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I

검색결과 3,874건 처리시간 0.027초

보육교사에서 구강건강행동 및 구강자각증상과 BMI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BMI,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child care teachers)

  • 안소연;박소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69-776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0 child care teachers who worked in child care centers in Jeollabukdo Province, Korea. A cross tab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oral symptoms and BMI. Results : BMI in child care teachers was 35.1% and male and married teachers had higher BMI. Higher BMI revealed perceived periodontal disease in smokers. Higher BMI was closely related to perceived xerostomia and halitosis. Conclusions : BMI is a very important index to develop health improvement and obesity control.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with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adolescents

  • Song, Young-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2호
    • /
    • pp.79-84
    • /
    • 2014
  • Purpose: Overweight can be defined by the body mass index (BMI) and is lik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However, waist circumference (WC), a central adiposity index, may be a better indica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Studies comparing the effects of BMI and WC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BP), are rare in adolescents. Methods: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BMI and WC with BP in 3,363 Korean adolescents (aged 10-19 year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9-2011). Results: Systolic BP (SBP) in both sexes and diastolic BP (DBP) in boys were higher in the high BMI (>85th percentile) and high WC (>90th percentile) groups. High BMI and high WC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 SBP (>90th percentile) in both sexes, and high DBP (>90th percentile), in boys. BMI maintained its positive associations with SBP, DBP, high SBP, and high DBP in the normal weight ($BMI{\leq}85th$ percentile) and overweight (BMI>85th percentile) groups in both boys and girls, as well as in all subjects of both sexes, even after adjustment for WC. However, WC did not correlate with SBP, DBP, high SBP, or high DBP after adjustment for BMI in any group in either sex. Conclusion: In Korean adolescents, BMI correlated better with BP and high BP levels than WC. Further, BMI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P and high BP in the normal weight group as well as in the overweight group.

BMI 변화량을 이용한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A web-based monitoring system using BMI variations)

  • 강희범;이종원;송현옥;정낙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4-656
    • /
    • 2015
  • 최근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비만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히 BMI 수치를 계산하여 보여주는 기능만 있거나 간단한 체중정보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자신의 BMI를 관리 하는데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고 제공되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운동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BMI 수치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BMI가 비슷한 타 사용자가 사용했던 운동기구를 추천해주는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Lack of any Prognostic Value of Body Mass Index for Patients Undergoing Chemoradiotherapy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Zhang, Fang;Wang, Chuan-Sheng;Sun, Bo;Tian, Guang-Bo;Cao, Fang-Li;Cheng, Yu-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075-3079
    • /
    • 2014
  •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outcomes after chemoradiotherapy(CR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dd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MI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Materials and Methods: Sixty ESCC cas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this study. Patient overall survival(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BMI< $24.00kg/m^2$ and $BMI{\geq}24.00kg/m^2$). Results: There were 41 patients in the low/normal BMI group (BMI< $24.00kg/m^2$) and 19 in the high BMI group ($BMI{\geq}24.00kg/m^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ti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We found no difference in 2-year OS and DFS associated with BMI (p=0.763 for OS; p=0.818 for DFS)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clinical stage was prognostic for worse 2-year OS and DFS, metastasis for 2-year OS, lymph node status for 2-year DFS, while age, gender, smoking, drinking, tumor location and BMI were not prognostic.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2-year OS (hazard ratio=1.117; p=0.789) and DFS(hazard ratio=1.161; p=0.708) between BMI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whereas we foun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2-year OS and DFS associated with clinical stage, gender and tumor infiltration (p<0.04), independent of age, smoking, drinking, tumor location, the status of lymph node metastases and BMI. Conclusions: BMI wa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in patients with ESCC treated with CRT as primary therapy. BMI should not be considered a prognostic factor for patients undergoing CRT for ESCC.

원자로 BMI 노즐 검사를 위한 자동화 비파괴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BMI Nozzles in Nuclear Vessel)

  • 박준수;이원근;한원진;이선호;성운학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33
    • /
    • 2013
  • 원자로 BMI 노즐은 원자력발전 설비의 운영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이며 하부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헤드에 비해 비교적 저온영역에 있지만 최근 외국사례에 비추어 볼 때 PWSCC의 발생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동중 비파괴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BMI 노즐은 원자로 하부에 있기 때문에 고방사선 구역이며 원자로 내부는 붕산수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접근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 BMI 노즐 검사를 위하여 TOFD를 이용한 탐촉자를 개발하였고, 자동화검사를 위해 내방수 기능을 가진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또한, BMI 노즐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인공결함시험편을 제작하여 자동화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폐경여성의 BMI와 골밀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MI and Bone Density in Menopause Women)

