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I

검색결과 3,813건 처리시간 0.026초

BMI 변화량을 이용한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A web-based monitoring system using BMI variations)

  • 강희범;이종원;송현옥;정낙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4-656
    • /
    • 2015
  • 최근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비만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히 BMI 수치를 계산하여 보여주는 기능만 있거나 간단한 체중정보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자신의 BMI를 관리 하는데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고 제공되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운동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BMI 수치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BMI가 비슷한 타 사용자가 사용했던 운동기구를 추천해주는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Lack of any Prognostic Value of Body Mass Index for Patients Undergoing Chemoradiotherapy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Zhang, Fang;Wang, Chuan-Sheng;Sun, Bo;Tian, Guang-Bo;Cao, Fang-Li;Cheng, Yu-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075-3079
    • /
    • 2014
  •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outcomes after chemoradiotherapy(CR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dd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MI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Materials and Methods: Sixty ESCC cas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this study. Patient overall survival(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BMI< $24.00kg/m^2$ and $BMI{\geq}24.00kg/m^2$). Results: There were 41 patients in the low/normal BMI group (BMI< $24.00kg/m^2$) and 19 in the high BMI group ($BMI{\geq}24.00kg/m^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ti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We found no difference in 2-year OS and DFS associated with BMI (p=0.763 for OS; p=0.818 for DFS)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clinical stage was prognostic for worse 2-year OS and DFS, metastasis for 2-year OS, lymph node status for 2-year DFS, while age, gender, smoking, drinking, tumor location and BMI were not prognostic.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2-year OS (hazard ratio=1.117; p=0.789) and DFS(hazard ratio=1.161; p=0.708) between BMI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whereas we foun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2-year OS and DFS associated with clinical stage, gender and tumor infiltration (p<0.04), independent of age, smoking, drinking, tumor location, the status of lymph node metastases and BMI. Conclusions: BMI wa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in patients with ESCC treated with CRT as primary therapy. BMI should not be considered a prognostic factor for patients undergoing CRT for ESCC.

원자로 BMI 노즐 검사를 위한 자동화 비파괴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BMI Nozzles in Nuclear Vessel)

  • 박준수;이원근;한원진;이선호;성운학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33
    • /
    • 2013
  • 원자로 BMI 노즐은 원자력발전 설비의 운영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이며 하부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헤드에 비해 비교적 저온영역에 있지만 최근 외국사례에 비추어 볼 때 PWSCC의 발생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동중 비파괴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BMI 노즐은 원자로 하부에 있기 때문에 고방사선 구역이며 원자로 내부는 붕산수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접근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 BMI 노즐 검사를 위하여 TOFD를 이용한 탐촉자를 개발하였고, 자동화검사를 위해 내방수 기능을 가진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또한, BMI 노즐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인공결함시험편을 제작하여 자동화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폐경여성의 BMI와 골밀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MI and Bone Density in Menopause Women)

  • 김현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15-1020
    • /
    • 2021
  •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부산지역 일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질환이 없는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13명의 검사 결과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폐경 여성의 BMI(신체질량지수)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저체중(BMI<18.5) 환자의 요추부와 대퇴부의 분석결과 유의확률(p-value) 0.000으로 나타났으며 정상체중(18.5≦BMI<23.0) 환자의 요추부에서 유의확률(p-value)은 0.025,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12로 나타났다. 과체중(23.0≦BMI<25.0) 환자의 요추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21,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34로 나타나 상관 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도비만(30.0≦BMI<40.0) 환자의 요추부 유의확률(p-value)은 0.127, 대퇴부의 유의확률(p-value)은 0.093으로 요추부와 대퇴부 모두에서 유의확률 p>0.05로 나타나 BMI와 골밀도의 상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자동노출제어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가 입사표면공기커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Entrance Surface Air Kerma in Abdominal X-ray Radiograph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구노현;윤희수;최관우;이종은;김정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59-667
    • /
    • 2018
  •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 (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가 입사표면공기커마 (ESAK; Entrance Surface Air Kerm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AEC를 이용하여 복부 일반 X선 검사를 시행 받은 321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BMI와 ESAK의 관계 및 BMI범주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Obese 1, Obese 2)에 따른 평균 ESAK값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몸무게 ($R^2=0.777$, p<.001)와 BMI ($R^2=0.835$, p<.001)는 ESAK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키 ($R^2=0.075$, p<.001)와 BMI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BMI범주에 대한 평균 ESA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05에 대해 5개의 부집단이 존재하여 모든 BMI범주 간 ESAK값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BMI간 ESAK값 증가폭이 Underweight에서 Obese 2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 BMI가 증가할수록 피폭선량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AEC를 사용할 경우 BMI가 증가함에 따라 과도한 선량이 조사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검사조건을 고정하여 촬영하는 등의 노력을 통한 선량저감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압상승의 위험인자로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의 비교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Waist Circumference Indicators as a Predictor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 박상신;이은희;백도명;조성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안압 상승의 예측인자로서의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허리둘레 중 어떤 지표가 예측인자로서 더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20세 이상의 성인 45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BMI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허리둘레(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다음으로 허리둘레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BMI(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다. 또한, BMI, 허리둘레와 안압 간의 선형회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허리둘레 층화 후 BMI에 따른 안압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BMI $24.9kg/m^2$ 이상의 대상자들에게서는 허리둘레와 안압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경우에는 허리둘레만이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기에 생활변수까지 보정한 다중선형회귀분석결과 BMI와 허리둘레는 모두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허리둘레 증가가 안압 상승에 대해서 보다 높은 설명력과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BMI와 허리둘레 모두 안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허리둘레가 BMI보다 안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의 BMI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인식 연구 (According to the BMI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ating-Lifestyle Habits, and Recognized Study)

