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_{5}$

검색결과 1,176건 처리시간 0.022초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에 의한 저농도 고유량의 하천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Stream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Surface-flow Wetland)

  • 함종화;윤춘경;구원석;김형철;신현범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1호
    • /
    • pp.79-91
    • /
    • 2005
  • Wetland systems are widely accepted natural water purific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in nonpoint sources pollution control. Constructed wetlands have become a popular technology for treating contaminated surface and wastewater. In this study, the field experiment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ings from polluted stream waters using wetland system was performed from June 2002 to March 2004, including winter performance using four newly constructed wetlands. The Dangjin stream water flowing into Seokmun estuarine lake was pumped into wetlands, and inflow and hydraulic residence time of the system was $500m^{3}{\~}1500m^{3}/day\;and\;2{\~}5$ days respectively. After 3 years operation plant-coverage was about $80~90\%$ from zero at initial stage even with no plantation.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influent in growing season was BOD_{5}\;3.96mg/L$, TSS 22.98 mg/L, T-N 3.29 mg/L, T-P 0.30 mg/L. The average removal rate of four wetlands for $BOD_{5},\;TSS,\;T-N\;and\;T-P$ in growing season was $24\%$, $62\%$, $54\%$, and $51\%$, respectively. And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influent in winter season was $BOD_{5}$ 4.92 mg/L, TSS 12.47 mg/L, T-N 5.54 mg/L, and T-P 0.32 mg/L, respectively. The average removal rate of four wetlands for them was $-21\%$. $23\%$, $33\%$, and $53\%$, respectively. The reason of higher BOD_{5} effluent concentration in winter season might be that low temperature restrained microorganism activity and a organic body from the withered plant and algae was flown out. Except the result of $BOD_{5}$, the effectivenes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winter season was satisfactory for treating polluted stream waters, and $BOD_{5}$ variation was within the range of background concentration.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system was compared with existing data base (NADB), and it was within the range of general system performance. Overall, the wetland system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for NPS control such as improvement of polluted stream water.

STORM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부하의 규모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Using STORM Model)

  • 김도연;이홍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1
    • /
    • 1996
  • The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pollutant loadings from nonpoint source is needed to evaluate water quality of water resources such as river and reservoir.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rasp th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In this study, STORM model was applied to I-cheon district to estimate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of SS, BOD, T-N and $PO_4-P$. The results estimated by STORM model were fitted well to surveyed water quality in flow, SS and BOD. The annual loadings were estimated to be 36,463 kg/$km^3$/yr of SS, 8,090 kg/$km^3$/yr of BOD, 4,435 kg/$km^3$/yr of T-N and 358 kg/$km^3$/yr of $PO_4-P$.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nthly pollutant loadings of SS, BOD, $PO_4-P$ were greatest in May and T-N in April.

  • PDF

Biological Object Downloader (BOD) Service for Easy Download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Databases

  • Park, Dae-Ui;Lee, Jung-Woo;Yoon, Gi-Seok;Gong, Sung-Sam;Bhak, J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5권4호
    • /
    • pp.196-199
    • /
    • 2007
  • BOD is an FTP service management tool on the Internet. It was developed for biological researchers in South Korea. It enables easier and faster access of bioinformation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foreign FTP sites. BOD includes an automatic downloader with a management and email alert service from which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d schedule any biological database. Once listed in BOD, the user can check and modify the download status and data from an additional email alert service.

유역하수도에서 강화된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 적용을 위한 진위천수계 수질영향 평가 (A Study on Impact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Strengthened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from PSTWs in the Jinwee-stream Watershed)

  • 정동환;조양석;안기홍;류지철;안경희;정현미;권오상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397-406
    • /
    • 2015
  • 2013년 시행된 유역하수도정비계획에서는 유역별 수질상황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시설별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기준)를 별도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역의 중권역 목표기준 또는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역하수도 제도 도입에 따라 유역 내 지역별 시설규모별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안)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역환경청에서 수립하고 있는 유역하수도정비계획 수립 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II지역인 미호천유역의 경우 BOD 5 mg/L에서 3 mg/L, II III지역이 혼재되어 있는 영산강 상류유역의 경우 BOD 5~10 mg/L에서 3 mg/L로, IV지역인 안성천유역의 경우 BOD 10 mg/L에서 5 mg/L로 일률적으로 강화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렇게 일률적으로 정하고 있는 준수농도에 대해 하수 처리기술, 유역특성을 고려한 유역하수도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 강화(안)을 설정할 때 이 강화된 준수농도가 공공수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어떤 강화(안)이 유역관리에 좀 더 효과적인지 고찰하였다.

