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sphygmomanomete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Validation of the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the cuff pressure oscillometric method, for clinical use an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protocols

  • Yoo, Sooyoung;Baek, Hyunyoung;Doh, Kibbeum;Jeong, Jiyeoun;Ahn, Soyeon;Oh, Il-Young;Kim, Kidong
    •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 /
    • 제8권4호
    • /
    • pp.399-4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for clinical use and mobile health (mHealth). In this study, a manual sphygmomanometer and a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were tested in 100 participants in a repetitive and sequential manner to measure blood pressure. The guidelines for measurement used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rotocol, which reflects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ion/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SP 10: 1992 and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protocol. Measurements were generally consistent across observers according to the measured mean ${\pm}SD$, which ranged in $0.1{\pm}2.6mmHg$ fo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0.5{\pm}2.2mmHg$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or the device and the observer, the difference in average blood pressure (mean${\pm}$SD) was $2.3{\pm}4.7mmHg$ for SBP and $2.0{\pm}4.2mmHg$ for DBP. The SBP and DBP measured in this study showed accurate measurements that satisfied all criteria, including an average difference that did not exceed 5 mmHg and a standard deviation that did not exceed 8 mmHg. The mobile wireless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has the potential for clinical use and managing one's own health.

남성 근로자의 비만이 adiponectin과 leptin의 생리적 농도와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esity on the Physiological Levels of Adiponectin, Leptin and Diagnostic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in Male Workers)

  • 허경화;원용림;고경선;김기웅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54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physiological levels of adiponectin, leptin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MS) in male workers, aged 30-40 years. Methods: Body mass index (BMI) was measured with Anthropometric equipment. Blood pressure and serum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an automatic digital sphygmomanometer and autochemical analyzer, respectively. Adiponectin and leptin were analysed by ELISA kits and MS was defined based on the NCEP-ATP III. Results: Body fat mass of waist and hip,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expected, in the BMI>25kg/$m^2$ in comparison with the $BMI{\leq}25kg/m^2$. While fasting glucose, insulin, HOMA-IR and leptin in the BMI>25kg/$m^2$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BMI{\leq}25kg/m^2$, HDL-cholesterol and adiponect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MI{\leq}25kg/m^2$.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mponents of MS, exercise, adiponectin and leptin were an only independent factor for MS in non-obese male workers($BMI{\leq}25kg/m^2$) after adjustment for age, cigarette smoking and drinking habi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besity in men was associated with physiological levels of adiponectin and leptin contributing to feedback control of MS and that dysfunction and/or declination in feedback control system associated with changes in physiological levels of neurptrophics: adiponectin and leptin might ultimately induce MS.

  • PDF

측정 횟수 및 방문 횟수에 따른 혈압 변화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asurements and the Number of Visits)

  • 박지은;이민희;류연희;류연;정희정;홍상훈;이승덕;김남권;최선미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11-118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measurements and visits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We also analyzed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based on the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ment interval. Methods : Data of three clinical trials evaluating the effect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qigong for pre and mild essential hypertension were used. Blood pressure was measured 3 times each visit with 1 or 5 minutes interval, and it was checked until $3^{rd}$ visit. Two trials used sphygmomanometer and another one trial used automatic device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 The mean difference between $1^{st}$ and $2^{nd}$, and $2^{nd}$ and $3^{rd}$ measurement were significant in systolic (p<0.001)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1). However, in automated measurement or measuring with 1 minute interval, the difference between $2^{nd}$ and $3^{rd}$ was not significant. The mean of $1^{st}$ and $2^{nd}$ measurement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an of all three measurements in both systolic (p<0.001)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1).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isit was not significant in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fference was significant between $1^{st}$ and $2^{nd}$ visit in automated and manual measurement. Conclusion : The mean of two measurements and three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thod and interval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일부 60-64세 농촌 거주자에서 혈압과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lood Pressure and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Some Rural Residents Aged 60-64)

