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W sy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1초

BRW Stereotaxic System을 이용한 뇌간신경교종의 정위수술적 생검술 (A BRW Stereotaxic Biopsy of Brain Stem Glioma)

  • 백승찬;최병연;문충배;지용철;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343-349
    • /
    • 1986
  • 본 교실에서는 2례의 뇌간부위 병소에서 BRW system을 이용한 정위적 생검술을 시행하여 악성 신경교종 및 신경교 성상 세포종 Grade II로 확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BRW Stereotaxic System을 이용한 뇌실질내 Sparganosis의 정위적 수술 치험례 (A Case of Cerebral Sparganosis Operated by BRW Stereotaxic System)

  • 김성호;백승찬;임좌혁;김오룡;지용철;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41-145
    • /
    • 1988
  • 뇌실질을 침범한 sparganosis는 매우 희귀한데 본 교실에서는 간질과 좌측 편마비를 동반한 두통을 주소로 입원한 47세 여자 환자의 우측 전두엽의 뇌실질에 있는 Sparganum을 BRW stereotaxic system을 아용하여 개두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국소 마취하에서 적출하여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도 함께 보고하였다.

  • PDF

비직교성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뇌정위수술용 좌표계를 이용한 표적위치 결정 (Determination of Target Position with BRW Stereoatic Frame in non-orthogonal CT scans)

  • Park, Tae-Jin;Kim, Ok-Bae;Son, Eun-Ik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권1호
    • /
    • pp.53-62
    • /
    • 1992
  • 최근 두개부 종양의 방사성물질의 자입과 방사선입체조사에 의한 뇌수술이 개발되어 의료계 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방사선수술등은 비관혈적인 체외조사이므로 뇌정위수술용 좌표계의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표적중심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알려진 방법은 뇌정위수술용좌표계의 전산화단층찰영에 대한 직교성하에서 비교적 정확하게 표적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나, 임상현장에서 직교성유지는 실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필자들은 임의의 비직교성 스켄하에서 정확한 표적좌표를 얻기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표적오차는 평균 0.02$\pm$0.3mm를 보였다.

  • PDF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뇌정위 방사선수술시 Isocentric sub system의 기하학적 오차

  • 이석춘;오종영;김남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3
    • /
    • 1995
  • 목적 : 뇌정위 방사선수술은 AVM(ateriovenous malformation)이나 작은 크기의 종양에 1회에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기술이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을 하기 위하여 최근 본원에 설치한 Philips SL 75-5 선형가속기와 isocentric sub system(ISS)에 의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에 있어서 표적의 위치선정과, gantry와 couch의 회전시 기하학적 오차가 중요시 되는데 isocentric sub system의 오차를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방사선원으로는 Philips SL 75-5 선형가속기의 5MV 광자선을 사용하였고, 원형의 작은 광자선속을 위하여 isocenter에서의 직경이 26mm인 secondary cone을 gimbal baaring에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표적의 크기와 좌표를 정하기 위하여 CT나 angio localizer를 이용하고, 표적좌표 선정을 위하여 BRW phantom base와 target pointer를 이용하여 임의의 BRW-coordinator를 바꾸어 가면서 gantry angle와 ISS head 각도를 임의로 바꾸어 가면서 film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흑화된 film을 view box 위에 놓고 광학판독기구로 film 가장자리의 오차를 scale 확대경으로 측정하여 오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 표적좌표 선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의의 표적좌표에 gantry의 10개각도 ISShead의 10개각도에서 각각 광자선을 조사시켜 film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한 결과 collimator cone의 직경이 26mm일때 전체 평균오차가 0.219+-0.03mm이었다. 결론 : Isocentric sub system은 gantry head와 ISS arm 사이에 gimbal bearing이 있어서 이 부위를 flexible하게 연결함으로 gantry의 회전에 무관하게 정확한 isocenter를 유지시켜 주고 ISS head는 couch와 독립되어 움직이므로 isocentric sub system isocenter의 오차를 최대한 줄일수 있음을 알았다.

  • PDF

두개강내 질환에서 BRW 콤퓨터 정위수술장치의 적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Brown-Roberts-Wells Stereotactic System in the Management of Intracranial Lesions)

  • 문충배;김완섭;고삼규;임좌혁;백승찬;지용철;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53-62
    • /
    • 1986
  • In the past 10 years, modern technology has made deep seated obscure lesions visible. With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various stereotaxic techniques, many new procedures. refinement of old procedures, and development of new applications are possible. The authors are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our experience with the Brown-Roberts-Wells(BRW) stereotactic system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90 patients with intracranial lesions, and to provide cases presentation of various inaccessible intracranial lesions.

  • PDF

부호 그래프에서의 빠른 랜덤워크 기법 (Fast Random Walk with Restart over a Signed Graph)

  • 명재석;심준호;서보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15
  • 랜덤워크는 그래프 기반의 랭킹 기법들에서 빈번히 사용되지만, 그래프 간선에 음수 가중치를 가지는 부호 그래프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하이더의 균형 이론을 적용하여 랜덤워크수행 시 음수 가중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추천 시스템에 적용되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아이템을 걸러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제안한 모델의 성능을 위해 기존의 Top-k 랜덤워크 계산 기법인 BCA를 확장한 Bicolor-BC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임계값이 필요한데, 실험을 통해 임계값에 따른 정확도와 성능의 변화를 살펴본다.

