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ty Record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1초

서지레코드의 주제전거를 위한 FRSAD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Requirement of Subject Authority Data for Subject Authority Control)

  • 박지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113-135
    • /
    • 2011
  • 2010년 6월에는 IFLA에서 FRBR 시리즈의 세 번째 보고서인 '주제전거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FRSAD)이 발표되었다. 이 개념모형은 최근의 주제전거 동향을 나타낼 뿐 아니라, FRBR 체제에 적합한 주제전거레코드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BR 시리즈의 맥락 안에서 FRSAD 모형을 분석하고, 이 모형을 우리나라의 주제명표와 서지레코드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체와 속성, 관계를 중심으로 FRSAD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FRSAD는 개체의 범주를 미리 규정하지 않은 개방성을 가지고 있으며, 테마와 노멘을 구분함으로써 주제명의 형식 측면 뿐아니라 개념 측면까지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개념모형을 FAST의 패싯과 연계하여 NLSH에 속한 일부 주제명의 개념구조와 주제전거와 관련된 서지레코드의 필드로 표현한 사례를 함께 제시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는 인명과 단체명, 표제를 제외한 추가적인 개체로서의 주제전거 데이터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FRSAD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은 제3집단 개체의 유형을 선정하는 기준과 그 기준을 주제명표에 일관되게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보다 더욱 구체적인 적용 사례와 그 결과를 분석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국가전거와 ISNI 연계 및 활용 방안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connec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Authority and ISNI: Focusing on the case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성숙;박지영;이혜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457-483
    • /
    • 2023
  • ISNI가 확산되면서 개인명이나 단체명을 식별하고 연계하는 전거제어의 프로세스와 활용방식도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국가전거와 ISNI 연계와 활용의 특징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의 연계와 활용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ISNI 창립부터 정착과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 연계 방식 및 서비스에 활용된 ISNI 데이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ISNI를 활용한 국가전거 개선 방안은 첫째, ISNI를 활용한 전거 업무 지원, 둘째, 국가서지작성기관과 출판계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마련, 셋째, 국가차원에서 ISNI와 전거레코드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마지막으로 전거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 서비스 페이지 제공 등이었다.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saurus Construction at University Archives: Case Study of Myongji University Archives Center)

  • 이해영;이미영;이은영;이혁준;이현정;최영실;박미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9-210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통제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중요한 이슈 및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 기록관 기록물 정리과정에서 도출된 용어들은 고유명사가 많아 시소러스는 전거파일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개발되어야 했다. 대학의 공식문서에 자주 나타나는 용어를 우선어로 제시하였다. 또한 포함될 인명의 범위는 주요 보직자 및 주제가 된 개인들로 하되, 작성자 및 기증자들의 필드 통합 검색이 가능하면 지나친 범주의 포함은 불필요했다.

고려초 복식기록에 관한 고찰 - 광종.경종.성종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of Costume of the Early Koryo Period - Focus on the Reign of King Gwangjong.King Gyeongjong.King Seongjong -)

  • 전혜숙;김혜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9-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kinds and features of costume and fabrics of the early Koryo period which are mentioned in the records of costume system, royal presents and diplomatic articles at that time ranging from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to king Gyeongjong and to king Seongjong.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11th year of king Gwangjong's reign, the official costume system was established, which reflected the royal will to independence as an imperial nation. That system also became the basis of the official wage system in king Gyeongjong's reign. In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and king Gyeongjong, the monarch granted official uniforms to persons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directly connecting with new bureaucrats and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Those uniforms were usually worn at a banquet where the monarch and subjects participate together in the early Koryo perio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costume and fabrics were positive means of realizing political Confucianism as they were used for bureaucrats who advanced to official position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Records issued at that time explain that the monarch presented costume and fabrics in an effort to getting along with officials and civilians of different classes as the state and the royal authority stabilized. Found in the records released in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to king Seongjong, the kinds of costume or fabrics at that time include jikseongeuio, gap, yongeui, seupeui, gyegeum baekcheop, geumeunseon gyegeumpoyok and po. The techniques of manufacturing armors in the early Koryo period were probably advanced since the item was a craftwork presented to the court in the reigns of kings Gwangjong and Gyeongjong. Presumedly, baekcheop was a kind of hemp and po. Koryo's native hemp cloth.

  • PDF

공공기관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기록평가제도의 재설계 (Redesigning Archival Appraisal Policies for Improving Accountability of Public Bodies)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5-38
    • /
    • 2018
  •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는 책임성(accountability)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은 주요 업무와 정책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증거로 충분히 남기는 것이다. 이는 곧 '공공업무의 철저한 기록화'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가장 중심이 되는 기록관리업무는 기록평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기록평가정책의 재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ISO 15489-1:2016에서 새롭게 도입된 평가의 개념에 입각하여 책임성과 평가의 관계를 정리하였고, 책임성 관점에서 기록관리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기록평가정책의 재설계 원칙과 평가를 위한 핵심 도구로서 기록관리기준표의 전면 재설계, 기록처분동결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공공기록물의 평가·폐기에 대한 감독제도 연구 미국의 기록관리 감독·보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Public Records Disposition Oversight Program : A Case Study of the NARA's Records Management Oversight and Reporting Program)

