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ic nervous reac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숲의 종류에 따른 생리적 치유효과 분석 -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Healing Effects by Forest Types -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

  • 정나라;안득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숲의 종류에 따른 이용자의 생리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숲은 편백나무숲, 졸참나무숲, 소나무 숲으로 구분하고, 실험대상 집단은 고혈압 환자(64명), 당뇨병 환자(59명) 및 일반인(59명)으로 구분하여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뇌파, 심박 변이, 혈압, 맥박, 코티졸, 혈압 등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전체 피험자의 생리적 반응으로 숲의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숲은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측면에서 다른 숲에 비하여 높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편백나무숲은 자율신경계를 제외한 지표에서, 소나무숲은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 일부 지표에서 스트레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숲은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다. 고혈압 환자는 효과의 정도 측면에서 소나무숲보다 편백나무숲과 졸참나무숲에서 체류할 때 높은 혈압 강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혈당저하의 효과측면에서는 모든 숲이 효과적이나 특히, 졸참나무숲에서 체류하는 것이 높은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건강인의 경근전도와 자율신경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Meridian-Electromyograph,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Stress in Healthy People)

  • 남기봉;정석희;김성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4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PMR) on stress and muscle relaxation in healthy people. Methods : Sample group of 14 healthy subjects had been treated by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for 10 days. Control group of 14 healthy subjects were not treated during the same period. Outcomes were assessed by Meridian-Electromyograph(MEMG), Heart Rate Variability(HRV), Stress Reaction Inventory(SRI). Results : The contraction and fatigue of erector spinae muscle by MEMG had decreased significantly in Sampl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HRV and SRI. Conclusions : Further studies analysing PMR effect on stress and muscle relaxation are needed.

승강기 갇힘 사고 시 색 온도에 의한 이용자의 심전도 변화 (Passenger's Electrocardiogram Change due to Color Temperature in Case of Elevator Jam)

  • 김호겸;김규범;조형석;안석현;민병찬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11-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승강기 갇힘 사고 시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색 온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승강기 내부 조명의 색온도를 4단계(3000 K, 6000 K, 9000 K, 12000 K)로 조절하였다. 실험은 20대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다. 각 상황별 이용자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심전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000 K와 비교 시 3000 K, 6000 K, 9000 K에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1). 그 중 3000 K의 조건에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승강기 갇힘 사고 시 3000 K의 색 온도가 승객으로부터 안정감을 유발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승강기 갇힘 사고 시 승객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yths and truths about pediatric 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s

  • Yeom, Jung Sook;Bernard, Heather;Koh, Sook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6호
    • /
    • pp.251-259
    • /
    • 2021
  • 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s (PNES) is a neuropsychiatric condition that causes a transient alteration of consciousness and loss of self-control. PNES, which occur in vulnerable individuals who often have experienced trauma and are precipitated by overwhelming circumstances, are a body's expression of a distressed mind, a cry for help. PNES are misunderstood, mistreated, under-recognized, and underdiagnosed. The mind-body dichotomy, an artificial divide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brain disorders into neurology and psychiatry, contributes to undue delay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NES. One of the major barriers in the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NES is the dissonance caused by different illness perceptions between patients and providers. While patients are bewildered by their experiences of disabling attacks beyond their control or comprehension, providers consider PNES trivial because they are not epileptic seizures and are caused by psychological stress. The belief that patients with PNES are feigning or controlling their symptoms leads to negative attitudes of healthcare providers, which in turn lead to a failure to provide the support and respect that patients with PNES so desperately need and deserve.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PNES may help bridge this great divide between brain and behavior and improve our interaction with patients, thereby improving prognosis. Knowledge of dysregulated stress hormones, autonomic nervous system dysfunction, and altered brain connectivity in PNES will better prepare providers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how intangible emotional stressors could cause tangible involuntary movements and altered awareness.

운전자의 심리·생리 반응을 고려한 승용차 쾌적 난방 모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Thermal Comfort Heating Mode Consider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Automobile Drivers)

  • 김민수;금종수;박종일;김동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149-157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of the driver were measured during winter to evaluate thermal comfor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3 different cases which are hot air heating, warm-wire seat heating and hot air & warm-wire seat heater operating simultaneously.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reaction, the warm-wire heating mode was the most preferred. The reason is that it is dry in other cases. With regard to EEG response, thermal comfort increased by 37% in warm air mode heating. In addition, when the warm-wire heating mode and the hot air & warm-wire heating mode wer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thermal comfort continuously increased by between 17% and 20% for 20 minutes after boarding. Under the chang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thermal stress level increased by 23% after 15 minutes on board in the hot air heating mode and decreased continuously by 13% during the warm-wire seat heating mode. We recommended the hot air heating mode is only used for a short time to raise the inside temperature during the early boarding period and that warm-wire seat heating mode be actively utilized.

