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stereoscopic displa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최적 입체시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 기반 다시점 모바일 디스플레이 모의장치 개발 (Development of Multi-View Simulator for Mobile Display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Providing an Optimum Viewing Zone)

  • 이동수;이광훈;박민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896-902
    • /
    • 2013
  • 무안경방식 입체 디스플레이에서 유발되는 크로스토크는 최적 입체시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디스플레이 개발자들은 최적 입체시를 위해서 반드시 크로스토크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특성과 시청 환경에 따라서 실제 디스플레이 설계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안경방식 입체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주요 인자들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들 상호적인 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함으로써 최적의 모바일용 입체시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용 시청 영역 범위를 가이드 한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한 시뮬레이터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실제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역간 크로스토크를 가시화 하여 디스플레이 개발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최적의 입체시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직관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시차장벽식 무안경 다시점 입체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수평방향의 시점 수 저하 없이 깊이방향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혁신적 방법 (Innovative Method to Expand a Degree of Freedom of Observation in the Depth Direction without Losses of the Horizontal Number of Views in Autostereoscopic Multi-Views 3D Display System)

  • 이광훈;박민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903-910
    • /
    • 2013
  • 무안경방식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수평, 깊이방향에 대한 관찰자유도가 안경방식에 비해 매우 좁다. 본 논문에서는 분할된 3중의 기울어진 시차장벽(TS-SPB)을 사용하여 무안경방식에서 수평방향의 시점수를 유지하면서도 깊이방향의 시역폭을 증가시키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의의 당위성은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전산모사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색분산이 없는 수평방향의 가용 최대 시점수는 $2^n$이며, 깊이방향의 시역폭은 단일 시차장벽(SPB)의 경우와 비교하여 3.36배 증가하였다.

470 x 235ppi poly-Si TFT LCD for High-Resolution 2D and 3D Autostereoscopic Display

  • Uehara, Shin-Ichi;Ikeda, Naoyasu;Takanashi, Nobuaki;Iriguchi, Masao;Sugimoto, Mitsuhiro;Matsuzaki, Tadahiro;Asada, Hidek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783-786
    • /
    • 2004
  • We have developed a 470 x 235ppi poly-Si TFT LCD with a novel pixel arrangement, called HDDP (Horizontally Double-Density Pixels), for high-resolution 2D and 3D autostereoscopic display. 3D image quality is especially high in a lenticular-lens-equipped 3D mode because both horizontal resolution and vertical resolution are high, and because these resolutions are equal. 3D and 2D images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in the same picture. In addition, 3D images can be displayed anywhere and 2D characters can be made to appear at different depths with perfect legibility. No switching of 2D/3D modes is necessary, and the design's thin and uncomplicated structure makes it especially suitable for mobile terminals.

  • PDF

Autostereoscopic Time Multiplexed 2D/3D Display

  • Kim, Dae-Sik;Shestak, Sergey;Cha, Kyung-Hoon;Koo, Jae-Phil;Hwang, Seon-Deo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2호
    • /
    • pp.1803-1806
    • /
    • 2007
  • We have developed a 2D/3D time sequential LCD autostereoscopic display, which is capable of simultaneous displaying 2D and 3D graphics at a frame rate up to 120 Hz. Left and right sets of viewing zones ar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fast LC shutter and a lenticular lens array.

  • PDF

체적 홀로그래픽 메모리를 이용한 다시점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based on Volume Holographic Memory)

  • 이승현;손광철;심원섭;양훈기;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A호
    • /
    • pp.688-69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체적 홀로그래픽 메모리 저장 기술을 이용한 다시점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디스플레이 평면에서 다시점 3D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공간 다중화된 평면 기준파와 각 다중화된 명면 물체파를 간섭시킨 후 광굴절 매질에 기록하였다. 재생시 다안식 영상으로 구성된 물체파가 시분할적으로 update 되며 브래그 조건을 만족시켜면, 출력 평면에서 다안식 스테레오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체적 홀로그램을 이용한 다시점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실험과 이론적인 분석을 하였다.

  • PDF

이동형 패럴랙스배리어와 시점 추적을 이용한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with moving parallax barrier and eye-tracking)

  • 채호병;유영록;이강성;이승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19-42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시점의 움직임에 대해 최적의 자연스러운 스테레오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추적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관찰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점추적시스템은 관찰자와 배경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여 배경으로부터 관찰자를 분리할 수 있다. 시점추적을 위한 키 신호를 얻는 방법으로 TOF(Time-Of-Flight) 이론으로 만들어진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사용하였다. 또한 관찰자의 위치가 제한되는 고정형 패럴랙스배리어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이동형 패럴랙스배리어를 제안하였다.

High-visibility 2D/3D LCD with HDDP Arrangement and its Optical Characterization Methods

  • Uehara, Shin-Ichi;Hiroya, Tsutomu;Kusanagi, Hidenori;Shigemura, Kouji;Asada, Hidek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47-150
    • /
    • 2008
  • We have developed a 3.1-inch diagonal 2D/3D LCD with a novel pixel arrangement, called HDDP (Horizontally Double-Density Pixels), for high-quality 3D images. We have improved 3D visibility by broadening the 3D viewing zone where high-quality images can be seen, and we propose optical characterization methods which can evaluate the high-visibility autostereoscopic displays correctly.

  • PDF

Method for Supplementing Single-View Resolution of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Using Plate Beam Splitter

  • Kim, Hyun-Woo;Cho, Myungjin;Lee, Min-Chu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108-113
    • /
    • 2021
  •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MA3D) display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single-view resolution decreases as the number of views increases. Furthermore, the resolution of MA3D displays is relatively degraded, even though the resolution of two-dimensional displays has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it is unattractive to consumers, and the single-view resolution enhancement of MA3D displays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for supplementing the single-view resolution of MA3D displays using a plate beam splitter that can show two MA3D displays simultaneously. By applying our proposed method, the resolution of a single view can increase, and the visual obstruction by the optical plate, which is a problem for MA3D displays, can be solved. In addition, an MA3D display was optically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parallax barrier. Finally, the experimental optical result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the only MA3D display were compared.

Laser Illuminated Multi-viewer 3D Displays

  • Sexton, Ian;Bates, Richard;Lee, Wing;Surman, Phil;Hopf, Klaus;Neumann, Frank;Corbett, Alex;Buckley, Edward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423-1426
    • /
    • 2008
  • This paper describes current work regarding two EC funded projects, MUTED and HELIUM3D whose objective is to produce a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which is well suited to domestic television applications. Both of these projects have common roots in a previous EC funded project (ATTEST) and both employ laser illumination and viewer head trac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