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TERL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strogen Receptor from the Slender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 Kim, Jong-Geuk;Kim, Ha-Ryong;Park, Yong-Joo;Chung, Kyu-Hyuck;Oh, Seung-Mi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5.1-5.11
    • /
    • 2011
  • Objectives: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lender bitterling (SB) (Acheilognathus yamatsutae) being used as a test species for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EDCs), we carried out the cloning and sequence characterization of the estrogen receptor (ER). Methods: The ER from a slender bitterling was obtained by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5'- and 3'-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5'-RACE and 3'-RACE) and T-vector cloning. The expression of ER mRNA was also analyzed in six tissues (brain, liver, kidney, gill, gonad, and intestines) by real-time PCR. Results: We obtained an ER from the slender bitterling. The SB ER cDNA was 2189 base pairs (bp) in length and contained a 1707 bp open reading frame that encoded 568 amino acid residues. The SB ER amino acid sequence clustered in a monophyletic group with the $ER{\alpha}$ of other fish, and was more closely related to zebrafish $ER{\alpha}$(88% identity) than to the $ER{\alpha}$ of other fish. The SB ER cDNA was divided into A/B, C, D, E and F domains. The SB ER has conserved important sequences for ER functions, such as the DNA binding domain (D domain), which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other teleosts. Conclusions: The ER of the slender bitterling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toxicological studies of EEDCs in the slender bitterling.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에 대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의 마취효과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 and Clove Oil as an Anaesthetic o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and Oily Bif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 강언종;김은미;김영자;임상구;심두생;김용호;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2-279
    • /
    • 2005
  • 각시붕어, Rhodeus uyekii (Mori, 1935)와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 (Kim and Kim, 1990)에 대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의 $10^{\circ}C,\;15^{\circ}C,\;20^{\circ}C$$25^{\circ}C$ 수온 조건에서의 마취 효과를 조사하였다. 3분 미만의 완전마취(Stage A5)와 10분 미만의 완전회복(Stage R5)을 기준시, 마취 수온 $20^{\circ}C$에서의 염산리도카인 적정 농도는 각시붕어와 칼납자루에서 각각 250${\~}$550 ppm, 150${\~}$550 ppm 이었으며 Clove oil에서는 각각 40${\~}$200 ppm, 80${\~}$240 ppm 이었다. 본 실험의 2종을 대상으로 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에 의한 마취시 negative곡선의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회복시간은 마취제 농도에 따라 다소 변이를 보였으나, 일반적으로 고농도 마취는 긴 회복시간을 보였다. 마취 수온과 마취 효과는 있어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어, 저온에서의 마취시 마취시간과 회복시간이 더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어류 마취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은 본 실험에 사용된 종들에 효과적인 마취제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각시붕어와 칼납자루의 사육시 어체 진정이 요구되는 취급이나, 이들의 양식시 유용할 것이다.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Flat bitterling, Paracheilognathus rhombea and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 in the Subfamily Cyprinidae)

  • 권문정;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6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와 난의 carotenoid 조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수컷 2.3mg%, 납지리 암컷 1.1mg%, 줄납자루 수컷 1.9mg%, 줄납자루 암컷 0.8mg%로 나타나 수컷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이 암컷 표피보다 다소 높았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lutein, lutein epoxide,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이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beta-carotene,$ $\alpha-cryptoxantinm$ cyn-thiaxantin 이 함유되어 있었다. 납지리 수컷의 표피에는 줄납자루 수컷에 비해 lutein의 함량치가 높았고 줄납자루 수컷의 경우는 납지리 수컷이 비해 lutein epoxide와 tunaxanthin의 함량치가 높았다. 그리고 납지리 암컷을 표피에는 줄납자루 dkat에 비해 lutein epoxide 함량치가 높았도 줄납자루 암컷의 표피에는 납자리 와 줄납자루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1.8mg%, 와 줄납자루 2.5mg%로 표피와는 달리 줄납자루 난의 함량치가 높았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난의 carotenoid 조성은 다 같이 lutein, lutein epoxid 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triol은 표피에 비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잉어아과의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 및 나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arotenoids 첨가 사료가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체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rotenoids on the Nuptial Color of the Bitterling (Rhodeus uyekii))

  • 김화선;김유희;조성환;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6-279
    • /
    • 1999
  • 한국 특산어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를 이용하여 혼인색과 채색의 인위적인 발현을 통해 관상어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사료 내에 astaxanthin, lutein 및 $\beta$-carotene을 첨가하여 체색 개선효과를 알아본 결과, 각 실험구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무첨가구인 대조구에 비해 carotenoids를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lutein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선명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률은 astaxanthin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lutein과 $\beta$-carotene을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carotenoids를 함유하고 있는 사료와 적절한 사육 조건을 갖춘다면, 우리에게 친근한 여러 종류의 어류를 새로운 관상어로 개발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Four Members of Heat Shock Protein 70 Family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 Kim, Jung Hyun;Dong, Chun Mae;Kim, Julan;An, Cheul Min;Baek, Hae Ja;Kong, Hee J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3호
    • /
    • pp.135-144
    • /
    • 2015
  • Heat shock protein (HSP) 70, the highly conserved stress protein families, plays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cells against heat and other stresses in most animal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four Hsp70 (RuHSP4, RuHSC70, RuHSP12A, RuGRP78) family proteins based on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analysis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R. uyekii cDNA library. The deduced RuHSP70 family has high amino acid identities of 72-99% with those of other speci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RuHsp70 family clustered with fish groups (HSP4, HSC70, HSP12A, GRP78) proteins. Quantitative RT-PCR analysis showed the specific expression patterns of RuHsp70 family members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and several tissues in Korean rose bitterling. The expression of 4 groups of Hsp70 family was detected in all tested tissue. Particularly, Hsp70 family of Korean rose bitterling is highly expressed in hepatopancreas and sexual gonad (testis and ovary). The expression of Hsp70 family was differentially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early development stage of Rhodeus uyekii.