아동기 외상의 정신과적 개관 (CHILDHOOD TRAUMA:PSYCHIATRIC OVERVIEW)

  • 한성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3-14
    • /
    • 2002
  • 아동에 가해지는 정신적 외상의 충격은 아동의 심리발달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김으로써 향후 심각한 정신장애를 일으키는 결정적 원인이 된다. 아동기 외상의 현상학적 특징과 외상에 관여하는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살펴보았고,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인격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와 관련한 정신병리를 알아보았다. 외상에 노출된 아동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경험한 공포사건을 시각적으로 재경험하거나 그 기억을 반복하며, 놀이나 행동을 통해서도 외상사건을 반복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일회의 충격적 사건에 노출된 아동은 사건에 대한 지나친 기억과 집착을 보이고 지각왜곡이 심한 반면 장기간 반복되는 외상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신적 무감각과 자기최면, 해리, 분노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소아·청소년에서는 외상 후 퇴행이 보다 현저하고 시간감각의 왜곡이 더 심하게 나타나며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율신경계의 반응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외상적 충격에 노출되면 뇌내에서 즉각적이고 방대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이 있게되는데, 자율신경계, 면역계,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이 활성화된다. 외상시 internal opiate가 활발한 작용을 하면서 아동으로 하여금 외상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고 외상에 대한 감정반응 자체를 봉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동기 외상의 경우 central noradrenergic system에 변화가 초래되어 카테콜아민에 대해 과민감한 비정상적 소견을 보이게 된다. 체내 순환되는 cortisol 수치는 감소하고, glucocorticoid 수용체 농도와 반응성이 증가한다. 외상 후 발견되는 기억력 장애는 해마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동기 외상은 자기(self)와 대상(object)에 대한 내적 표상(internal representation)이 지속적으로 분화 발전하는 발달과정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인격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리, 신체화, 자학성, 자기애 장애의 정신병리로 발전하면서 경계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다중인격장애 등을 초래하게 된다.

  • PDF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Joo, Hye-Myung;Lee, Sung-Jae;Chung, Yong-Gu;Shin, Il-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5호
    • /
    • pp.345-351
    • /
    • 2010
  •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program was applied to patients presenting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surgery from spontaneous subarachnoid hemorrhage (SAH) and the effects were assessed. Methods : The subjects were patients admitted for cerebral aneurysm rupture and treated by means of surgery from March to December, 2007. More than 6 months had passed after surgery, without any special lesions showing up on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e Glasgow outcome scale (GOS) was 5 points. Among pati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11 patients completed the program. The MBS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2.5 hours each, for 8 weeks.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 1)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it measures the type and level of depression, 2)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the anxiety state of normal adults without mental disorder, and 3) Heart Rate Variability (HRV) : the influence of the autonomous nervous system on the sinoarterial node varies continuously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Results : The BDI value was decreased from 18.5 ${\pm}$ 10.9 to 9.5 ${\pm}$ 7.1 (p = 0.013) :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epression level of patients was lowered. The state anxiety was decreased from 51.3 ${\pm}$ 13.9 to 42.3 ${\pm}$ 15.2; the trait anxiety was reduced from 50.9 ${\pm}$ 12.3 to 41.3 ${\pm}$ 12.8, and a borderlin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p = 0.091, p = 0.056). In other words, after the treatment,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decreased tendency in anxiety was shown. In the HRV measurement, standard deviation normal to normal (SDNN), square root of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um of squared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ormal to normal intervals (RMSSD), and total power (T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hysical Stress Index (PSI)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and thus an improvement in the homeostatic control mechanism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ween. Conclusion : The MBSR program was applied to the patients showing anxiety and depression reaction after SAH treatment, and a reduction in depression symptoms and physiological reactions were observed. The application of the MBSR program may be considered as a new too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after surgery.

긍정적 감성경험에 의한 심박변이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2002 한일 월드컵 행사가 한국의 국민 정서와 건강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itive Emotional Effects on Heart Rate Variability - Focused on Effects of '2002 FIFA World Cup' Sports Event on Emotion and General Health of Korean People -)

  • 정기삼;이병채;최환석;김범택;우종민;이쾌희;김민
    • 감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2006
  • 본 논문은 긍정적인 정신적 흥분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기간 중 국민이 경험한 정신적, 신체적 상태의 변화를 자율신경 평가 도구인 심박변이도(HRV)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대상은 월드컵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나누어 심박변이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수도권 2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한 $20{\sim}}30$대 남녀 67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월드컵군은 수도권 소재 월드컵 경기장 3개소에서 경기를 관전하기 위하여 대기중인 20-30대 남녀 4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분석은 남녀의 생리학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군과 여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스트레스 반응과는 다른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 이외에 다른 지표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긍정 스트레스(eustress) 상태에서 심박수와 SDNN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p<0.05). 특히 여성 그룹의 경우, 부정 스트레스(distress) 상태와는 반대로, 모든 주파수분석 파라메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심박변이도의 감소가 건강 상실의 지표가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SDNN의 증가와 모든 주파수 파라메타의 증가는 자율신경의 항상성조절 기전이 긍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로 인한 긍정 스트레스상태의 유발이 국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