  • 설문원;박인선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41-75
    • /
    • 2019
  • 국가기록원이 공공기록물 폐기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통해 폐기중지제도가 도입될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 제도만으로 기록의 체계적인 평가를 도모하거나 부문별한 처분을 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기록이 이미 폐기되었다면 이에 대한 진상을 파악하고 이러한 잘못된 폐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당 기관이 시정조치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 감독 및 보고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무단 처분에 대한 점검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평가처분 통제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허가받지 않은 처분의 예방과 사후 처리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미국의 연방기록 관리 감독 및 보고제도를 법령과 규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둘째, NARA의 무단 처분 감독 현황과 사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점검 조사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제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공공기록관리 조직 및 제도 혁신 방향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Innovation for Strengthening Expertise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 설문원;김형국;이원규
    • 기록학연구
    • /
    • 제56호
    • /
    • pp.5-48
    • /
    • 2018
  • 전문적 기록관리에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기반은 조직과 인력, 그리고 조직과 인력에 부여되는 책임과 권한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기록관리의 혁신에서 역점을 두어야 할 점은 기록관을 필두로 각급 기록물관리기관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도록 역할을 재규정하고, 조직 및 인력 배치를 정상화하며 법규상의 걸림돌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록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헌법기관, 기타 공공기관 등이 조직과 인력 배치 기준을 개선하고 법규 개선을 통해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가기록관리 혁신 TF(2017.9-2017.12) 보고서의 내용을 토대로 하였지만 현안 과제를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재정리하고, 기록전문직의 의견을 반영하여 혁신과제 설정의 근거를 보강하였다.

천주교 대전교구의 기록관리 : 개선안 및 기록물 정리 방안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of the Catholic Daejon Dioces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rchival Arrangement and the Ways of Improvement)

  • 하종희
    • 기록학연구
    • /
    • 제4호
    • /
    • pp.63-91
    • /
    • 2001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xisting condition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seek its improvement and progress on a concrete model of Daejon Diocese as a kind of case study,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to develop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Daejon Diocese which has the catholic jurisdiction covering the areas of Daejon city and Chung Cheong Nam - Do province, celebrated the 40th anniversary of the diocese in 1998. At that, time, the authority of Daejon Diocese claimed to establish its church history institution and to plan the publication of "40 years history of Daejon Diocese". However, its publication could not be achieved until now for several reasons. Since my search for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 immediately recognized that the lack of materials might be a common condition in almost all of the associations, especially with respect to management, preservation and acces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The records in the archival repository of Daejon Diocese have been considerably lost because of the past intemperate destruction and these records have just piled for long time without any reasonable disposal programme. Therefore, in these poor conditions, it is inevitable to delay the publication of "40 years history of Daejon Diocese." This thesis deals with the archival arrangement and the ways of improvement by means of studying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s the essential issues. The archival arrange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enance, the date of creation, and form division. The methods of improvement include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the scope of archives, archival staff, disposal and so on. Records have the legal and social value after being produced and they can remain as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itances under the excellent condition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However, in examining the case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in Daejon Diocese, I understand that it will need considerable time, man power, and financial cost in order to maintain the desirable level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Therefore, it is a important step for Catholic Daejo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ver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서지적 관계유형에 기반한 참조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oss-Reference System based on Bibliographic Relations)

  • 이양숙;김태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83
    • /
    • 1999
  • 본 연구는 서지적으로 관련된 저작을 연결하고, 특정 저자의 상이한 이름이나 특정 저작의 상이한 서명을 직접 접근점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거표목을 배제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접근점과 그 이형(異形)에 대한 참조와 이들간의 서지적 관계유형을 제공할 수 있는 레코드의 형식을 개발하여 참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통적인 표목 및 상호참조의 기능을 본 시스템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 PDF

조선왕조 의장기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Ceremonial Flags in the Yi Dynasty)

  • 백영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40
    • /
    • 1981
  •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erform a ceremony with the utmost honor in every society and the fact is that ancient Koreans executed sacrificial rites to natural scenery with primitive reilgious things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Minute records on the various ceremonies to the Koryeo Dynasty are found in Koryeodogyeong and it might be said that there were no standing rules and the many ceremonies were resorted to an expedient, because in the Yi Dynasty the first codified ceremonial lawbook, Kukjooryeeui was formalized and after then all the ceremonies and formalities were carried out by the referential rules of the above-mentioned Kukjooryeeui. After the imperial enthronement of Kojong, all the ceremonial goods and flags symbolizing the heaven and auspicious animals-authority and fortune-were made by Daemyeongjibyei, which are found at Changdeokgung now. There are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Yi Dynasty between the records at the beginning and the remaines at the last stage, which shows once-fixed standing rules were kept faithfully to the end. The main patterns used on flags were of imaginary animals such as dragon, indicating the wish that countless authority and fortune should be realized. This is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on the ceremonial flags in the Yi Dynasty and I hope the detailed idea and symbolic meaning concerning the flags will be discussed l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