  • 김현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15-1020
    • /
    • 2021
  •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부산지역 일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질환이 없는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13명의 검사 결과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폐경 여성의 BMI(신체질량지수)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저체중(BMI<18.5) 환자의 요추부와 대퇴부의 분석결과 유의확률(p-value) 0.000으로 나타났으며 정상체중(18.5≦BMI<23.0) 환자의 요추부에서 유의확률(p-value)은 0.025,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12로 나타났다. 과체중(23.0≦BMI<25.0) 환자의 요추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21,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34로 나타나 상관 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도비만(30.0≦BMI<40.0) 환자의 요추부 유의확률(p-value)은 0.127,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93으로 요추부와 대퇴부 모두에서 유의확률 p>0.05로 나타나 BMI와 골밀도의 상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Improving BMI Classification Accuracy with Oversampling and 3-D Gait Analysis on Imbalanced Class Data

  • Beom K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9-2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보행 데이터 기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추정 기술의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BMI 추정 기술에 관해 기존 연구에서는 BMI 분류 정확도가 약 60%에 불과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BMI 분류 정확도가 낮았던 원인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그 원인은 보행 데이터 세트의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더샘플링(Undersampling) 기법을 사용한 것에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더샘플링 기법 대신 오버샘플링(Oversampling) 기법을 적용해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보행 데이터 기반 BMI 추정 기술에서 인체 측정학(Anthropometric) 특징과 시공간적(Spatiotemporal) 특징의 유용성을 재입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언더샘플링 기법이 적용된 상태에서 인체 측정학 특징과 시공간적 특징의 유용성이 평가됐고, 두 특징을 함께 사용하면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BMI 추정 성능이 낮아진다고 보고됐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특징을 함께 사용하고 오버샘플링 기법을 적용했을 때 BMI 추정 문제에서 92.92%의 정확도로 SOTA(State-Of-The-Art)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보인다.

자동노출제어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가 입사표면공기커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Entrance Surface Air Kerma in Abdominal X-ray Radiograph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구노현;윤희수;최관우;이종은;김정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59-667
    • /
    • 2018
  •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 (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가 입사표면공기커마 (ESAK; Entrance Surface Air Kerm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AEC를 이용하여 복부 일반 X선 검사를 시행 받은 321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BMI와 ESAK의 관계 및 BMI범주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Obese 1, Obese 2)에 따른 평균 ESAK값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몸무게 ($R^2=0.777$, p<.001)와 BMI ($R^2=0.835$, p<.001)는 ESAK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키 ($R^2=0.075$, p<.001)와 BMI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BMI범주에 대한 평균 ESA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05에 대해 5개의 부집단이 존재하여 모든 BMI범주 간 ESAK값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BMI간 ESAK값 증가폭이 Underweight에서 Obese 2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 BMI가 증가할수록 피폭선량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AEC를 사용할 경우 BMI가 증가함에 따라 과도한 선량이 조사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검사조건을 고정하여 촬영하는 등의 노력을 통한 선량저감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압상승의 위험인자로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의 비교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Waist Circumference Indicators as a Predictor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 박상신;이은희;백도명;조성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안압 상승의 예측인자로서의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허리둘레 중 어떤 지표가 예측인자로서 더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20세 이상의 성인 45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BMI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허리둘레(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다음으로 허리둘레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BMI(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다. 또한, BMI, 허리둘레와 안압 간의 선형회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허리둘레 층화 후 BMI에 따른 안압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BMI $24.9kg/m^2$ 이상의 대상자들에게서는 허리둘레와 안압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경우에는 허리둘레만이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기에 생활변수까지 보정한 다중선형회귀분석결과 BMI와 허리둘레는 모두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허리둘레 증가가 안압 상승에 대해서 보다 높은 설명력과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BMI와 허리둘레 모두 안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허리둘레가 BMI보다 안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의 BMI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인식 연구 (According to the BMI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ating-Lifestyle Habits, and Recognized Study)

  • 이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65-2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의 비만실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과제중 '2009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게임 및 가족여가활동실태조사' 연구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활용 대상자는 초등학생 2,778명, 중학생 3,385명, 고등학생 3,299명 총 9,4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BMI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저녁식사 후 간식 섭취는 18.5>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8.8%, 18.5${\leq}$BMI<23.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1.1%, 23.5${\leq}$BMI<25.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0.1%, $25{\leq}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p=0.001).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높은 그룹 일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간 등과 같은 시간에 적극성을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낮은 그룹 일수록 적극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사람과의 식사 속도 역시 BMI 지수가 높은 그룹일수록 식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 시기에 올바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보다 건강하고 윤택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 청소년기의 올바른 인식과 생활습관을 갖추도록 해주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은 물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