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NU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6초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BCNU 106. 154 and 171 tolerant to organic solvents

  • Choi, Seung-Tae;Kim, Soon-Jeong;Lee, Kyung;Moon, Ja-Young;Kim, Dong-Wan;Lee, Ho-Won;Seo, Jeoung-Yoon;Hwang, Choi-Won;Jeong, Young-Kee;Joo, Woo-Ho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7-260
    • /
    • 2001
  • 유기용매 내성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서 석유화학 공업단지 부근의 폐수 및 토양을 채취하여 각종 유기용매에 적응시킨 후 순수 분리를 통하여 내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 중에 서 가장 내성이 강한 균주 BCND 106, 154 and 171 을 분리하였다. 이 균주를 이용하여 유기용매 내성 및 분해능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이 세 균주는 본 실험에 사용한 유기용매 대부분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를 탄소원으로도 이용하였다. 특히 BCNU 106 과 171 은 xylene isomer 인 meta-, para-xylene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뿐아니라 특히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ortho-xylene도 동시에 분해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항생제와 중금속에 대해서도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유기용매 내성 기작과 밀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후에 발생한 폐손상 (Pulmonary Toxicity Following High-Dose Chemotherapy With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선민;박광주;오윤정;정성철;황성철;이이형;김현수;임호영;김효철;임현이;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77-89
    • /
    • 1999
  • 연구 배경: 고위험군의 악성 질환의 치료로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은 기존의 치료보다 치료 반응율이 높고 생존의 향상을 기대할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도 있어 이환율 및 사망률도 높다.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후에 발생하는 특발성 폐렴 증후군은 감염성 원인을 배제한다면 약제에 의한 폐독성으로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저자들은 약제 독성으로 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폐렴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 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특발성 폐렴 증후군이 발생한 5례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하고 그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97례이었으며 이들중 5례(5.1%)에서 특발성 폐렴 증후군이 발생하였다. 5례의 환자의 연령은 평균 $41{\pm}13$세, 남녀비는 3:2였으며 유방암 3례, 악성 림프종 2례이었다. 사용된 항암제는 CBP regimen 3례, BEAC regimen 1례, BEAM regimen 1례이었으며, 사용된 용량은 BCNU 300-400 mg/$m^2$, cyclophosphsmide 6,000 mg/$m^2$이었다. 다섯 례 모두에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지 평균 14주 후 (4-26주)에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을 동반한 폐침윤이 발생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 소견상 3례에서는 양측성, 2례에서는 우하엽에 국한된 미만성의 폐침윤을 보였다. 경기관지폐생검 결과 폐포 손상과 격막의 비후, 비정상적인 제 II 형 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고 악성 세포의 침윤이나 감염성 질환 등의 소견은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으나 2례에서는 급성 호흡부전증으로 진행하여 사망하였다. 3례에서는 폐병변이 소실되고 중상도 호전되었으나 1례는 확장성 심근병으로 사망하였고 2례는 호전되어 폐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외래 관찰 중이다. 결론: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은 치료 효과가 기존의 항암치료보다 높지만 BCNU를 포함하는 복합 화학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약제에 폐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환자의 선정과 폐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