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idi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9초

실험적 백서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의 면역글로불린 G 아강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IMMUNOGLOBULIN G SUBCLASSES OF THE EXPERIMENTALLY INDUCED RAT PULP AND PERIAPICAL PATHOSES)

  • 백승호;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41-59
    • /
    • 199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immunoglobulin G subclasses with the degree of inflammation in the experimentally induced rat pulp and periapical pathoses. The pulp exposures were made in 108 mandibular 1st molars of 54 rats and the teeth were left open to the oral environment The animals were sacrified at 3, 7, 15, 30, 60 and 90 days after pulp exposure, and examined microscopically and radiographically Seventy one specimens were routinely sectioned at the thickness of 4 - $6{\mu}$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 eosin for histologic examination, with toluidine blue for mast cells, and with the primary antibodies against rat IgG subclasses by using the Avidin - Biotin complex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the degree of inflammation of rat pulp and periapeces intensified, the number of IgG subclass containing cells per unit area, especially IgG2a and IgG2c, decresased. 2. The IgG2c cells were most predominantly found in the lesions with slight inflammation, IgG1 cells in mild or severe inflammation, and IgG2a cells in moderate inflammation. 3. IgG subclass containg cells were more predominantly observed in the periapical granuloma than periapical abscess or cyst(p<0.01). 4. IgG2a containing cells were predominant in pulp inflammation, IgG1 containing cells in periapical granuloma, IgG2a cells and IgG1 cells in periapical abscess, and IgG2a cells were significantly predominant in periapical cyst. 5. The number of IgG subclass containing cells and mast cells in periapical tissue decreased with time lapse after pulp exposure. And correlation index between mast cells and IgG1, IgG2a, IgG2b was stastically high.

  • PDF

비염증성 치은증식증의 상피 및 상피하조직내 세포변화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 최영욱;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605-621
    • /
    • 1993
  • The gingival hyperplasia refer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gingival tissue produc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ts component cel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gingival tissues were surgically obtained from the patients with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and idiopathic gingival hyperplasia. The excised tissue samples were fixed in neutral formalin for 6-24 hours, embedded with paraffin, sectioned at $4-6{\mu}m$ in thickness, mounted on glass slides coat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and immunocytochemically processed b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 method for detecting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tenascin and collagen type IV. Monoclonal mouse anti-human PCNA antibody(Oncogene Science, Uniondale, NY, U.S.A., 1 : 250,000), monoclonal mouse anti-human tenascin antibody(Chemicon-International Inc., Temecula, CA, U.S.A., 1:5,000), and monoclonal mouse anti-human collagen type IV(Dakopatts, Glostrup, Denmark, 1: 50)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positive reaction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was localized in the basal cell layer of gingival epithelium and well-developed rete pegs. 2. The positive reaction to tenascin was shown in the connective tissue subjacent to basament membrane of gingival tissue, and especially strong positive reaction was noted in the tip portion of connective tissue projections. 3. The positive reaction to collagen type IV was localized along the basement membranes of gingival epithelium and blood vessels. The results suggest that connective tissue enlargement may affect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epithelium.

  • PDF

발생중인 병아리의 사이뇌에서 NPY 양성반응세포의 분포 (NPY Distribution in Diencephalon of Developing Chick)

  • 이미영;박일권;이경열;권효정;송치원;박미선;이강이;하권수;김원식;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20
    • /
    • 2002
  • This study deals with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study of the neurons with the neuropeptide Y (NPY) in developing chick brain. The developing brains of Korean native chicks at embryonic days 8 (E8), E10, E12, E14, E16, E18, and E20 were used. The chicks were perfused with 4% paraformaldehyde through the left ventricle and aorta. The brains were removed and transferred into 30% sucrose, and then cut in a cryostat into $60{\mu}m$ in thickness. The sections were immunostained with free-floating and avidin-biotin complex (ABC) methods. The numerous neurons with NPY were first observed in nucleus rotundus of diencephalon at E8. In particular, neurons in nucleus rotundus had the well-developed processes. At E12, the neurons with NPY were distributed widely in diencephalon; nucleus septalis lateralis, medialis, nucleus magnocelluaris preopticus dorsalis, medialis, ventralis, nucleus preopticus medialis, nucleus dorsolateralis anterior thalami pars magnocellularis, and nucleus paraventricularis magnocellularis (paraventricular nucleus) except nucleus rotundus. From E12 to E20, positive neurons were oval-shaped, changed gradually into the spherical- and multipolar-shaped. The shapes of processes were also omnidirectional and the number of those were less than in telencephalon. As the chicks developed, the morphology of neurons with NPY showed the tendency to increase in their sizes and numbers.