WASP5 & WASP Builder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수질관리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WASPS & WASP Builder for a Basin of an Agricultural Reservoir)

  • 정팔진;고홍석;현미희;이은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2-431
    • /
    • 2004
  • Water quality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Gyoung Choen reservoir, using EUTR05/WASP Build model. WASP Builder is capable of visual display in window and it has an advantage of updating and modification for data. Field data of 1992, Spring, Summer, and Fall, were used to calibrate model and these results were validated using data of 2000, Spring, Summer, and Fall. The reservoir was divided into 4 epilimnion segments. Water quality system for modeling were consist of BOD, Chlorophyll-a, DO, $NH_3-N$, $NO_3-N$, T-N, $PO_4-P$, T-P.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modelling using EUTR05/WASP Builder, a range of the Correlation for calibr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63~0.90, 0.81~0.97, 0.75~0.98, and 0.77~0.98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values for verific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93, 0.94, 0.81, and 0.80 respectively. Among the pollutant sources for a basin of the Gyoung Choen reservoir, generated amount of livestock is the highest and BOD, T-N, T-P of generated loading percentage are 94%, 81%, and 95%. So, we suppose that inflow load amount will decrease 50% and increase 50% only livestock about current load amount. If increasing load amount of livestock 50% in segment 2 and 3, BOD, T-N, and T-P simulated increasing to range of $0.02~0.15mg/{\ell}$, $0.029~0.08mg/{\ell}$, $0.011~0.029mg/{\ell}$ in comparison with current water quality

오존접촉산화 공정과 Peroxone AOP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방류수 고도산화 처리특성 연구 (Study on Treatment Characteristic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Ozone Oxidation and Peroxone AOP Process for Waste Dyeing Water Effluent Treatment)

  • 박준형;신동훈;류승한;조석진;이상헌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4-283
    • /
    • 2011
  • Effect of pH on ozone oxidation and peroxone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process was analyzed and the optimal efficiency for both processes was obtained at pH 7.5. In case of ozone oxidation process, the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removal were measured to 93%, 70% and 89% at a reaction time of 50 min(ozone dosage of 111.67mg/$\ell$). When reaction time increased to 90 min(ozone dosage of 201mg/$\ell$), the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removal were increased by 3~5 %, indicating that the increment of removal efficiency was insignificant considering longer reaction time. Similarly, the ozone/$H_2O_2$ ratio was optimized to 0.5 for peroxone AOP process. Removal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were measured 95%, 81% and 94% at a reaction time of 50 min(ozone dosage of 111.67mg/$\ell$). When reaction time increased to 90min(ozone dosage of 201mg/$\ell$), the removal efficiency of color, CODMn, and BOD5 increased slightly by 1~5%.

도시(都市)와 농촌(農村)에서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汚染物) 배출양상(排出樣相)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onpoint Pollutant Loadings in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 임봉수;이병헌;최의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45-5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도시(都市)와 농촌(農村)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과 강우시(降雨時) 유출(流出)에 따르는 농도(濃度)의 양상(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주요분석항목은 COD, BOD, SS 이었으며 1981년(年) 5월(月)부터 8일(日)까지 수행(遂行)되었다. 도시지역(都市地域)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강우강도(降雨强度)와 강우지속시간(降雨持續時間) 등이 영향을 주었는 데 초기우수(初期雨水)에서 그 농도(濃度)는 유량(流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높아지는 양상(樣相)을 띤다. 또, 집중강우시(集中降雨時) 유량(流量)이 급격히 증가(增加)하더라도 그 농도(濃度)는 희석되기 때문에 그만큼 증가(增加)하지 않는다. 최대강우(最大降雨) 이후(以後) 다시 새로운 강우(降雨)가 형성(形成)될 때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농도(濃度)는 초기강우(初期降雨) 이전(以前)의 농도(濃度)보다 낮은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하수천(河水川) 및 하수거(下水渠)에 침적된 오염물질(汚染物質)이 강우(降雨)에 의해 씻어 내려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대유량(最大流量) 이후(以後) 초기강우(初期降雨)보다 큰 강우강도(降雨强度)가 지속(持續)되는 경우에는 유량(流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한다. 도시지역(都市地域)의 강우시(降雨時)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배출량(排出量)은 COD 489.9~1.328 kg/ha/yr로 평균(平均) 690.5 kg/ha/yr이고, BOD 226.8~614.8 kg/ha/yr로 평균(平均) 319.7 kg/ha/yr이고, SS 589.7~1,598.5 kg/ha/yr로 평균(平均) 831.2 kg/ha/yr로 산출된다. 농촌지역(農村地域)에서는 침전(沈澱)되었던 생활하수(生活下水), 퇴비 침출수 및 기타 농업폐기물(農業廢棄物) 등에 의해서 오염물질(汚染物質)이 흘러나온다. 논의 경우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COD 21.7~114 kg/ha/yr로 평균(平均) 62.34 kg/ha/yr이고, BOD 9.53~34.5 kg/ha/yr로 평균(平均) 18.65 kg/ha/yr이며, SS 8.35~29.57 kg/ha/yr로 평균(平均) 16.12 kg/ha/yr로 나타났다. 한편, 경작지의 경우 COD 46.3~171.8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91.9 kg/ha/yr이고, BOD 11.7~42.5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22.98 kg/ha/yr이고, SS 11.4~43.4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23.09로 나타났다. 축산지역(畜產地域)의 오염물질(汚染物質)은 강우시(降雨時) 가축(家畜) 및 청소수(淸掃水), 퇴비국물에 기인한다.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COD 2,489~6,658 kg/ha/yr로 평균(平均) 3,804 kg/ha/yr이고, BOD 464~2,900 kg/ha/yr로 평균(平均) 2,047 kg/ha/yr이며, SS 729~1,442 kg/ha/yr로 평균(平均) 1,149 kg/ha/yr로 나타났다. 산림지역(山林地域)의 오염물질(汚染物質)은 강우시(降雨時) 나뭇잎이 퇴적되어 형성(形成)된 유기물층(有機物層)으로부터, 침출수(浸出水)가 씻겨져 내려오는 경우이다.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배출량(排出量)은 COD 5.45~18.56 kg/ha/yr로 평균(平均) 9.86 kg/ha/yr이고, BOD 1.67~7.54 kg/ha/yr로 평균(平均) 3.48 kg/ha/yr이며, SS 9.74~10.35 kg/ha/yr로 평균(平均) 4.64 kg/ha/yr로 나타났다.