  • 이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65-2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의 비만실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과제중 '2009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게임 및 가족여가활동실태조사' 연구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활용 대상자는 초등학생 2,778명, 중학생 3,385명, 고등학생 3,299명 총 9,4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BMI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저녁식사 후 간식 섭취는 18.5>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8.8%, 18.5${\leq}$BMI<23.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1.1%, 23.5${\leq}$BMI<25.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0.1%, $25{\leq}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p=0.001).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높은 그룹 일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간 등과 같은 시간에 적극성을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낮은 그룹 일수록 적극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사람과의 식사 속도 역시 BMI 지수가 높은 그룹일수록 식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 시기에 올바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보다 건강하고 윤택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 청소년기의 올바른 인식과 생활습관을 갖추도록 해주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은 물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일부 성인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섭취와 혈압 및 혈청 지질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Energy Intakes,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by Body Mass Index in Korean Adults)

  • 최미경;전예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1호
    • /
    • pp.30-3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ent intake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BMI.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MI, which included normal group (18.5$\leq$BMI<23), overweight group (23$\leq$BMI<25), obese group (25$\leq$BMI).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BMI of the subjects were 53.1years, 159.2cm, 54.5kg, 21.4kg/$m^2$ for normal group, 52.3years, 159.4cm, 61.4kg, 24.1kg/$m^2$ for overweight group, 55.9years, 158.7cm, 68.5kg, 27.2kg/$m^2$ for obese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and food intakes by BMI groups. The blood pressure, serum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 serum LDL-cholesterol, and A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erum HDL-cholesterol decreased with increment of BMI. The age and BMI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except HDL-cholesterol.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ntage of protein energy intake and AI. To summarize these results, energy, nutrient, and food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I, and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creased with increment of BMI. Further systematic study of relation among nutrient intakes including various life factors, BMI,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 profile is needed.

  • PDF

우리 나라 일부 초.중.고등학생들의 체질량지수 관련요인에 관한 분석 (A Study of Obesity Indices of Korean Adolescents and Related Factors)

  • 승정자;이명숙;성미경;최미경;박동연;이윤신;김미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1-41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ody mass index with environmental and dietary factors including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Korean adolesc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questionnaire responses, and 24-hour dietary records of 531 elementary, 543 middle, and 533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do wer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A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an BMI of elementary school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BMI between sexes both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lcium and iron consumption were lowest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when the intake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Korean RDA. Energy, protein,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and vitamin C intakes(% RDA) were lowest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BMI of elementary students were BMI of the parents in boys, and BMI of the father in girls. In middle school students, energy intake, fathers BMI,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students BMI, and nutrition knowledge were related to the obesity indices of boys, while fathers and mothers BMI were related to the mean obesity index of girls. In high school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and mothers nutrition attitude were related to the obesity index of boys, while BMI of parents was related to the obesity index of girls. In conclusion, mothers and fathers BMI were the most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BMI of these adolescents. Although these results can not determine if food behaviour directly affects BMI, it may influence the BMIs of family members, and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to keep normal weight and desiradle food habits should be emphasized. More systematic studie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 of these factors are required.

  • PDF

Evaluation of BMI as an Obesity Index for Korean

  • Kim, Youngok;Lee, Soon-Young;Kim, Seon-Woo;Kim, Kyung-H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29-134
    • /
    • 200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BMI as an indicator of obesity for Koreans. The usefulness of the BMI to represent overweight and obes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relative validity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was compared with the validity of triceps skinfold thickness(mm). To measure the relative validity of the BMI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body fat(%) was used as a reference measure of obesit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844 participants aged 20-69 years who resided in Kuri City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measured regarding weight, height,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body fat. The prevalence of obesity for male subjects was 32.0%, 66.2%, and 0.9%, and for female subjects, 17.6%, 56.1%, 12.4% based on the BMI,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body fat(%)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higher based on the BMI or triceps skinfold thickness than body fat measuremen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BMI were 33.3% and 67.9% in male subjects and 77.7% and 90.8% in female subjects. Sensitivity of the BMI was lower, and specificity was higher than those of triceps skinfold thickness. In summary, BMI as an indicator of obesity for Korean showed a tendency of overestimation of obesity prevale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ore reliable obesity index other than the BMI for Kore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