을 보였으며 Bac. subtilis보다 Bac. natto구(區)가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2) Amino nitrogen과 수용성질소도 서서히 증가(增價)하였으며 Bac. natto구(區)가 더 높았다.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에 있어 Bac. natto시험구(試驗區)가 Bac. subtilis 보다 발효(醱酵) 72시간(時間)후에 4.4%가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 있어 두 시험구(試驗區) 모두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leucine, phenylala nine, histidine, alanine, arginine순(順) 이었으며 Bac. natto구(區)가 Bac. subtilis구(區)에 비(比)하여 다소(多小) 높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청국장 제조(製造) 균주(菌株)로서 Bac. subtilis보다 Bac. natto가 더욱 우수 하였다.

  • PDF

Produc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ioflocculant Produced by Bacillus sp. DP-152

  • SUH, HYUN-HYO;SEONG-HOON MOON;HEE-SIK KIM;HYOUNG-KAB KIM;GEE-ILL JUN;HYUN-GEOUN PARK;DAE-OOK KANG;HEE-MOCK OH;BYUNG-DAE Y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618-624
    • /
    • 1998
  • The culture conditions for Bacillus sp. DP-152 in the flask were investigated for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locculant, DP-152.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locculant production were 8.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avorable substrates for flocculant production were soluble tarch and ammonium nitrate. The medium composition was optimized as follows: 30 g soluble starch, 0.75 g $NH_4NO_3,\; 2.0g\; K_2\;HPO_4,\; 0.1\; g KH_2PO_4,\; 0.2g\; MgSO_4.\; 7H_2O,\; and\; 0.2g\; MnSO_4~5H_2O$ in 11 of distilled water. Under this optimized condition, flocculating activity has been improved 4-fol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medium. In the culture flask, the highest flocculating activity was obtained after 70 h of cultivation and the amount of bioflocculant DP-152 yielded was 12.4 g/$\ell$. The solution of bioflocculant DP-152 showed non-Newtonian characteristics. Bioflocculant DP-152 exhibited apparently higher viscosity at al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at of zooglan (from Zoogloea ramigera), and it was stable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and pHs.

  • PDF

돈분퇴비의 시용이 배추재배지 토양의 미생물상 및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Soil Microbial Flora and Chem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by the Application of Pig Manure Compost)

  • 원항연;권장식;서장선;최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6-83
    • /
    • 1999
  • 가축분 퇴비가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 시험포장에 시용량($8Mg\;ha^{-1}$, CM-8구: $29Mg\;ha^{-1}$, CM-29구: $57Mg\;ha^{-1}$, CM-57구)을 달리하여 돈분퇴비를 시비하고 봄배추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토양을 채취하여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생물의 생균수는 무비구(대조구)에 비하여 화학비료구(NPK구)에서 세균, 방선균, 사상균수는 높았으나 세균 중에서 Bacillus속과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는 현저히 낮았다. 반면에 퇴비 구에서는 Bacillus속을 제외한 모든 미생물이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퇴비 $57Mg\;ha^{-1}$ 시용구(CM-57)에서는 세균 사상균,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4, 2.3, 3.2, 3.1배 높았다. 퇴비구에 있어서 세균(Bacillus속 포함)의 경우 배추의 생육초기에 정점에 도달하였으나, 형광성 Pseudomonas속은 생육후기에 사상균과 방선균은 수확기에 최고의 밀도를 보였다. 한편 토양미생물의 근권효과는 형광성 Pseudomonas속이 가장 컸다. 재배토양의 화학성분은 pH를 제외한 모든 항복에서 퇴비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NPK구의 경우 EC와 K함량은 $0.89dS\;m^{-1}$$1.64cmol^+kg^{-1}$로 각각 대조구에 비하여 3.4 및 5.0배로서 모든 처리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배추의 수량은 대조구가 $44Mg\;ha^{-1}$이었으나 퇴비구에서는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수되어 CM-57구에서 $163Mg\;ha^{-1}$으로 처리구 중 가장 많은 수량을 거두었고 NPK구에서는 이보다 적은 $143Mg\;ha^{-1}$이었다.

  • PDF

발효녹용의 균주 선별 및 발효녹용의 생리활성 (Isolation of Strain for the Preparation of the Fermented Antler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김민경;정은영;이현순;신광순;김유경;나경수;박철수;우문제;이상훈;김진수;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37-12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녹용의 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새로운 약리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녹용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탐색하였으며, 선정된 미생물 이용하여 발효시킨 녹용에 대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Bacillus sp., Lactobacillus sp. 및 버섯균사체중 녹용발효에 적합 균주로 B. subtilis KH-15, SCB-3과 버섯 균사체인 Cordyceps militaris,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26136, Inonotus obliquus 26147을 이용하여 발효녹용 제조 시 발효물의 고형분 함량은 B.subtilis KH-15와 SCB-3가 가장 높았으며, total sugar, uronic acid, S-GAG 함량은 C. militaris에 의한 발효물이 각각 1619.3 ${\mu}g$/mL, 302.0 ${\mu}g$/mL, 119.9 ${\mu}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sialic acid 함량도 21.6 ${\mu}g$/mL로 B. subtilis KH-15의 24.8 ${\mu}g$/mL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면역 증강을 예측할 수 있는 항보체 활성은 B. subtilis 균주로 발효한 경우는 B. subtilis KH-15 균주의 $ITCH_{50}$값이 42.3%로 SCB-3 29.9%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녹용 중에는 C. militaris가 50.1%로 가장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력을 알 수 있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 subtilis KH-15 발효물이 4.97 mg/mL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Inonotus obliquus 26147가 16.98 mg/mL의 $IC_{50}$값으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녹용추출물에 비하여 녹용 발효물은 uronic acid, S-GAG, sialic acid 등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였으며, 항보체 활성과 라디칼 소거능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녹용자체가 지니는 조혈작용 등 생리활성 외에 항보체 활성처럼 새로운 활성이 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칼 소거능처럼 기존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작재배지토양(連作栽培地土壤)의 식물독소(植物毒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작물근권토양(作物根圈土壤)의 미생물분포(微生物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hytotoxin in Intensively Cultivated Upland Crops -II. Popu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of upland crops)

