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guidelin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개방형 BIM 지침 개발에 관한 국외의 지침 분석 및 전략적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Guideline Trend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Open BIM Guideline)

  • 서종철;김인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8-66
    • /
    • 2009
  • 최근 BIM 패러다임은 건설산업의 작업의 생산성, 효율성 및 협업을 높일 수 있는 모멘텀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주요 선진 국가들은 IFC기반 BIM으로 불리는 개방형 BIM(Open BIM)을 도입 및 적용하기 위한 선결요건으로 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국내 건설업계에서 BIM의 도입 및 적용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주로 민간사 위주로 추진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공공발주 BIM의 도입 및 적용은 대한주택공사, 행정복합도시건설청, 정부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BIM에 관련된 제반적 요건을 마련하지 못한 관계로 적극적인 활용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BIM의 도입 및 적용을 위한 지침의 부재가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외 지침의 경향을 분석하고, 국내 지침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외 BIM 발주지침 분석을 통한 국내 토목 분야 BIM 가이드라인 개발 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 싱가폴 토목 사업 과업지시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ingapore's BIM tender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BIM guidelines in Korea)

  • 구본상;옥현;유영수;정래규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28
    • /
    • 2018
  • Recent increase in the interest and adoption of BIM for infrastructure projects has created a need for formal BIM guidelines in the civil engineering domain. Currently a BIM guideline has been developed in Korea exclusively for the road sector. However, the guideline has gaps in the specification of how BIM models should be generated, managed and applied for maximum effect in projects. This study reviewed the guidelines and tender documents of Singapore to determine potential improvements to adopt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Korea's guideline should focus more on process integration as to stipulating BIM deliverables, encourage a common data environmen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ompulsory and selective BIM applications, and require data and models that can be leveraged in the operation phase of the facility.

BIM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M Guideline)

  • 성준호;김길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5
    • /
    • 2011
  • 최근 BIM이 도입되면서 BIM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외 모두 BIM 도입 결정이 후 BIM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 분야의 BIM 가이드라인을 개발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BIM의 이론적 고찰과 해외 가이드라인 사례를 분석하여 BIM 가이드라인의 역할 및 개발 방향을 설정 하였다. 분석 결과 가이드라인의 역할은 (1) BIM 적용의 유도 및 확장 (2) BIM을 적용한 업무프로세스 지원 (3) 분야 간 협업방식 지원 및 개선 (4) 건설 정보의 표준화 구현 (5) BIM 활용 기술에 대한 기술적 지원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가이드라인, 표준, 매뉴얼의 각각의 역할을 구분하여 가이드라인의 구체적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중 핵심 사항으로 BIM의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BIM 프로세스, 단계별 정보 수준, 적용 범위 등에 대하여 초점을 두고 국내 설계단계별 업무를 토대로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설계 프로세스를 반영한 BIM 작성 기준(LOD)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OD(Level of Detail) for BIM Model applied the Design Process)

  • 조현정;김연수;마영균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13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rdering manuals and guidelines are diffused with the recent BIM activation. However, it is causing drawbacks such as an increase of work at each design stage and a decline of BIM application level that the standard of making up and managing BIM is vague and it includes comprehensive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cure BIM work standard by establishing BIM making-out standard based on LOD(Level of Detail) classification considering domestic design process. It compared each definition of LO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BIM guideline examples, and figured out insufficiency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design process and BIM guidelines. Moreover, it drew architects' work articles for promoting the progression of the efficient design process, and analyzed BIM requirements on design process, dividing BIM application scale by field. Through this analyzing process, it finally established BIM making-out standard classified by design process. The effects of establishing BIM making-out standard would include improving a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environment by creating integrated BIM model on design stages, advancing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a repetition and an increase of work, and upgrading project completeness and design quality. Besides, it can secure BIM work standard by clarifying responsibility for working steps. BIM making-out standard established b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future BIM work standard document and BIM guideline as a data base.

공동주택 시공성 검토 및 경제성 평가를 위한 BIM 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M Data Guidelines for the Review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valuation of Apartment Houses)

  • 이해찬;김진만;이동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9-150
    • /
    • 2019
  • Recently, major public owner and general contractors in Korea are actively preparing and improving BIM manuals and guidelines to effectively apply BIM technology in construction projects. These guideline has a purpose to define the scope of the applying BIM technology to each construction phase and to explain the minimum technology guidance required for the initial stage. In situations where BIM data are to be submitted within a limited time and cost at the design stage, a BIM data preparing proces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to meet the BIM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pre and post of construction preces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scope of the BIM guidelines to meet and to be considered for the BIM based review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valuation of Apartment.