Aujeszky's disease virus 국내분리주 접종자돈의 병리발생에 관한 연구 II. 면역조직화학 및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항원과 핵산 검출 (Studies on the pathogenesis of Korean isolate of Aujeszky's disease virus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lets II. Immunohistochemistry and detection of viral nucleic acids by in situ hybridization)

  • 조우영;조성환;박최규;김재훈;현방훈;윤용덕;권창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59-871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Aujeszky's disease viral nucleic acids and antige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of piglets. The first Korean isolate of Aujeszky's disease virus(ADV) that isolated from naturally infected piglets in Yang San, was inoculated into 32 day old piglets with $10^{5.9}TCID_{50}/ml$ through intranasal or intramuscular route. These piglets were sacrificed at every 24hrs for 8 days. The immunohistochemistry (IHC) was conducted to detect the viral antigens in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using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method. The viral nucleic acids were detected by in situ hybridization (ISH) using ADV specific DNA probe labeled with digoxigenin. The ADV antigens were detected in reticuloendothelial cells of spleen, lymph nodes and tonsil, alveolar walls, leptomeningeal vascular walls, inflammatory foci of each organ, and nerve cells. The viral nucleic acids were detected in the spinal trigeminal nucleus and its tracts of the pons and medulla oblongata by the ISH technique. The pathways of AD viruses in CNS were determined by IHC and ISH. In the intranasally inoculated group, the viruses in nasal mucosa moved to medulla oblongata and pons through the trigeminal nerve. In case of intramuscullarly inoculated group, viruses moved to brain via lymphoid organs or spinal nerves from sciatic nerves.

  • PDF

Non-Invasive Colorimetric Magneto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CM-LAMP) Method for Helicobacter pylori Detection

  • Bangpanwimon, Khotchawan;Mittraparp-arthorn, Pimonsri;Srinitiwarawong, Kanchana;Tansila, Natt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01-509
    • /
    • 2021
  • More than half the world's population is thought to be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Although the majority of infected people are asymptomatic, H. pylori infection may cause gastric ulcers and deadly gastric cancer. Owing to the difficulty and invasiveness of current routine culture and diagnostic methods, a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noninvasive assay for H. pylori is of interest. This study highlighted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a colorimetric magneto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CM-LAMP) assay to detect H. pylori in spiked saliva samples. LF primers were coated on magnetic nanoparticles by carbodiimide-induced immobilization and functionally used for solid-phase amplification. During the LAMP reaction at 66℃, biotin-tagged FIPs were incorporated into LAMP amplicons. The colorimetric signal developed after the addition of NeutrAvidin 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 (NA-HRP) and ABTS. None of the tested microorganisms, including closely related bacteria, was shown positive by the CM-LAMP assay except H. pylori isolates. This novel platform was highly specific and 100-fold more sensitive (40 CFU/ml or 0.2 CFU per reaction) than the PCR and conventional LAMP assays for the detection of H. pylori in spiked saliva.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this noninvasive molecular diagnostic test to detect H. pylori in saliva samples.

C57BL/96 Mouse의 폐, 간, 신장에서 방사선조사 후 TIMP-1, TIMP-2의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for TIMP-1 and TIMP-2 Expression after Irradiation in Lung, Liver and Kidney of C57BL/6 Mouse)