뇌정위 방사선수술을 위한 컴퓨터 치료계획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ereotactic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 조병철;오도훈;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8권1호
    • /
    • pp.17-24
    • /
    • 1997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뇌정위 방사선수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PC에서 실행 가능한 치료 계획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28 MB RAM 용량의 Pentium Pro 200 MHz의 PC에서 Windows 95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Research Systems사의 프로그램 제작 툴인 IDL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였다. Brown-Robert-Wells(BRW) 정위틀을 두개골에 고정한 후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얻은 영상데이터를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하여 PC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영상데이터를 입력시킨 후 각 단면영상에서의 정위틀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정위좌표계를 설정하여 단변영상의 좌표, 기울어짐, 축소율 등을 정확히 계산하여 보정할 수 있다. 좌표계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각 단면에서 표적 및 방사선 민감 조직들의 외곽선을 입력, 수정한다. 외곽선의 입력이 종료되면 표적의 중심이 결정되고 방사선 수술을 위한 빔의 설계한다. 빔 설계의 효율성을 위하여 Beam's eye view(BEV) 및 Room's eye view(REV)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빔의 설계가 끝나면 3 차원적인 선량계산을 시행한다 .5개의 arc로 설계하였을 때 선량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2 분이었다. 선량분포는 각 단면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표적 및 주변 방사선 민감 조직들의 Dose-Volume Histogram(DVH)을 평가하여 선량분포 및 치료계획의 합리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기본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PC 기반의 뇌정위 방사선수술을 위한 치료계획시스템으로 앞으로 임상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Target Localization Error between Conventional and Spiral CT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 Kim, Jong-Sik;Ju, Sang-Kyu;Park, Young-Hwan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5
    • /
    • 2000
  • The accuracy of the target localization was evaluated by conventional and spiral CT in stereotactic radiosurgerv. Conventional and spiral CT images were obtained with geometrical phantom, which was designed to produce exact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several objects within 0.1mm error range. Geometrical phantom was attached by BRW headframe, intermediate head ring, and CT localizer. Twentv-seven slices of conventional CT image were scanned at 3 mm slice thickness. Spiral CT images were scanned at 3 mm slice thickness from the pitch value 1 to 3, and twenty-seven slices of image were obtained per each the pitch value. These CT images were transferred to a treatment planning system(X-knife, Radionics) by ethernet,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se images measured from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were compared to known values of geometrical phantom. The mean localization error of the target localization of conventional CT was 1.4mm. In case of spiral CT, the error of the target localization was within 1.6mm from the pitch value 1 to 1.3, but was more than 30mm above the pitch value 1.5. In conclusion, as the localization error of spiral CT was increased in high pitch value compared to conventional CT, the application of spiral CT will be with caution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 PDF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을 위한 QA (QA of a stereotactic radiosurgery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

  • 조병철;오도훈;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2호
    • /
    • pp.89-94
    • /
    • 1999
  • BRW 정위프레임을 사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1) 정위방사선수술용 원형 콜리메이터, 2)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치료 위치 결정을 위한 localizer, 3) 결정된 치료위치를 치료기에서 조준하기 위한 target localizer, 4) 정위방사선수술용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정위방사 선수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자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에 앞서, 인체 모형 팬톰 및 QA용 팬톰을 사용하여 일련의 모의 치료를 시행하여 봄으로써 위치 오차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1) 기하 팬톰을 이용한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의 위치 확인 정확도는 평균값, Avg.=(equation omitted)이 1.0mm 이었으며, 2) 치료기의 중심점의 기계적 정밀도는 0.6 $\pm$ 0.2 mm, 3) 컴퓨터단층촬영 및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상 타켓의 위치 계산의 차이는 0.8 mm 크기 차이는 1.5 mm 로 분석되었고, 4)전 치료과정에 대한 위치오차는 0.9$\pm$0.3 mm 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 저자들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기하학적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임상 적용에 적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QA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두개부내 표적의 3차원적 위치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tactic Target Position with MR Localizer)

  • 최태진;김옥배;주양구;서수지;손은익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6
  • 목적 : 전신자기공명영상장치의 두개부코일링에 삽입할 수 있는 뇌정위표적기를 제작하고,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표적의 입체적 위치를 결정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 고강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1.5T 의 전신자기공명 영상장치에서 뇌정위시술용 두 개 부고정환에 부착하여 두개부내 표적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뇌정위표적기를 시험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험제작된 뇌정위표적기는 자기공명장치 Magnetom 1.5T(Siemens사, 독일)의 두부코일(외경이 260mm)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횡단면이나 시상면 또는 관상면에서 표적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하여 각 단면에서 결정된 가상표적의 위치를 비 교하였다. 결과 : 위치가 서로 다른 2개의 가상표적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 횡단면에서 x축의 최대오차는 -1.4mm, y축 -0.7mm, z축 1.lmm를 얻었으며, 시상면에서는 X축 1.3, Y축 1.0mm, Z축 1.lmm, 관상면에서는 X축 -1.4mm, Y축 1.1mm, Z축 -1.5mm로 나타나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구한 표적값이 실험오차범위에서 거의 일치하였다. 결론 : 고강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시험제작한 자기공명영상용 뇌정위표적기를 이용하여 두개부내 표적에 대한 모의실험결과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구해진 표적의 위치가 2mm의 오차범위내에서 실제값에 거의 일치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