  • 이상규;서장선;김영식;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3
    • /
    • 1987
  • 고추, 마늘, 화훼, 배추및 양파등(等)의 연작지(連作地)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세균(細菌), 사상균(絲狀菌) 및 이들 미생물(微生物)의 분포비율등(分布比率等)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추및 마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의 세균(細菌) 및 사상균수(絲狀菌數)는 일반답토양(一般畓土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적었다. 2.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 세균(細菌)은 당류(糖類)를 산화(酸化)하여 생육(生育)하는 당류자화성세균(糖類自化性細菌)과 질산환원(窒酸還元)을 가진 세균수(細菌數)가 많았다. 3. 마늘과 토마토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에는 당(糖)의 산화작용(酸化作用)에 의한 Alkali 생성균수(生成菌數)가 많았다. 4. 작물연작지토양(作物連作地土壤)의 근권(根圈)에서는 대체(大體)로 Pseudomonas, Xanthomonas, Bacillus, Achromobacter 속(屬)의 세균(細菌)이 그리고 사상균(絲狀菌)은 Penicillium속(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Phoma, Humicola 및 Aspergillus속(屬)의 균주(菌株)였다. 5. 전공시토양(全供試土壤)에서 식물독소생성균(植物毒素生成菌)인 Stachybotris속(屬)의 사상균(絲狀菌)이 분리(分離)되었다.

  • PDF

세균에 의한 생전분 분해효소의 생성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w Starch Hydrolyzing Enzyme from Bacteria)

  • 박인식;남인;고선옥;김기남;서경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0
    • /
    • 1990
  • 토양으로부터 생전분을 분해하는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Bacillus sp.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세균으로부터 생전분 분해효소의 생성을 위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세균은 탄소원으로 wheat 및 soluble starch를, 질소원으로 polypeptone을 사용했을 때 최대 효소생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원을 0.5, 질소원을 0.5 수준으로 사용했을 때 효소 생성을 극대화 하였다. 그리고 배지의 초기 pH를 6.5, 배양온도를 $35^{\circ}C$로 유지했을 때 효소생성이 높았다. Seepharose CL-6B 젤 여과 및 DEAE-Sephacel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부분정제한 효소활성의 최적조건은 pH6.5, 온도 $70^{\circ}C$ 였다.

  • PDF

부위별 식용백합 추출물의 항산화 및 향균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 정용면;박수진;이기영;이지용;서정근;황성연;박경은;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2-457
    • /
    • 2007
  • 본 실험은 백합의 생리활성 기능을 탐색하여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구근, 잎, 꽃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 전자 공여능, SOD 유사활성,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백합 부위별 총 페놀함량에서는 L. davidii 잎 0.068 mg/mL, L. lancifolium 구근 0.039 mg/ml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 davidii 잎 0.72 mg/mL, L. lancifolium 구근 0.65 mg/ml로 측정되어 백합 품종 및 부위에 따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에 큰 차이가 있었다. 백합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L. davidii 의 잎 82.7 ${\pm}$ 2.8%, 꽃 66.1 ${\pm}$ 6.7% 구근 50.6 ${\pm}$ 2.0%로 잎에서 가장 높았다. L. lancifolium 에탄올 추출물은 잎 74.9 ${\pm}$ 3.5%, 꽃 73.9 ${\pm}$ 4.1% 및 구근 60.0 ${\pm}$ 4.7%로 나타났다. 백합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L. davidii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은 잎 81.8 ${\pm}$ 2.7%, 꽃 81.4 ${\pm}$ 4.6%, 구근 80.9 ${\pm}$ 7.1% 이었고 L. lancifolium 추출물은 잎 76.4 ${\pm}$ 4.6%, 꽃 81.4 ${\pm}$ 4.6%, 구근 84.5 ${\pm}$ 1.2%로 나타나 품종별, 부위별로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 davidii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측정 결과 잎 24.9 ${\pm}$ 5.6%, 꽃 14.9 ${\pm}$ 0.4%, 구근 13.798 ${\pm}$ 8.0% 이었고 L. laneifolium 추출물은 잎 15.1 ${\pm}$ 0.7%, 꽃 17.3 ${\pm}$ 0.0%, 구근 13.3 ${\pm}$ 0.2%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합 부위별 추출물을 이용한 그램 양성 균주에서 항균효과 측정 결과는 B. subtilis와 S. enteritidis 에서도 L. davidii, L. lancifolium 의 잎과 꽃에서 10 mm 이상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특히 B. subtilis에서는 L. lancifolium 의 꽃 부위에서 항균효과가 높았다. 또한 Gram 음성 균주에서는 Listeria monocytogenes 및 E coli 에서 L. davidii, L. laneifolium의 잎과 꽃에서 10mm 이상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L. davidii의 꽃과 L. laneifolium의 꽃, 잎에서 12mm 이상의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