납자루아과(Pisces: Acheilognathinae) 어류 3종의 숙주조개에 대한 산란양상 및 재첩(Corbicula fluminae) 내 산란 국내 최초 보고 (Spawning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 species (Pisces: Acheilognathinae) in host mussels and the first report of their spawning in Asian clam(Corbicula fluminae) from Korea)

  • 서진규;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29-246
    • /
    • 2023
  • 본 연구는 낙동강 지류인 고령 회천 유역의 납자루아과어류 3종(줄납자루, 낙동납자루, 각시붕어)을 대상으로 숙주조개 종에 대한 산란양상을 조사하고 재첩 내 산란한 종을 식별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총 200개 조개 중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율은 말조개(45.2%)와 작은대칭이(45.5%)가 유사하였으나, 재첩은 12.1%로 낮게 나타났다. 재첩을 산란조개로 이용한 납자루아과 어류는 줄납자루와 낙동납자루로 확인되었다. 말조개에서는 납자루아과 3종 모두 산란이 확인되었으며 작은대칭이에선 줄납자루만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재첩은 말조개류보다 크기가 작고 아가미 구조가 달라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가 생존에 불리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재첩과는 산란숙주조개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재첩 내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이 최근 중국에서 보고된 바 있고, 본 연구를 통해 재첩내 납자루아과 산란이 국내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는 재첩이 납자루아과의 산란숙주조개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지만, 산란 후 발생과정을 거쳐 유영능력을 획득하여 조개 밖으로 이동해 독립된 생활사를 지속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 재첩 내 산란이 산란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거나 높은 경쟁관계와 같은 생물학적 환경요인에 의한 현상일수도 있는점을 고려해 추후 5, 6월 시기에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낙동강수계의 다른 하천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납자루아과 어류의 재첩에 대한 산란양상 파악을 보다 면밀히 구명할 필요가 있다. 말조개 33개체 중 19개체(57.6%)에서 납자루아과 어류 2종 이상의 난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산란장을 차지하기 위한 납자루아과 어류 종간경쟁의 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낙동강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담수어류의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이들 자연개체군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 및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생태, 유전적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ggs and Yolk Sac Larvae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Spawning in Mussels

  • Song, Ho-Bok;Son, Yeong-M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193-198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ggs and yolk sac larvae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spawned and grown In mussels. The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as small ($358{\pm}108$ SD). The eggs were oval and large, and the formation of the perivitelline space was narrow. The eggs were hatched at only 41 hours after fertilization but the hatched larvae were underdeveloped. The development of yolk projection and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was notable, along with the vividly moving tail in the hatched larvae. The yolk projection and minute tubercles were disappeared upon enhancement of the motor ability of the larvae was enhanced. The formation of eyes and body pigments of the larvae was relatively delay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other cyprinid larvae. After completely consuming the yolks the larvae escaped from the mussel for free swimming and exogenous feeding.

Temperature-dependent Index of Mitotic Interval (τ0) for Chromosome Manipulation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 Kim, Bong-Seok;Lim, Sang-Gu;Gil, Hyun-Woo;Park, In-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29-433
    • /
    • 2011
  • Eggs of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were collected and fertilized to observe temperature-related cleavage rates and mitotic intervals (${\tau}_0$). As the water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slope of first cleavage frequency with elapsed time after fertilization increased, and approximately 30% of fertilized eggs reached first cleavage frequency at every 15 min. At higher temperatures, eggs developed faster and underwent further identical developmental processes.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au}_0$ and water temperatures at all temperatures studied (Y = -1.225X + 70.05, $r^2=0.988$, where Y is ${\tau}_0$ and X is temperature).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Oculocutaneous Albinism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Oculocutaneous Albinism in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Osteichthyes; Cyprinidae))

  • 오민기;박종영;유민정;강언종;양상근;김응오;조용철;박인석;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7-172
    • /
    • 2008
  • 한국고유종이자 멸종위기종인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종보존을 위한 인공발생 및 사육이 진행되는 동안 눈과 피부 전반에 걸쳐 색소의 발현이 결핍된 oculocutaneous albinism 개체가 출현하였다. 정상과 알비노간의 형태적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등 피부와 안구의 맥락막-망막 조직을 적출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형태는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멜라닌색소의 발현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 묵납자루는 등 피부의 표피와 진피, 맥락막-망막색소상피층 및 홍채에 많은 수의 멜라닌세포와 흑색소포가 존재한 반면, 알비노의 등 피부에서는 색소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맥락막-망막색소상피층과 홍채에서는 매우 제한된 분포를 보였다.

Acheilognathus majusculus, a New Bitterling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with Revised Key to Species of the Genus Acheilognathus of Korea

  • 김익수;양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7-31
    • /
    • 1998
  • A new bitterling, Acheilognathus majusculus is described from 20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omjin and Nakdong River, Korea.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Acheilognathus yamatsutae, but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and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5-21 gill rakers, 37-40 vertebrae, longer barbel, greenish body coloration, nuptial color of males and slightly protrusive snout. A key to species of Acheilognathus from Korea is inclu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