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Code Generato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5초

XForms 기반의 UI 코드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XFormsGen:XForms-Based Automatic UI Code Generator)

  • 이은정;김태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6호
    • /
    • pp.849-856
    • /
    • 2005
  • XML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수단으로 활발히 도입되면서 XML 데이터 관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 폼 인터페이스의 자동생성 기술이 웹기반 응용의 구축이나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TD의 XML 구조 정의에 기반하여 XForms 언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이고 반복적인 XML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반복부에 대한 삽입 삭제를 허용하는 반복부 편집 행위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XForms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기술하였다. 또한 생성된 코드는 새로운 웹 폼 표준 언어인 XForms를 목적 언어로 하여 MVC(Mudel, View, Control) 구조를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Orbeon 프리젠테이션 서버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코드생성기 XFormsGen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우주용 메모리의 자동 오류극복을 위한 오류 정정기 제어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Error-Corrector Control Algorithm for Automatic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on Space Memory Modules)

  • 곽성우;양정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5호
    • /
    • pp.1036-1042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hat conducts automatic memory scrubbing operated by dedicated hardwares.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so that it can scrub entire memory in a given scrub period, while minimally affecting the execution of flight softwares. The scrub controller is constructed in a form of state machines, which have two execution modes - normal mode and burst mode. The deadline event generator and period tick generator are designed in a separate way to support the behavior of the scrub controller. The proposed controller is implemented in VHDL code to validate its applicability. A simple version of the controller is also applied to mass memory modules used in STSAT-3.

요구사항 스펙과 소스 코드 간 동기화를 위한 자동 프로젝트 문서 도구 개발 (Construction of Automatic Project Document Generator for synchronizing source code with requirement specifications)

  • 권하은;박보경;김영철;김영수;이상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5-1037
    • /
    • 2015
  • 현재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은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거쳐, 완성된 제품 인도 시 인수 기준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런 요구사항은 개발주기 전체에 걸친 매우 중요한 관리 수단이다. 그러나 국내 다수의 중소기업은 이러한 문서화에 시간 및 비용이 부족하여, 개발 문서의 부재 혹은 코드와 문서가 불일치한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프로젝트 문서 발생기(Automatic Project Document Generator)를 제안한다. 제안한 발생기를 통해 요구사항 스펙과 소스 코드 간 동기화로 요구사항 대로 개발이 진행되는지 확인 가능하다.

CASE 자료 형식으로부터 CDIF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자동 생성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Program Generator for Transforming CASE Data Format into CDIF Format)

  • 배상현;남영광;신규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840-3847
    • /
    • 2000
  • 미국의 전자산업협회(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서는 1991년부터 CASE 도구간의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CDIF (CASE Data Interchange Format) 이라는 표준 형식을 제정해 오고 있다.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CDIF 형식으로 변환만 해주면 다른 CASE 도구에서 이를 자신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CASE 도구 공급자는 CDIF 형식으로 변환 혹은 CDIF 형식을 자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CASE 도구 공급자가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을 지정하여 주면 CDIF 형식을 지원하는 변환기의 소스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생성기를 개발하였다. 이 자동 생성기는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 저장형식에 대한 메타정보, CDIF 메타정보를 입력받아서 CDIF 문장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 생성기는 정보저장소에 관계없이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JDBC 및 Oracle과 Sun O/S 환경하에서 구현하였다.

  • PDF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기반 모바일 웹앱 자동 생성 도구 (User Interface Model Based Automatic Mobile Web Application Generation Tool for Embedded Systems)

  • 최기봉;김세화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3-2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델로부터 모바일 웹앱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를 제시한다. UI 모델은 UI 중심적인 내장형 시스템을 UI 모델링을 통해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인 PELUM(Pattern and Event based Logical UI Modeling)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도구는 모델 편집기와 코드 생성기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 편집기는 웹 상에서 논리적 UI 모델(LUM)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모델(PIM)을 모델링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코드 생성기는 LUM을 기반으로 앱의 화면구성 및 이벤트 동작을 설정하고 PIM을 기반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구성하여 모바일 웹앱을 생성한다. 또한 PIM에서 외부 혹은 open API 주소를 입력 받아 매쉬업 웹앱을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생성된 모바일 웹앱은 사용자가 손쉽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Model-View-Controller(MVC) 아키텍처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상에서 UI를 모델링하여 여러 기기에서 동작 가능한 모바일 웹앱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 기반 자동코드 생성기 개발 (A Development of Model Based Automatic Code Generation)

  • 이정우;최경희;정기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18-9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imulink Model(이하 Model)을 C Code 로 변환시켜주는 자동 코드 생성기, SimAutoCodeGenerator 를 제안하였다. Model 의 테스트케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작업에서 반복적인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테스터와의 다양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이때, Simulink는 이런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실행 시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정지한 후 다시 실행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odel 을 C 코드로 변환하였다. 생성된 C 코드는 Model 과의 일치성을 증명한 후 자동 테스트케이스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에 쓰이게 될 것이다. 먼저 C 코드의 생성 메커니즘을 알아보고 생성된 C 코드와 Model 의 일치성을 증명하였다.