  • 노영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81-189
    • /
    • 2001
  • 목적 : 피부나 폐, 간, 신장 등의 섬유화가 방사선 조사 후 주요한 부작용 중의 하나이나 아직까지 이 과정에서 $TGF-\beta$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는 밝혀진 것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또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및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 유전자 활성 및 발현이 조직의 재구성과 손상,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에 관여하고 있고, 방사선이 종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에도 방사선에 의한 MMP와 TIMP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조사가 TIMP-1, TIMP-2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57BL/6 생쥐를 Varian CL4/100을 사용하여 각각 0, 2, 10 Gy의 조사량으로 전신조사를 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24, 48 시간에 생쥐를 희생하여 폐, 간, 신장을 얻어 paraffin 포매 조직 절편을 만들어 Avidin-Biotin Complex 방법으로 면역 염색을 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색의 강도와 면적에 따라 점수화 하였다. 결과 : TIMP-1은 대조군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 폐조직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에서는 간세포와 Kupffer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신장조직에서는 주로 세뇨관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방사선량에 따른 발현의 정도는 신장을 제외하고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TIMP-2는 폐조직에서는 2 Gy 조사 후 발현이 증가되었고, 간조직에서도 2 Gy 24 시간에는 활성이 증가했으나 10 Gy에서는 대조군 수준이었다. 신장조직에서는 10 Gy에서는 발현의 정도의 변화는 없었고 2 Gy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결론 : 각 장기에서 TIMP-1과 TIMP-2의 발현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각 장기의 특정한 세포에서만 발현이 되었다. TIMP-1의 경우 간과 신장에서는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폐에서는 발현이 증가되지 않았다. TIMP-2의 경우 폐에서는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간과 폐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발현의 변화는 불규칙적이었다.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과 방사선량에 따른 발현의 변화도 일정하지 않았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 DR5 TRAIL 수용체와 p53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DR5 TRAIL Receptor and p53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계영;이정현;김순종;유광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278-284
    • /
    • 2008
  • 연구배경: TRAIL 은 death 수용체(DR4, DR5)와 decoy 수용체(DcR1, DcR2)라는 독특한 수용체 시스템 덕분에 정상세포는 보호하고 종양선택적 살상능을 가진 유망한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DR5 TRAIL 수용체는 wild-type p53 세포에서 DNA 손상항암제인 doxorubicine에 의해 발현 유도되는 p53-조절 death 수용체 유전자로 처음에 발견되었다. 폐암 조직에서 이러한 DR5와 p53 발현에 관연 연구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DR5 발현과 p53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Avidin-biotinyl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를 이용하여 89예의 수술적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포르말린 고정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DR5 polyclonal antibody (Pro Sci Inc., Poway, CA)와 anti-p53 monoclonal antibody (DO-7, Novocastra, Inc, Manhasset, NY)를 이용하였다. DR5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판정은 면역염색의 범위와 강도를 합산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0, non-staining; 1+, weak and diffuse(>50%) or focal (<50%) or moderate and focal; 2+, strong and focal or moderate and diffuse ; 3+, strong and diffuse. 2+ 이상을 고발현(high expression)으로 분류하였다. p53 발현 정도에 따른 p53 wild type과 mutant type의 구분은 3+의 강양성인 경우를 mutant type으로 판정하였고, 나머지 0, 1+, 2+ 발현은 wild type p53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주변 정상폐조직에서의 DR5발현은 기관지점막에서 89%의 고발현율을 보였으나, type I, II 폐상피세포, 림프구, 평활근세포 등의 정상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폐암 조직에서 DR5 고발현율은 편평상피암에서 28% (15/53), 선암에서 47% (15/32), 대세포암에서 50% (2/4)의 빈도를 보여 전반적으로 36%의 고발현율을 보였다. DR5 고발현율은 임상병기, 생존기간 등 임상 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p53 발현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DR5 발현이 기관지점막을 제외하고는 종양 선택적임을 확인하였고 p53 발현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R5가 p53 조절 유전자임을 in vivo에서 확인한 유력한 증거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에 의한 HCV-RNA의 검출 : Biotin 및 방사성옥소 표지 Primer로 구성된 Kit의 이용 (Detection of HCV-RNA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Biotinylated and Radioiodinated Primers)

  • 류진숙;문대혁;천준홍;정윤영;박흥동;정영화;이영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0-226
    • /
    • 1994
  • RT-PCR법에 의한 HCV-RNA검출을 임상검사에 적용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biotin 및 $^{125}I$을 표지시킨 primer를 이용하여 최근 개발되어 있는 상품화된 kit 로 HCV-RNA 검출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연구대상은 anti-HCV 양성인 118명의 성인환자로, 방법은 환자 혈청내의 HCV-RNA를 guanidium-thiocynate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AMPLICIS II $HCV^{(R)}$(CIS, France)kit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 후 1차 증폭을 시행하고, 다시 소량의 1차 증폭산물을 biotin과 $^{125}I$으로 각각 표지된 1쌍의 Primer로 이용하여 2차 증폭을 시행하였다. 증폭산물은 avidin이 코팅된 시험관에 반응시키고 감마선 계수기로 계수하였다. 검사의 재현성을 보기 위하여 anti-HCV 양성인 환자 혈청 중 무작위로 51개의 검체를 선정하여 반복실험하였고, 만성 간질환 환자로부터 얻은 34개의 검체는 본 연구소에서 확립된 다른 RT-PCR 방법으로도 검사를 병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nti-HCV 양성이면서 조직검사상 만성감염이나 간경화 소견을 보이거나 6개월이상 지속적인 간기능 이상을 나타낸 환자 88명 중 85명 (97%)에서 HCV-RNA 양성이었고, 6개월 이상 간기능이 정상이었던 30명중에서는 73%인 22명에서 HCV-RNA양성 이었다. 2) 두가지 다른 방법으로 RT-PCR을 병행한 34명중, kit를 사용한 경우는 32명(94%)에서 양성소견을 보였고, 기존방법대로 전기 영동 후 ethidium bromide로 염색한 경우는 27명 (79%)에서 양성을 나타내었다. 3) 검사의 재현성을 보기 위하여 anti-HCV 양성인 51개의 검체를 2번 반복 실험하였을때, 82%에서 일치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biotin 및 $^{125}I$ 표지된 primer로 구성된 kit를 이용했을 때 기존방법에 비하여 예민하게 HCV-RNA를 검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검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반복 검사시 검사간 변이가 상당히 존재하고 있어 정도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비소세포 폐암에서 HIF-$1{\alpha}$의 발현: 예후 및 종양표지자와의 관련성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alpha}$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Relationship to Prognosis and Tumor Biomarkers)

