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chthonous Resourc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Prestice Black-Pied Pig Breed

  • Matousek, Vaclav;Kernerova, Nadezda;Hysplerova, Klara;Jirotkova, Dana;Brzakova, Michael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181-118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fattening performance, carcass value and meat quality in pigs of Prestice Black-Pied breed in relation to slaughter weight (SW) and gender (barrows and gilts, resp.). Pigs were divided into weight categories: SW1 (75 to 99.9 kg), SW2 (100 to 109.9 kg) and SW3 (110 to 130 kg) and all individual traits were analyzed by the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SAS 9.3). Average SW of each weight group was as follows: SW1 94.2 kg, SW2 105.8 kg, and SW3 115.2 kg. Differences among average backfat thickness of 36.07 mm in SW1, 40.16 mm in SW2, and 43.21 mm in SW3 were significant (p<0.01). Lean meat content was 48.94% (SW1), 48.78% (SW2), and 48.76% (SW3). Pigs were slaughtered at average weight of 105.7 kg for barrows and 104.4 kg for gilts. Average backfat thickness for barrows was 40.90 mm and 38.72 mm for gilt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Lean meat content was 48.75% in barrows and 48.91% in gilts. The values of pH45, characterizing the meat of very good quality. The loin in SW3 was darker than the muscles of SW1 and SW2. Drip loss was the lowest in SW1 (1.96%), compared to the highest drip loss in SW3 (2.59%). Content of intramuscular fat was 2.68% in SW3, 2.79% in SW2, and SW1 had the lowest content 2.47%. The values of pH45, colour lightness and drip loss were similar in both genders. However barrows had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by 0.31% than gilts (p<0.05).

Isotopic Determination of Terrestrial Food Sources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 Lee, Won-Chan;Park, Jin-Il;Choi, Woo-Jeung;Kim, Young-Seop;Lee, Pil-Yong;Kang,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1호
    • /
    • pp.56-64
    • /
    • 2000
  • The importance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as a food source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was evaluated using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delta}^{13}$C) in its tissues and potential food resources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had distinct ${\delta}^{13}$C values from riverine (-31.8 to -27.2%$_o$) to marine waters (-21.0 to -16.6%$_o$). Estuarine macroalgae had a wide ${\delta}^{13}$C range of -22.8 to -15.0%$_o$. The ${\delta}^{13}$C values of riverine POM were more negative than that of riverine phytoplankton (-26.5 to -24.2%$_o$) but similar to that of freshmarsh plant species (-29.1 to -27.5%$_o$ for Phragmites communis and -28.5 to -27.0%$_o$ for Salix gracilistyla), These ${\delta}^{13}$C values suggest that the POM transported by the Hyungsan River is predominantly of terrestrial origin rather than riverine autochthonous sources. The ${\delta}^{13}$C values of Corbicula japonica tissues (-28.7 to -27.2%$_o$) were most similar to values for riverine POM and freshmarsh 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sotopic composition of the clam individuals. The results indicate a predominant contribution of organic carbon derived from terrestrial and fresmarsh plant detritus to the diet of Corbicula japonica. Our results also confirm previous suggestion that terrestrial organic matter can be incorporated into estuarine food webs although its role is confined to the upper estuarine reaches.

  • PDF

하천 및 호소 수질관리를 위한 용존 자연유기물질 형광특성 분석 (Characterizing Fluorescence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ivers and Lakes)

