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M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2초

BIM-BEMS 연계를 위한 M-BDL 기반 BIM 데이터 맵핑 (BIM data mapping based on M-BDL for BIM-BEMS connection)

  • 강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4
    • /
    • 2018
  • 최근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공간정보가 포함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잘 활용한다면, 사용자는 공간정보와 연계된 직관적 건물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BIM-BEMS 연계를 위한 MF(Model Filter)을 활용한 데이터 맵핑 방법인 M-BDL(MF-based BIM Data Linkage)제안한다. 최근 BEMS은 3차원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정보가 연계된 직관적인 건물 에너지관리가 가능하다. BIM 데이터를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요구사항 관점에서 필요한 BIM 데이터만 BEMS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Rich dataset인 BIM을 그대로 연계한다면 사용자가 불필요한 정보까지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주게 된다. M-BDL을 통해, 무거운 BIM 데이터에서 BEMS에 필요한 데이터만 맵핑함으로써, BIM데이터를 경량화할 수 있었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필요한 BIM 데이터만 필터링된 BIM 데이터와 BEMS 데이터베이스 간 연계할 수 있는 M-BDL 맵핑 방법을 제안한다.

국내 중소규모 건축물의 에너지관리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BEMS) for Korean Small or Medium Buildings)

  • 변정윤;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9-160
    • /
    • 2011
  • Recently there are many efforts for saving energy in building. therefo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BEMS) are expected to a reduction energy cost. BEMS has many benefits which could switch plant on and off automatically. Also It optimize plan operation and services, monitor plant statu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o provide energy analysis and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se days, many public buildings are applied BEMS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application of small or medium buil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ind how to apply BEMS in small or medium buildings.

  • PDF

태양광 배터리 Hybrid 전력공급시스템 9가지 운전 모드 시험결과 및 무고장 연속 운전을 위한 자동제어 알고리즘 개발 (Experimental Test Results of Nine Scheduling Operational Modes of PV and Battery Hybrid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Control Algorithm for Continual Operation without being shut-downed)

  • 송택호;양승권;김민정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1호
    • /
    • pp.25-32
    • /
    • 2019
  • K-BEMS 시스템은 태양광과 배터리를 Hybrid PCS 및 EMS로 구성하여, 건물에너지 절감 및 건물 PEAK 부하를 감축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0여 한전 사옥에 보급되어 시범 운영되고 있다. K-BEMS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K-BEMS 연구과제를 2016년 1월부터 2018년 현재까지 전력연구원이 약 3년간 걸쳐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BEMS 연구과제에서 수행한 9가지 Scheduling 운전 모드 시험 결과 및 3년간의 Scheduling 운전 결과 발견한 문제점, 그리고 이 문제점 해결을 위해 도입한 제어 알고리즘을 보여 주고 있다. K-BEMS 9가지 Scheduling 자동제어 운전모드 시험을 수행 하였으며, 이 중 3가지 운전모드에서 알고리즘 개선 사항을 발견하였는데, 이들 3가지 경우 모두 배터리 연계 운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터리 SOC(State of Charge)는 통상 20% 이상에서 운전되는데, 20% 이하가 되면 배터리 보호 차단기가 동작하여 K-BEMS 자동 운전이 정지되는 현상을 발생한다. 그런데 이 Hybrid 자동제어 모드에서, 배터리 차단기 trip시 태양광 공급마저 중단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Hybrid 공급모드에서 배터리의 차단기가 동작될 경우, 태양광 단독운전으로 자동 전환하여 태양광 공급마저 중단되지 않도록 알고리즘을 재구성하여 자동제어 운전하는 것이 총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때, 계측제어 오차를 감안하여야 하며, 배터리 정지를 너무 보수적으로 의식하여, SOC 운전 Range를 너무 축소해서 운전하면 당초의 피크 부하 저감 이라는 경제성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hybrid 운전(건물 피크 부하 감축 운전)을 위해서는 정지된 SOC 값을 컴퓨터가 기억하고 있다가, 향후 재가동 자동제어 운전시에서는 SOC Range값을 변경 조정 하여 최적 제어 운전하는 자동제어 알고리즘이 PV & Battery hybrid peak load demand control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의 주요 기능 및 활성화 연구 (A Study on Principal Functions of the Green Building BEMS and Activation)

  • 차주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4-102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그린빌딩의 에너지관리시스템(BEMS)를 이용하여 건물을 구성하는 각 건축설비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운전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건물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에너지 손실을 막기 위한 각종 기능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도록 한다.