  • PDF

국내 발주지침 보완을 통한 토목분야 BIM 활성화 전략 제안 - 도로분야 BIM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과업지시서 구성요소 제안 - (Proposing a BIM Activation Plan in Civil Projects by Investigating Guidelines in Procurement Processes - Proposing Contents of Guidelines to Support BIM Project in the Road Sector -)

  • 최고은;이재욱;홍창희;문현석;김도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7-5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uideline to help the client and bidder operate the BIM project in the domestic road field. As BIM design is mandatory in the construction field, documents disclosed by the ordering agency must essentially include procedures and step-by-step requirements to support B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the guidelines that practitioners need practically by utilizing the currently announced road field guidelines. The guidelines are analyzed based on the procurement documents that were pre-emptively shared overseas,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guidelines is confirm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construction practitioners who have no experience in BIM project can efficiently carry out BIM projects.

BIM지침의 통합관리를 위한 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ramework Based BIM Guideline System)

  • 한지수;이세잎;조찬원;김구택;조주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0-219
    • /
    • 2015
  • As various contractors have been asking BIM data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IM guidelines and standard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se days. Above all, BIM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properly because it is utilized at the earliest stage of BIM data creation. However, each of the existing BIM guidelines was totally different by contractors, disciplines or phases so that it caused problems about repetitious work, inefficient management and so 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sugges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IM guidelines. We firstly collected and analyzed existing guidelines, secondly standardized guideline phrases and lastly constructed data structure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i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to avoid working error for designers and enable easy creation or revision of BIM guidelines for contractors.

BIM을 위한 도면 표현 사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Drawing Representation for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채갑수;김언용;전한종;이명식;김길채;최종천;유석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70-475
    • /
    • 2008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is rooted in the economic and functional advantages of maturing from paper-based 2D drawings. The paper-based design and construction drawings are typical production from BIM and using the drawing under BIM environment is needed because there is not an alternative media instead of paper-based drawings. However using the 2D drawing process based on 2D CAD for BIM environment directly has difficulties becaus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ta structure between CAD and BIM. CAD is based on traditional drawings as a whole while BIM is focused on individual objects and providing various levels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s. It can be an obstacle to move from 2D CAD to BIM that we don't have a standard or guideline for BIM. Futhermore, the complexity of drawing in representation would be the obstacle too, so the solution is discussed in the research based on the case of Samoo Architects and Engineers.

  • PDF

BIM기반의 건축설계경기 평가 및 절차에 관한 연구 -국내외 BIM기반 건축설계경기 사례를 기반으로- (A Study for BIM based Evaluation and Process for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Cas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M-based Competition)

  • 박승화;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3-30
    • /
    • 2017
  • 건설산업 분야에서 빌딩정보모델링(BIM)은 단지 설계를 보다 쉽게 지원하고, 3차원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철거에 이르는 건설 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조화된 모델을 가지고 다양한 분석 및 해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BIM의 역할은 점점 더 증대되어 가고 있다. 노르웨이 베스트바넨의 국립예술박물관 현상설계 경기를 시작으로 국내외적으로 BIM을 설계 경기 및 평가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다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기존 방식의 설계경기와는 다르게 BIM기반으로 전사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동적이며,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 BIM 도구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링 가이드가 필요하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의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논문은 건설산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BIM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설계평가 및 절차의 방향에 대해, 전력거래소 본사사옥 등의 이전 설계경기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설명함으로써 향후 발주될 BIM기반 건축설계경기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발주단계에서 SLA를 활용한 BIM 서비스 적용 수준에 관한 연구 (Guidelin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Service Application Level using Service Level Agreement(SLA) in the Procurement Phase)

  • 김지윤;윤석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3-90
    • /
    • 2017
  • 최근 건설 산업은 BIM 도입을 의무화 하는 정책과 클라우딩 시스템, 각종 센서기술,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술 등의 ICT기술들과 융합으로 BIM이 더욱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표현 수준이 다양해지면서 하나의 BIM 프로젝트 내에서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등 각 분야마다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일관성을 갖기 어렵다. 따라서 BIM 적용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고 발주처의 입장에서 사업초기 단계에 적절한 BIM의 수준을 결정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분야에서 사용하는 SLA을 활용하여 발주단계에서 사업에 적합한 BIM의 목표수준을 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