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문화와 표준주의 인식과 상관관계 (Awareness and Correla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tandard Precautions among Health Care Personnel)

  • 권혜경;정재심;이복임;김장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8-72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in order to survey healthcare personnel(HCP)'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HCPs including 80 doctors, 240 nurses, and 80 medical technicians from two general hospital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consisted of 9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44 on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21 on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Result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aged over 40 than in those aged 30-39. In addition,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in those with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a year than in those with 5-9 years. The scor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orking 8 hours a day than in those working over 10 hour a day. The number of medical accident report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nurses than in doctors,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and in those with 10 years' or longer experiences than in those with less than a year. In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workers than in male workers, and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As a whole, the subject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sufficient work force and the promo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safety is needed in order to guarantee patient safety. Likew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job skill, and adequate working hou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알아보고 환자안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자안전문화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의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0일부터 11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46점이었고, 세 가지 영역에서는,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점수와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점수 및 병동의 안전의식 수준의 점수는 각각 $3.59{\pm}0.3$점, $3.41{\pm}0.5$점, $3.41{\pm}0.4$점 이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 경험과 병원근무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점수는 간호사의 결혼상태, 안전교육, 직무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경험과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의 안전사고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병동의 안전의식수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환자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직업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간호사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ounds)의 융복합적 적용 효과 (Effect of Leadership WalkRounds Convergence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 이미향;김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85-195
    • /
    • 2015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Rounds, LWR)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의료직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미국 의료질향상 연구소(IHI)의 도구와 미시건 대학의 환자안전 라운드(Patient Safety Rounds, PSRs)를 기반으로 준비-일정계획-운영-보고-문제해결 5단계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세, 방사선사가 55.2%, 간호사가 26.0%, 약무직이 18.8%였다. 중재 후 환자안전문화 인식 총점은 2.63점에서 3.3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약무직, 여자, 30대 및 근무경력 1년 이하 그룹에서 인식정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상승했는데(p<.001), 특히 안전사고보고영역(p<.001), 의사소통영역(p<.001)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개념의 융합으로 의료 질관리에 새로운 관리방안을 시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향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정도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 김안나;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29-240
    • /
    • 2021
  • 본 연구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일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성인 환자 10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12일까지 이루어졌고,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은 5점 만점에 4.22±0.52점,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4점 만점에 3.35±0.48점이었다.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교육 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4.85, p<.001),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결혼상태(t=2.75, p=.007), 환자안전교육 경험(t=3.8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9,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환자안전문화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 정수진;정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1호
    • /
    • pp.98-105
    • /
    • 2019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and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and verify factors that affect patient safety cultur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09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Professionalism of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culture while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also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cultur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nts' patient safety culture included professionalism,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employment history in current hospital,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These factors explained 57.8% of patient safety culture.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strategic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doctors' cognition of patient safety at general hospitals)

  • 유은영;정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7-26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환자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의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G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의사를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 부터 9월 5일까지 설문조사하여 194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와 병동 및 병원안전문화 간의 관계는 직원배치가 성별, 연령별, 병원 근무년수, 환자 접촉여부, 1주 근무시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으며, 조직학습과 병동내 팀워크는 1주 근무시간에 따라, 병동 안전문화 모든 하부영역은 진료과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와 의료사고보고체계, 환자 안전도 평가 및 전반적 의식수준과의 관계에서는 사고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전반적 안전의식이 진료과별로 유의하였으며, 전반적 안전의식은 환자접촉과 1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병동 및 병원 안전문화 인식 하부영역과 전반적 인식, 환자안전도 평가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사고 보고체계와는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와 병원경영진의 태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자안전도 영향을 미치는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은 조직학습, 의사소통의 개방성, 전반적 안전인식, 부서간의 협조체계, 피드백과 의사소통, 비처벌적 대응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의사들의 병동 및 병원 환자안전문화 수준을 높이고 의료사고보고체계를 충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원배치와 근무시간을 바탕으로 병동 내 조직적 학습을 통한 팀워크을 활성화 시키고, 부서간 팀원간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사고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환자 안전에 대한 병원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과 진료과별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literature review of patient safety in Korea: focused on domestic studies)

  • 황지영;김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measures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s of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field. Methods:The data were extracted from 2011-2016 KoreaMed, KMBase, KISS, NDSL and KISTI. Data were analysis by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87.0% of the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As for the method of sampling, 'No use' was the highest at 56.5%.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urses' (50.7%). 19 hospitals (35.8%) were the most common.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5 (51.5%) patients'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20 (29.4%)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s: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should be maintained. Further, a mature patient safety culture should be settled through cooperation management among medical staff.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es)

  • 최은아;권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81-288
    • /
    • 2019
  • 환자 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고 의료서비스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개 지역 병원 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역량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환자안전문화 식은 평균 4.25/5점, 환자안전역량은 평균 4.37/5점,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는 평균 4.26/5점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역량(r=.765,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활동(r=.837, p<.001) 및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인식(r=.728,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역량(β=.582, p<.001), 환자안전문화인식(β=.3632, p<.001), 직위(β=-.132, p=.009) 순이었다.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하고 병원조직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수술실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 김정순;김주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48-575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수준, 안전사고유형, 및 수술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를 파악하고 수술환자 안전관리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천이행도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191명의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paire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수술환자 안전관리수준을 중등도(6.3)로 평가하였으며 수술환자 안전사고는 환자손상(39.8%), 계수(18.4%), 감염관리(17.5%)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수술실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실천이행도는 중요성인지도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t=18.01, P<.001)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56, p<.001). 안전교육경험, 동료수술간호사의 사고경험, 직위, 병원경력이 수술환자안전관리 실천이행도의 유의한 설명변수(13.9%)로 규명되었다(F=8.407, P<.001). 그러므로 각 병원은 수술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제공하고, 안전관리지침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하며 안전관리에 대한 개방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감염관리활동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Dental Hygienists and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 정용주;이선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1-172
    • /
    • 2022
  • Purpose : The study was to promote patient safety by analyzing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Methods : The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210 dental hygienists in total working in dental settings. To find out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ccording to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there were 6 general characteristics, 3 teamwork within the department, 2 infection control systems, 4 surface management, 9 equipment washing, disinfection, and laundry management, 4 infectious wastes, and 3 personal protection phrases.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0.0, and p<.05 was adopted to decide on significance. Results : The longer dental hygienists have worked n the dental settings, the more active they become in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dental care settings, general (university) hospitals had the largest number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followed by dental clinics, and network dental clinics, in descending order. The dental settings possessing a higher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conduct mor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than other dental setting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a dental setting adopts a patient safety policy across all the units in the hospital, more systems and procedures for patient safety tend to be established, and that stricter management response to error leads to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infection control activity program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periodic reinforcement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regular monitoring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