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40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3초

정규 표현식을 이용한 패턴 매칭 엔진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tern Matching Engine using Regular Expression)

  • 고광만;박홍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3-40
    • /
    • 2008
  • 스트링 패턴 매칭 알고리즘은 특정 검색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속도에서는 우수성이 다양한 방법으로 입증되었지만 다양한 패턴에 대해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으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 표현식을 이용하여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패턴의 검색어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패턴 매칭을 수행하여 패턴 검색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단순한 키워드 매칭에 비해 각종 유해한 스트링 패턴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스트링 패턴 매칭 속도에서도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LEX로부터 생성된 스트링 검색 엔진은 패턴 검색 속도에 대한 실험에서 패턴의 수가 1000개 이상인 경우에서는 BM&AC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이지만 키워드 검색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레이저 빔 시인성 향상을 위한 산란입자가 분산된 Black Matrix (Black Matrix with Scattering Particles for the Enhancement of Visibility of Laser Beam)

  • 박준범;신동균;한승조;박종운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40
    • /
    • 2017
  • With an attempt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laser beam, we have investigated a black matrix with scattering particles by ray tracing simulations. As the scattering particle density is increased, the detected power by the receiver is increased, thereby enhancing the visibility. In reality, the visibility is reduced with increasing incident angle (away from the normal incidence) of laser beam, a phenomenon also observed by ray tracing simulation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mean path is increased within a highly absorptive BM layer or a smaller number of rays hit the BM area when the incident angle is high. Embedding a number of scattering particles into BM may bring in crosstalk among pixels. However, it is negligible because scattered rays inside highly absorptive BM are re-scattered due to the high scattering particle density, decreasing the power of scattered rays into the active areas.

  • PDF

38 GHz 하이브리드 전력증폭기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38 GHz Hybrid Power Amplifier Module)

  • 윤양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B호
    • /
    • pp.1701-1706
    • /
    • 2000
  • 본 연구에서 GaAs pHEMT와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구조를 이용하여 38 GHz 대역 하이브리드 전력증폭기 모듈이 개발되었다. 10 mil duroid 기판이 전력증폭가와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구조 제작에 사용되었다. 제작된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구조는 32 - 40 GHz 대역까지 약 I dB 삽입손실(back to back)의 측정 결과를 보였다. 전력증폭기 모듈의 측정 결과, 36.8 - 38.5 GHz에서 대략 출력 전력 29 dBm(P1.5 dB), 전력 이득은 7.2 dB, PAE 는 11.2 % 였다.

  • PDF

2.4GHz 대역 무선 음성/영상 송수신용 RF 모듈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RF Module for 2.4GHz band Wireless Audio/Video Transceiver)

  • 조익현;김정삼;남상민;윤동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통신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3-326
    • /
    • 2003
  • 본 논문은 무선 음성/영상 송수신용 RF모듈 설계 및 제작하였다. RF 주파수는 정보통신부에서 고시한 영상전송용 2410, 2430, 3450, 2470MHz 사용하였으며 IF 주파수는 479.5MHz를 사용하였다. 설계 및 제작된 RF 모듈은 FR-4 재질인 유전체 4.6, 두게 0.8mm, 양면구조의 기판을 사용하여 50mm x 40mm 크기로 제작되었다. 설계된 송신기 모듈은 +5V 단일전원으로 9±1dBm의 출력과 주파수허용편차 50×10/sup -6/이하, 스퓨리어스 발사강도 기본주파수의 평균전력보다 40dB이하의 성능을 만족하였다. 수신기 모듈은 +5V 단일 전원으로 -80dBm이하의 수신감도로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였다.