  • 허진;신재기;박성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40-948
    • /
    • 2006
  • 형광측정법은 자연유기물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석함으로써 타 분석법에 비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질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월등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자연유기물질, 호소수 및 하천수 등 다양한 시료의 형광지표($F_{450}/F_{500}$), synchronous 스펙트럼, 형광 EEM(excitation-emission matrix)을 조사하고 시료 간 상호비교를 통해 자체생성/외부생성 유기물, 단백질계, 펄빅산계, 휴믹산계, 육질성 휴믹산계 형광특성 영역을 구분하였다. 또한 각 영역간의 형광세기 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기물 성분의 상대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각 시료에서 얻어진 형광특성 및 형광세기 비는 시료의 수질 특징에서 예상되는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자연유기물의 생성지가 육지성일수록 외부생성 유기물 및 육질성 휴믹산계 형광특징이 더 크게 나타났고 하수 처리수의 영향을 받거나 조류 및 미생물 활동이 활발한 지점에서는 단백질계 형광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synchronous 형광스펙트럼이나 형광 EEM에서 얻어지는 단백질계/육질성 휴믹산계 형광세기 비는 도심지 하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 영향을 평가하는 지표로, 또한 호수의 경우 조류 및 미생물 활동 정도를 예측하는 지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현장시료를 사용한 자연유기물질 형광분석법 및 그 해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유기물 성분분포 파악이 필요한 수질관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 최광순;김세원;김동섭;허우명;이윤경;황인서;이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16-227
    • /
    • 2008
  •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기수역내 7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조사와 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화호 기수역의 영양염류와 엽록소 $\alpha$(Chl-$\alpha$)및 유기물의 농도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변동이 컸으며, 전반적으로 염분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중류지점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TN, TP, Chl-$\alpha$ 농도는 각각 $1.2{\sim}11.0\;mg\;L^{-1}$, $0.056{\sim}2.992\;mg\;L^{-1}$, $1.3{\sim}942.9\;{\mu}g\;L^{-1}$으로 대부분 지점에서 부영양 또는 과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기수역의 부영양화지수(TSI) $61{\sim}86$의 범위로 과영양호 수준을 보였으며, 중류지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기수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 현상은 매년 4월에 중류지점에서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와 Chl. $\alpha$ 농도 사이의 상관분석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TN (r=0.31)보다 TP (r=0.65)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수역의 표층퇴적물 내 COD 함량은 전 지점에서 중간오염의 수준을 보였지만, TN과 TP 함량은 중하류지점에서 오염이 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포로부터 연안성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실트의 조성비 ($38{\sim}60%$)가 중류지점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이 지점에서 염분성층과 퇴적현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수질 및 표층퇴적물의 오염도는 타 수역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은 자연적인 기수역에 비해 강하게 형성된 염분성층에 의한 물의 정체현상 및 심층산소고갈 현상과 유역으로부터 많은 양의 인 유입과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 주암호 (The Limnological Survey of Major Lakes in Korea (4): Lake Juam)

  • 김범철;허우명;임병진;황길순;최광순;최종수;박주현
    • 생태와환경
    • /
    • 제34권1호통권93호
    • /
    • pp.30-44
    • /
    • 2001
  • 수자원관리에 중요한 육수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3년 6월에서 1994년 5월까지 주암호에 대하여 월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의 투명도, 엽록소 a, 총질소, 총 인농도 및 일차생산력은 조사기간 각각 1.7${\sim}$4.5 m, 0.9${\sim}$12.5 mgChl/m$^{3}$, 0.53${\sim}$1.48 mgN/l, 6${\sim}$29 mgP/m$^{3}$, 304${\sim}$2,549mgCm$^{-2}$day$^{-1}$로 이들의 하계 평균농도로 산정한 주암호의 영양상태는 중영양호로 해당된다. 유역으로부터의 인 유입은 집중호우시에 다량 유입되기 때문에 총인 농도도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다. 주암호의 연간 수면적당 인부하량은 0.94gPm$^{-2}$yr$^{-1}$로 부영양화 임계부하량(1.0gPm$^{-2}$yr$^{-1}$)에 거의 근접하고 있다. 주암호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제한영양소 조사결과 인과 질소가 동시에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별 천이양상은 온대호수의 일반적 경향과 같이 동계에 춘계에는 규조류(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가 우점하였고, 하계에는 남조류(Microcystis aeruginosa, M. sp., M. viridis)가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유생이 연중 우점하였고 8월에는 요각류 유생 이외에 지각류인 Bosminopsis longirostris가 각각 우점하였다. 조사기간 주암호 퇴적물의 조사 정점별 유기탄소 및 인, 질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9.5${\sim}$14.0 mgC/g, 1.0${\sim}$1.82mgP/g, 0.51${\sim}$0.65mgN/g의 분포를 보여주었다. 주암호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 유입량은 1,222 tonC/yr이며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에 의한 자체생성유기물량은 6,718 ton/yr으로 전체 유기물부하량중 자체생성 유기물 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암호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앞으로의 유역관리는 점오염원의 관리와 더불어 비료사용량의 축소, 축산분뇨의 적절한 처리, 토양유실방지등 유역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