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by Boomer Gener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6초

필리핀 베이비부머 교민의 성공적 노후준비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research of Philippines Baby Boomer overseas Korean)

  • 박현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02-312
    • /
    • 2013
  • 본 연구는 필리핀 교민 중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리핀 마닐라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을 대상으로 2011년 6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총 150부 중 105부를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교민들의 노후 준비 실태 파악을 통해 해외 교민의 노후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노후준비, 정서적 노후준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를 위해서 정서적 준비가 경제적, 신체적 준비에 비해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서 상대적인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교민의 노후에 대한 사회 복지적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서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국민의 세대별 국내여행 방식 및 만족도 영향요인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Travel Patterns and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y Generations)

  • 이미숙;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7-166
    • /
    • 2020
  • 대한민국 국민의 해외여행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인데 반해, 국내여행 비율은 수년간 답보 상태에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국내관광 증진 효과는 제한적이다. 국내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행자들별로 선호하는 여행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이에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세대별 여행 방식의 특징을 분석한 후, 각 세대별로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대'란 같은 시대에 살면서, 비슷한 생애주기에 유사한 내/외부의 경험을 하기 때문에(김기연 등, 2003), 다른 세대와는 구별되는, 그 세대만의 관광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여행상품 구성의 관점에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여행 상품 구성 및 마케팅에 필요한 요소인, 여행정보 수집 방식 및 출처, 사전 예약 상품의 종류, 패키지 이용 여부, 여행 시기/기간 및 장소, 여행시 주요활동 그리고, 여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 문화체육관광연구원에서 수집한 2017년 국민 여행 실태조사 데이터 16,713건이 활용되었으며, 데이터는 패널들의 세대에 따라서, 밀레니얼(19세~34세), X세대(35세~54세), 베이비부머(55세~64세), 시니어(65세 이상)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 세대 모두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문화유산이 풍부하며, 숙박 시설이 쾌적할 때, 여행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전체 패키지보다는 숙박, 차량 대여 등 개별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맛집 탐방 상품을 제공하는 것도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세대별로는, 밀레니얼은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방문지를 중심으로 체험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을 위한 관광 안내 시설을 잘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포털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마케팅도 밀레니얼 세대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X세대는 자가용으로 여행하기 좋은 지역에,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체험형 여행상품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에게는 교통만족도가 중요하며,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관광지로 여행을 많이 간다는 특징은 밀레니얼 세대와 유사하다. 베이비부머와 시니어 세대의 경우, 자연 감상 및 휴식, 쇼핑 등을 포함한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보다는 구전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겠다. 특히 시니어 세대의 경우, 봄가을을 중심으로, 당일 여행 패키지 상품을 구성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대별 여행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화된 관광상품을 구성한다면, 궁극적으로 국내관광산업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황금빛 내 인생>에서 나타난 가족관계 해체와 재구성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Family Relationship as Revealed in "My Golden Life")

  • 김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71-476
    • /
    • 2018
  • 이 논문은 한 가정에서 나타난 가족관계의 형성과 분열과정의 원인과 결과, 관계회복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작품으로는 2018년 상반기 가장 높은 시청률을 보인 드라마<황금빛 내 인생>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이 드라마에서 나타난 한 가정을 중심으로 베이비부머세대와 에코부머세대, 그 이후 세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가족관계에 대한 세대 간의 부담과 갈등, 그리고 책임감은 가부장적인 일방적인 관계였다. 이러한 관계는 부담감으로 얽혀있는 관계를 끊어버리고 해체하였다. 가족 간의 관계단절은 가족의 굴레에서 벗어나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해체된 관계단절의 회복은 개인의 자존감과 정체성이 먼저 정립된 후 이루어지는 쌍방향성 관계에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 김종인;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55-6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한 강현정(2012)의 데이터 11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회참여는 경제활동 77.7%,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활동 79.3%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노후 사회참여 의향은 경제활동 80.9%, 자원봉사활동 76.7%, 여가활동 82.2%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현재 사회참여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에도 사회참여를 하려는 의향이 높았다. 그런데 현재는 사회참여를 하지 않으나 노후에는 사회참여를 하고자 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활동의 경우에는 55.8%, 자원봉사활동의 경우에는 70.6%,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66.5%였다. 셋째, 현재 사회참여여부가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노후 삶의 만족도에 중요 변수로 알려진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서울시 50대 정신건강검진사업에 대한 웹기반 조사 (Web-Based Survey on the Mental Health Screening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 안승민;이미경;이소희;석정호;이해우;강석훈;백종우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8-114
    • /
    • 2017
  • Objective : A pilot project entitled '50s mental health screening project' was conducted in Seoul. As a part of this project, we conducted surveys to obtain the opinions of psychiatrists regarding mental health screenings. Methods :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memb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which enquired about the '50s mental health screening project'. Results: A majority (90.9%) of the subjects agreed on the purpose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However, there were fewer individuals that actually showed the intent to participate (65.8%). The mean age of the group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higher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clud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psychiatry (3.795), low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3.784), and inconvenience of reporting to public health centers (3.664).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hat scored the highest for screening mental health was face-to-face consultation with a psychiatrist (3.889). Most of the participants agreed on the method of a self-reported survey along with an interview of psychiatrist (84.9%). Conclusion : Subjects were concerned ab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psychiatry, low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and inconvenience of reporting to public health centers. These problems need to be supplemented. Face-to-face consultation with a psychiatrist may be considered an appropriate method for future mental health screening.