  • PDF

900 MHz / 2.14 GHz해서의 단일 FET을 이용한 이중대역 고효율 도허티 전력증폭기 설계 (At 900 MHz and 2.14 GHz, a Design of dual band high efficienc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single FET)

  • 이지환;김선숙;서철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41-14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단일 FET를 이용하여 900MHz/2.14GHz 이중 대역 고효율 도허티 전력증폭기 설계 구현을 하였다. 이중대역 도허티 전격증폭기의 출력전력은 900MHz 에서 35.91dBm, 2.14GHz에서 35.91 dBm의 출력을 얻었으며, 전력부가효율은 900MHz에서 40.32%, 2.14GHz에서는 40.47%의 효율을 획득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단 하나의 능등소자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출력전력을 얻기 위하여 최대 전력정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이중대역 전력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었다.

  • PDF

S대역 군사 레이더용 2kW급 GaN HEMT 증폭기 개발 (Development of 2-kW Class C Amplifier Using Ga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for S-band Military Radars)

  • 김시옥;최길웅;유영근;임병옥;김동길;김흥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1-43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S-밴드 군용 레이더에 사용되고 기존의 TWTA를 대체하기 위해 GaN HEMT 기반 증폭모듈을 이용하여 개발한 2kW급 반도체증폭기(SSPA)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SSPA는 8개의 증폭모듈로 이루어진 고출력증폭모듈, 구동증폭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공급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한 SSPA는 1) 증폭모듈과 구성부품은 공간적 제약으로 작은 패키지에 통합설계 되었으며, 2) PCB 내장형 하모닉필터를 이용하여 고주파를 제거하였으며, 그리고 3) 입력신호의 듀티 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이득조절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SSPA는 최대 48 dB의 이득과 3.1~3.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63-63.6 dBm의 출력 전력을 보였다. 자동이득조절 기능은 15-20 dBm의 입력전력 변동에도 대해서, 출력전력이 63dBm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IL-STD-810의 시험기준을 만족하는 높은 (55 ℃) / 낮은 (-40 ℃) 온도시험 프로파일을 이용한 온도시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SSPA는 경량, 고출력, 고이득, 안전기능, 낮은 수리비, 짧은 수리시간 등 측면에서 기존의 TWTA 증폭기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토양에서의 소수성 유기오염물질의 느린 흡착 (Slow Sorption of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in Natural Soils)

  • 신원식;박대효;안태봉;천희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03-11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퇴적된 습지토양의 유기물질에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흡착실험을 행하였다. 최근 퇴적된 민물 습지토양에서의 소수성 유기화합물 (chlorobenzene and phenanthrene)의 흡착 특성을 회분식 흡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유기물질의 나이의 상대 척도로서 산소/탄소 원소비 등을 포함한 여러 방법으로서 평가하였다. 토양의 나이가 유기화합물의 습지토양에서의 흡착에 차이를 유발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습지 토양의 표층부(상층부 0-2cm, 5년 미만)과 하층부(below 10cm, 20년 이상)에 대한 느린 흡착 특성을 상대적으로 오래된 PPI(Petro Processors, Inc. Superfund site), BM(Bayou Manchac) 토양과 비교하였다. 느린 흡착모델 변수의 비선형성(KF와 N)의 증가로서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느린 흡착모델의 분석결과 상당한 크기의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하였으며 습지 토양의 경우 흡착된 chlorobenzene의 25.4-263%가 phenanthrene의 경우 흡착된 양의 1.4-1.9%(phenanthrene)가 각각 느린 흡착 부분에 해당하였으며, PPI 토양과 BM토양의 경우 흡착된 chlorobenzene의 40.0-55.93%와 흡착된 phenanthrene의 2.9-3.19%가 각각 느린 흡착 부분에 해당하였다. 느린 흡착 부분은 상층부 < 하층부 < PPI < BM 토양의 순으로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토양 유기물질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느린 흡착부분의 크기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 PDF

Cas9 단백질/ 가이드 RNA 복합체를 이용한 누에 BmBLOS 유전자 편집 (Biogenesis of Lysosome-related Organelle Mutant Silkworms by Direct Injection of a Cas9 Protein-guided RNA Complex into Bombyx mori Embryos)