  • 이무식;전종찬;이충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2호
    • /
    • pp.208-214
    • /
    • 2000
  • 이 연구는 노인 인구에서의 혈압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고 있는 만60-64세의 노인을 대상으로 1996년 4월 부터 9월까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이용된 대상자는 원래 목표 한 1,329명에서 932명으로 70.1%이었다. 인지기능의 측정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법(MMSEK)을 사용하였으며, 인지기능장애는 점수가 23점 이하인 자로 정의 하였다. 혈압은 누운 상태에서 측 상완부를 휴대용 자동혈압계로 1회 측정하였다. 남자에서 인지기능에 대한 단일변수 지수회귀분석의 결과에서 수축기 혈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차비를 보이는 혈압 범주는 없었다. 확장기 혈압은 80-89 mmHg를 기준으로 79 mmHg 이하, 90-94, 95 mmHg이상 모두 1보다 큰 비차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79mmHg 이하는 1.68(95% 신뢰구간 1.02-2.75)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여자에서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낸 비차비는 없었다. 연령, 교육 수준, 흡연, 음주, 비교체중, 죽상경화증을 시사하는 질환, 고혈압 약 투약력 등의 공변수를 통제한 다변수 지수회귀분석에서 남자의 수축기 혈압은 단일변수 분석과 비교하여 비차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없었다. 확장기 혈압에서 기준 혈압 범주에 비교해서 79mmHg 이하는 비차비가 2.01(95% 신뢰구간 1.15-3.52)로 증가하였다. 여자에서 수축기 혈압은 단일변수 분석과 비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없었으나, 반면에 확장기 혈압에서 기준 혈압 범주에 비교하여 79 mmHg 이하는 비차비가 0.72에서 0.57 (95%신뢰 구간 0.37-0.8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혈압과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계는 수축기 혈압보다는 확장기 혈압이 연관성을 나타내며 확장기 혈압과 인지기능 장애간의 관련성의 방향이 성별간에 차이를 나타내어 혈압과 인지기능사이에 좀더 복합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일부 60~64세 농촌노인에서 음주양상과 혈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Blood Pressure in Some Rural Elderly Aged 60~64)

  • 이무식;배장호;박기락;이충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1-17
    • /
    • 2001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대구광역시 달성군 보건소와 협동을 수행한 달성군 노인추적 조사(Dalsung Elderly Follow-up Study)의 일부 결과로 달성군내 거주하는 반 60~64세 남자노인 416명(44.1%), 여자노인 528명(55.9%)으로 총 944명을 대상으로 농촌 사회의 노인에서의 음주 양상과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계질환의 선행요인이 되는 음주의 건강 유해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하는 것으로 알콜소비양상과 혈압과의 관련성에서 음주의 양상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한 것이다. 조사는 보건진료소의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 자격취득 공무원이 직접 면담으로 일대일 면담형식으로 1996년 4월부터 9월 사이에 조사되었다. 분석결과를 식사 전 공복에 해장술을 먹는 사람의 분포, 일일 평균 음주량, 월 음주빈도, 1회 음주시 음주량, 선호하는 술의 종류, 음주기간 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연령별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의 평균치를 살펴보면, 성별로 혈압의 차이는 없었다. 각 연령대별로 성별로 혈압을 64세에서, 확장기 혈압은 60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64세에서, 확장기 혈압은 60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같은 성에서 연령군별로 비료를 하였을 때, 남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음주자에서 음주양상에 따른 일평균 음주량 분포를 살펴보면 먼저 아침식사전 음주자 즉, 공복시 해장술 유무와 월 음주빈도, 일회음주량의 분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선호하는 술의 종류, 음주기간 간에 일평균 음주량 분포도 유익한 차이가 있었다. 음주 행태에 따른 수축기 혈압 및 다른 공변수를 통제한 조정된 수축기 혈압을 비교하면 공변수 조정 선에서는 음주유무, 아침식사전 음주유무, 선호하는 음주의 종류,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공변수 조정후에는 음주유무, 아침식사전 음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음주 행태에 따른 공변수 조정전후 확장기 혈압을 살펴보면 조정전에서는 선호하는 음주 종류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p<0.05), 공변수를 조정한 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 수축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유의한 변수로 선택된 것은 연령, 교육수준 및 순환기계질환을 의미하는 과거 병력 등이었으며, 확장기 혈압에서는 교육수준, 체질량지수, 과거병력 등이었다. 모형 2에서 수축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하였을때 과거병력이 유의한 기여변수로 선택되었고, 확장기 혈압에서는 체질량지수와 과거병력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어 음주양상 변수는 선택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일일 음주량과 혈압과의 정의 관련성이 본 연구에서는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지금까지 연구된 음주와 고혈압의 보건 및 임상적 관련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를 보임으로 음주양상이 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를 더욱 모호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이러한 소견은 재검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음주로 인한 혈압의 변화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고, 음주양상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들을 도입한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