A Study o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Oh, Jin-Seok;Bae, Soo-Yo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335-340
    • /
    • 2011
  • Building energy sav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se days. Control algorithm for energy saving should be designed proper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building. Recently, building energy system consists of hybrid energy system coupling with RE (Renewable Energy) source. In this paper, an optimum control algorithm for building energy saving is applied to 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y using an outdoor air temperature prediction strategy. BEMS coupling with renewable energy can control 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effec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uilding energy saving, BEMS was tested for several months at a laboratorial chamber with an air conditioner, fan and heater. To this end BEMS embedded control algorithm has been tested successfully.

A study on BEMS-link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using Industrial IoT

  • Park, Taejoon;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4호
    • /
    • pp.65-6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working architecture for building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BEMS) using 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The proposed monitoring server adopts IIoT-based standard protocol so that interaction with BEMS installed in existing buildings can be performed easily. It can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installed in the building based on IIoT,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is possible. We implemented a proposed monitoring server, and confirmed the availability and monitoring of data from sensors in the building.

K-water형 BEMS구축을 위한 태양광 연계 ESS 연구 (Research on ESS with Solar Power for K-BEMS)

  • 박윤제;정태갑;박정우;이종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631-632
    • /
    • 2015
  • 최근 정부는 에너지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수요관리 및 분산형발전시스템을 2015년도 에너지기본계획에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K-water는 K-water형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을 위한 태양광 연계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검토했다. 그리고 BEMS를 시범적용하여 실제적인 분석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광발전을 연계한 ESS를 이용하여 K-water형 BEMS 모델의 방법론 및 실행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와 건물에너지효율등급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jor Contituent Components & the Effect of Efficiency Improvement for the BEMS)

  • 손학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05-113
    • /
    • 2014
  • Currently, the energy consumption rate in buildings is approximately 28.5%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Therefore the amount of the consumption of petroleum resourses is at a worrying level of the blackout. The system of the amount of the Architectural Energy Efficiency Grade [AEEG] is in force by the government to apply the technologies of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and the Target Management System to mitigate the Green House Gases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On the account the mitigation of the Green House Gases and the reduction of the energy, from the view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the new and remodeling buildings should be under consideration. The author wants to present the possible ways how to improve the AEEG for the existing buildings by trying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BEMs, and by confirming the potential of the energy savings.

ESCO Column 2 -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 보급과 활성화 방안

  • 신영기
    • ESCO지
    • /
    • 통권64호
    • /
    • pp.18-21
    • /
    • 2010
  • 지난 3월 제21회 오토메이션 월드 박람회가 코엑스에서 열렸다. 이 전시회 중 '서울국제지능형빌딩시스템설비전'에 사람들의 관심이 유독 뜨거웠다. 관람객들은 빌딩자동화시스템과 에너지관리시스템으로 에너지절감을 앞당겨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 보급과 활성화 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본의 운용 사례를 소개한다.

  • PDF

BEMS용 Zigbee 네트워크 기반 객체감지형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연구 (A Study on LED Control System for Object Detecting based on Zigbee Network in BEMS)

  • 고광석;이정훈;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21
    • /
    • 2013
  • 빌딩 등 건물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전 세게적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IT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최근 LED 조명기술의 발전으로 LED를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BEMS에 이러한 LED 조명 제어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LED조명과 연동되어 있는 객체감지 센서를 ZigBee 통신을 활용하여 서버와 연결이 되며, 사용자가 서버와 연결된 PC를 통해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설계한 구조를 기반으로 빌딩에서 객체를 감지하여 LED 조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기능을 제안하고, 관련 Software 개발을 통해 구현가능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