  • 조성래;변정훈;김종인;이봉근;천봉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28-837
    • /
    • 2006
  • 배경: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 생성 및 당분해의 증가는 저산소 상태의 미세환경을 나타내며, 이는 종양의 침습성, 전이 및 환자의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ypoxia-inducible factor 1(HIF-1)는 당원 수송체, 당분해 효소,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등의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HIF-1의 전사 활성도는 HIF-$1{\alpha}$ 아단위의 표현이 조절되는 정도에 의존한다. 비소세포 폐암에서 HIF-$1{\alpha}$의 발현이 혈관 생성능, 종양세포 증식능 및 이상형 p53의 축적 등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환자의 수술 후 예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전폐절제술 혹은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59명의 폐암 환자들에서 얻어진 파라핀 조직 블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ABC(avidin-biotin complex) 방법에 기초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이용하여 암조직과 정상조직에서 HIF-$1{\alpha}$,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53 단백의 발현을 조사하고, Ki-67의 발현을 이용한 증식지수를 측정하였다. HIF-$1{\alpha}$ 발현과 환자의 생존기간을 포함한 임상적-병리학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 VEGF, p53의 발현과 증식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HIF-$1{\alpha}$의 과발현은 40.7%(24예/59예)였다. HIF-$1{\alpha}$의 과발현은 병리학적 TNM병기(p=0.004), T병기(p=0.020), N병기(p=0.004), 림프관/혈관 침범(p=0.019) 등과 관련이 있었다. 또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p<0.001) 및 이상형의 p53의 발현(p=0.040)과 관련성이 있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에서 HIF-$1{\alpha}$의 과발현이 있는 환자의 5년 생존울은 22%로 HIF-$1{\alpha}$의 저발현 환자의 5년 생존율 61%에 비해 불량한 생존율을 보였고,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HIF-$1{\alpha}$의 발현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는 인자로 관찰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HIF-$1{\alpha}$의 과발현은 종양내 신생혈관의 생성과 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는 표지자로 여겨지며, 수술 후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었다.

수술로 절제된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주기와 관련된 p27, CDK4, Uteroglobin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p27, CDK4, and Uteroglobi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백만순;홍석균;홍현주;엄상원;이계영;김우호;이춘택;유철규;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53-264
    • /
    • 2002
  • 연구 배경 : 세포 주기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들의 발현이 암의 발생, 진행, 치료 반응 및 생존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CDK4와 이를 억제하는 p27의 발현 정도가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최근 새롭게 암억제 유전자로 밝혀진 uteroglobin과 세포 주기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의 발현 여부와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세포 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비소세포암의 임상 지표와 생존율과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110예의 비소세포암 조직을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4{\mu}m$ section에서 avidin-biotinylated hooseradish pero xidase complex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발현 정도는 양성 염색부위의 면적과 염색 강도에 따라 0:none, 1:weak, 2: moderate, 3:strong로 구분하여 점수로 판정하였다. 염색의 정도에 따라 0,1을 음성군으로, 2와 3을 양성군으로 나누었다. 단백질 각각의 발현과 여러 가지 임상적, 조직학적 지표들과 연관성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은 수술 후 바소세포암 환자로 전체 110명으로, 성별은 남녀비가 87:23이다. 평균 연령은 $56.43{\pm}9.41$, 조직학적 형태별로는 상피세포암이 43명, 선암이 30명, 대세포암이 9명이고 그 외 다른 암은 28명이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발현율은 p27가 110예 중 83예 (75%), CDK4는 110예 중 98예 (89%), uteroglobin은 110예 중 11예 (10%)로 CDK4가 가장 높았고 uteroglobin 이 가장 적었다. 각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율의 세포형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술적 절제 된 비소세포암에서 시행한 면역 조직학적 염색에서 CDK4 발현이 음성인 군에서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 주기에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CDK4 발현 정도가 환자의 예후와 관련되어 있어, 수술 후 치료 계획 및 생존 기간을 예측하는데 좋은 지표로 사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