CompGenX: GenVoca와 XML 기반의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스템 (CompGenX: Component Code Generation System based on GenVoca and XML)

  • 최승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7-67
    • /
    • 2003
  •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은. 소프트웨어 자산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구체화하고 미리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조립함으로써, 고품질의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 구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GenVoco 아키텍처와 XML/XSLT 기술을 이용한 컴포넌트 코드 자동 생성 기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스템인 CompGenX(Component Generator using XML)를 제안한다. CompGenX은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에 컴포넌트의 재구성성을 지원함으로써 재사용자가 컴포넌트 재사용 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컴포넌트의 소스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를 위한 컴포넌트 개발 과정은 크게 컴포넌트 패밀리 구축 과정과 컴포넌트 재사용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CompGenX는 컴포넌트 패밀리 구축 과정을 위하여, 도메인 분석을 위한 특성 모델 작성 도구, 도메인 설계를 위한 도메인 아키텍처 정의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코드 자동 생성에 필요한 구성 지식 명세서와 코드 템플릿 작성 도구를 제공한다. 컴포넌트 재사용 과정을 위해서 CompGenX는, 컴포넌트 패밀리 검색 도구, 컴포넌트 커스터마이징 도구 및 컴포넌트 코드 생성기 등을 제공한다. 본 논문의 컴포넌트 코드 자동 생성 기법과 생성 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다.

  • PDF

Desig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Digital Predictive Controller for Variable-Speed Wind Turbine Systems

  • Babes, Badreddine;Rahmani, Lazhar;Chaoui, Abdelmadjid;Hamouda, Noureddine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7권1호
    • /
    • pp.232-241
    • /
    • 2017
  • Advanced control algorithms must be used to make wind power generation truly cost effective and reliable. In this study, we develop a new and simple control scheme that employs model predictive control (MPC), which is used i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s and grid-connected inverters. The proposed control law is based on two points, namely, MPC-based torque-current control loop is used for the generator-side converter to reach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wind turbine, and MPC-based direct power control loop is used for the grid-side converter to satisfy the grid code and help improve system stability. Moreover, a simple prediction scheme is developed for the direct-driv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WECS) to reduce the computation burden for real-time applications. A small-scale WECS laboratory prototype is built and evalu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ntrol methods. Acceptable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MPC methods for WECS.

BIST를 지원하는 경계 주사 회로 자동 생성기 (Automatic Boundary Scan Circuits Generator for BIST)

  • 양선웅;박재흥;장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A호
    • /
    • pp.66-72
    • /
    • 2002
  • 본 논문에서 구현한 GenJTAG은 기판 수준의 테스팅을 위한 정보와 BIST(Built-In Self Test)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verilog-HDL 코드로 기술된 경계 주사 회로를 자동 생성해 주는 설계 자동화 툴이다. 대부분이 상용 툴들은 생성된 회로를 게이트 수준의 회로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BIST 관련 명령어를 회로에 추가하기가 어려운데 반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툴은 사용자가 정의한 정보에 의해 BIST 관련 명령어를 지원할 수 있는 behavioral 코드의 경계 주사 회로를 생성하여 준다. 또한 behavioral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수정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모델기반 설계를 통한 CBTC 차상장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CBTC Car-borne Software with Model-Based Design and Its Applications)

  • 전종화;최선아;최동혁;조찬호;박기수;류명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0-917
    • /
    • 2011
  •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car-borne equipment, a part of the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system, mainly consists of automatic train protection(ATP) functions, automatic train operation(ATO) functions as well as the interface functions with other equipment including CBTC wayside equipment and 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 etc. The CBTC car-borne software implementing ATP/ATO functions is a real-time embedded software requiring a high level of safety and reliability.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CBTC car-borne software, the model-based design techniques are applied with SCADE(Safety-Critical Application Development Environment) to the development of the CBTC car-borne software. In this paper, we illustrate the process modeling the car-borne ATP/ATO functions satisfying system requirement specification with system requirement management, modeling and document generation tools etc. supported by SCADE. In addition, the developed models corresponding to the ATP/ATO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train with CBTC car-borne equipment through its corresponding EN-50128 standards-compliant C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It is shown from the test result that the ATP/ATO models developed by SCADE work well while the trains are running in driverless operation mo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