세대별 소비지향태도와 소비자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gener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consumer role performance)

  • 김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4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gene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consumer role performa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of respective generations. The means of New generation are higher than the other generations especially in amusement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Baby-boomer generation is more interested in consumption than any other generation and has a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older generation is passive to consumption and their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are those of amusement. 2) There is also the significant gap between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of generations. The means of new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are higher in consumer role performances than other generations and are especially doing better in the roles of estimator and manager. 3)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illustrate the variation of consumer role performance and the stronger the rational or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higher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rational or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the lower the passiv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higher the consumer performance. In purchaser and manager role, the more positive the consumption and the higher the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the better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 PDF

베이비부머 세대 삶의 웰니스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lness Change of Life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장유미;허영림;정면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5-220
    • /
    • 2015
  • 베이비부머 세대는 현재의 저 출산 고령화 현상과 맞물려 다양한 사회문제를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의 정책들과 함께 이 세대의 삶의 패턴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세대 삶의 웰니스 요인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에서 태어난 년도가 1955년-1963년생 가구원을 중심으로 삶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6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생활수준, 건강, 수입, 직업, 여가,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의 만족은 직업을 통해서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사회적 관계 또한 직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현재 수입에 대한 안정이나 만족보다는 앞으로 삶을 위한 보장을 좀 더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웰니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원만한 가족관계가 중요하였다.

Color Cosmetics Market's Segmentation for Korean New Seniors

  • Baek, Kyoung Ji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89-1204
    • /
    • 2020
  • Population aging and longevity have compelled major worldwide consumer markets to focus on senior citizens who exhibit a desire to nurture their appearance and obtain related products such as cosmetics. This trend signals an increasing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elderly consumers in the color cosmetics market.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in the pre-elderly stage ("new seniors") based on their lifestyle and market segments. It employed online surveys with participants consisting of pre-elderly Korean women born between 1955 and 1963 who reside in the greater Seoul and Gyeonggi area. The study used SPSS 23.0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s test, and cross-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ew sen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lifestyle: Prime Seniors, Potential Seniors, Rational Seniors, and Slump Seniors. Each group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nior market requires further segmentation and is no longer a single uniform market.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lifestyles of the elderly is an instrumental variable for their segmentation.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부모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d Age Preparation of Baby Boomers Give Dependents Awareness of Parent)

  • 박근수;김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67-4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가 가족 및 개인의 책임과 의무로 여겨져 왔던 부모부양의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현실에 있어서, 시대 상황적으로 여러 가지 상대적으로 취약한 베이비부머 세대 스스로의 노후준비가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종교, 주거상태, 월평균소득 등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건강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가족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주거생활 관련 노후준비수준 그리고 노후준비수준 총합 모두에서 부모부양의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거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과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확률이 .001(*p<0.05)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어서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005(*p<0.05)의 유의확률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의 노후 준비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그들의 부모부양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 번째, 그들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안정적 지원정책이 차별화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두 번째로 봉사활동 등 사회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며, 아울러 아직 젊은 그들에게 경제활동을 통한 경제생활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국가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베이비붐세대 은퇴예정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Baby-boomers as Pre-retirees)

  • 박미향;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5-208
    • /
    • 2011
  • 본 연구는 50대 공직자 500명의 일상에서의 정보탐색행태와 패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설문자료분석은 은퇴예정집단으로서 베이비붐세대의 개인정보환경, 개인정보추구태도, 온라인정보태도, 정보추구의 장애, 은퇴기대와 도서관기대라는 6개의 변수간의 상호 연관관계 모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 개인정보환경과 정보추구태도는 은퇴기대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노령사회를 대비하여 새롭게 부상하게 될 도서관이용자집단에 대한 도서관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