  • 김기영;유정희;김수배;김성완;김성렬;최광호;김종길;박종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7-544
    • /
    • 2019
  •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게놈편집 기술의 등장은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육종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였으며, 3세대 유전자가위 CRISPR 기술의 개발은 게놈편집을 통한 분자육종 시대를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3세대 유전자 가위 CRISPR/Cas9을 이용하여 국내 보급품종인 백옥잠의 BmBLOS 유전자를 편집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유전형 및 표현형 검사를 통하여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누에 분자육종가능성을 분석하고 이용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유전자 편집을 위하여 백옥잠의 BmBLOS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3종의 가이드 R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gRNA는 Cas9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시킨 후 BM-N 누에 세포주에 도입 후 T7 endonuclease I 분석을 통하여 편집효율이 가장 높은 B4N gRNA를 선발하였다. 누에 유전자를 편집하기 위하여 Cas9/B4N gRNA를 누에 초가 배아에 미세주사하고 사육하였다. 미세주사 후 부화율은 18% 가량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생존한 개체 중 돌연변이 발생율은 4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전자 편집 G0 세대누에 중 70% 가량에서 표현형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염기서열 분석결과 대부분의 개체에서 BmBLOS 유전자가 정상과 돌연변이가 같이 존재하는 이형접합자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유전형 또한 모든 개체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누에 분자육종의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유전자 편집효율을 개선하고 동형접합자를 얻기 위한 교배 및 선발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T-Advanced 능동위상배열 시스템용 고효율 송수신 모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 Efficiency Transceiver Module for Active Phased Arrays System of IMT-Advanced)

  • 이석희;장홍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26-36
    • /
    • 2014
  • IMT-Advanced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고 시스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능동위상 배열구조의 안테나 시스템이 요구된다. 능동위상 배열 구조는 다수의 송수신 모듈과 다수의 복사소자로 구성되어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초소형 고효율 송수신 모듈이 핵심이다. 최종 출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송신모듈의 전력증폭기는 기지국 시스템의 효율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IMT-Advanced 능동위상배열 시스템에 적합한 초소형 고효율 송수신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송수신 모듈은 온도보상 회로를 구현하여 이득 오차를 줄였으며, 선형화기는 소형화를 위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초소형 고효율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GaN MMIC Doherty 구조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송수신모듈은 $40mm{\times}90mm{\times}50mm$ 크기로 구현되었으며, LTE band 7에서 47.65 dBm의 출력을 가졌다. 실제 운용전력인 37 dBm에서 40.7%의 효율과 12 dB이상의 선형성 개선도를 보였다. 수신부의 잡음지수는 1.28 dB이하로 설계규격을 만족하였으며, 송수신 모듈의 이득과 위상은 6 bit로 제어로 최대 오차는 각각 0.38 dB와 2.77 degree를 보였다.

Construction of Stably Transformed Bm5 Cells by Using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IE1 Gene

  • Cho, Eun-Sook;Jin, Byung-Rae;Sohn, Hung-Dae;Chol, Kwang-Ho;Kim, Soung-Ryul;Kang, Seok-Woo;Yun, Eun-Young;Kim, Sang-Hyun;Kim, Keun-Young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16
    • /
    • 1998
  • To construct transformed Bm5 cells,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AcNPV)IE1 gene, an immediate early viral gene was firstly used in this study. AcNPV IE1 gene, which shares on 95.3% un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IE1 gene, was isolated and cloned into pBluescript. Neomycin gene from pKO-neo was inserted under the control of the IE1 promoter to yield pAcIE1-neo. The plasmid pAcIE1-neo was transfected into Bm5 or Sf9 cells, and neomycin-resistant cells were selected in TC100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mg/$m\ell$ G418 for two weeks. Individual clones were picked and each was amplified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The genomic DNA from neomycin-resistnt cells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PCR using AcNPV IE1 gene-specific primers and by Southern blot analysis using neomycin gene probe. We concluded that AcNPV IE1 gene was functional in B. moridrived Bm5 cells as well as Spodaptera frugiperda-derived Sf9 cells to produce stably-transformed insect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