  • PDF

다단 수직형 호기성반응기(ER-1)를 이용한 음식물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기술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Food wastewater Using ER-1 bioreactor)

  • 이재기;최홍복;신응배;박주형;최은주;김정래;박영숙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4호
    • /
    • pp.113-120
    • /
    • 2006
  •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BOD 20,000~150,000mg/L이며, 매립금지로 적정수준까지 처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폐수처리시설에 의해서는 10일 이하로 처리하기가 불가능하다. (주)에코데이는 높은 산소전달효율, 높은 미생물(MLVSS) 유지와 유기물 농도 모두가 상향류의 PFR흐름을 갖는 ER-1 반응기를 이용하여 2~4일 이내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하루 20톤의 음식물을 퇴비화 하는 H군 음식물 자원화시설에 Pilot plant를 설치하고, 자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폐수(평균 BOD 64,431mg/L)와 저농도폐수(평균 BOD 16,500mg/L)에 대해 6개월간 실험하였다. 저농도폐수의 처리를 위해서 ER-1(HRT 2.5d)과 후단에 고도처리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전체공정에서 제거되는 유기물의 대부분이 ER-1을 통해 제거되었다. 저농도폐수 Pilot plant의 처리효율은 BOD 99%, COD 98%, SS 99%, T-N 97%, T-P 96%이다. 고농도 폐수 처리공정은 ER-1을 직렬로 배치하여 2단계 ER-1(1차 HRT 2.5d, 2차 HRT 1.5d) 후 고액분리를 통해 하수연계(BOD 2,000mg/L 이하)로 계획하였다. Pilot 실험결과 고농도 폐수에 대해서도 BOD 97%, COD 84%, SS 98%, T-N 66%, T-P 95%의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고농도 폐수처리시에 생물반응기의 냉각시설 없이 고온($50^{\circ}C$)으로 운전되었으나, 온도 조절 부분을 개선한다면 더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축산퇴비의 농지환원시 비점오염원으로서 수계에 미치는 영향 - 우분을 중심으로 - (Effect of Non-Point Sources from Livestock composted Land - A case of cows manure -)

  • 이영신;이희집;홍성철;오대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1-88
    • /
    • 2009
  • 본 연구는 축산퇴비(우분)의 농지환원시 비점오염원으로써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제 농지에 작물을 재배하여 강우에 따라 농지표면으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유출수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축산퇴비(우분)의 농지환원시 수계유출율을 산정한 결과 단기유출의 강우시 BOD5는 0.6 %, CODcr은 0.3 %, CODMn은 0.1 %, T-N은 0.8 %, T-P는 1.0 %로 나타났다. 장기유출의 강우시 BOD5는 3.6 %, CODcr은 1.0 %, CODMn은 0.9 %, T-N은 4.9 %, T-P는 4.8 %로 나타나 강우유출시간이 증가될수록 수계유출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hodospirillum rubrum N-1을 이용한 양돈폐수의 악취제거 (Deodorization of Swine Wastewater by Rhodospirillum rubrum N-1)

  • 최경민;김종승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1호
    • /
    • pp.13-20
    • /
    • 1998
  • 고농도 유기폐수인 양돈 폐수에 광합성 미생물(Rhodospirillum rubrum N-1)을 접종하고 여기에 공기를 160 mL/min 주입함으로써 양돈분뇨의 악취제거 효과를 조사하였다. 7일 동안 1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20,000ppm인 양돈폐수의 경우 호기적 조건과, Rhodospirillum rubrum N-1 접종한 경우 volatile fatty acids(VFAs)의 제거율이 87.0%였으며, BOD제거율 54.6%, $PO_4-P$는 54.5%의 감소를 보였고, PH, $NH_3$ 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N, T-P, $NO_3-N$, $NO_2-N$, $H_2S-N$, mercaptane 등은 별다른 증감율을 보이지 않고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