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rora-A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2초

STUDY ON THE PARTICLE INJECTIONS DURING HILDCAA INTERVALS

  • Kim, Hee-Je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119-124
    • /
    • 2007
  • The relation between substorm occurrences and HILDCAA events has been an issue. We have studied the association of particle injections with substorm onsets during HILDCAA intervals for the first half of year 2003. The examination of aurora images observed by IMAGE spacecraft and electron flux data measured by LANL satellites exhibits a close association of repetitive particle injections with substorm activity. We also find that HILDCAA events can occur equally frequently during slow speed solar wind streams as long as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exhibits Alfvenic wave feature.

PHYTOCHROME-SPECIFIC TYPE 5 PHOSPHATASE CONTROLS LIGHT SIGNAL FLUX BY ENHANCING PHYTOCHROME STABILITY AND AFFINITY FOR A SIGNAL TRANSDUCER.

  • Ryu, Jong-Sang;Kim, Jeong-Il;Kunkel, Tim;Kim, Byung-Chul;Cho, Dae-Shik;Hong, Sung-Hyun;Kim, Seong-Hee;Fernndez, Aurora Pias;Kim, Yu-Mi;Alonso, Jose M.;Ecker, Joseph R.;Nagy, Ferenc;Lim, Pyung-Ok;Song, Pill-Soon;Schfer, Eberhard;Nam, Hong-Gil
    • 한국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과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초록
    • /
    • pp.21-23
    • /
    • 2005
  • PDF

최대우도를 부가한 주파수 변이 PMC 방법의 잡음 음성 인식 성능개선 (Recognition Performance Improvement for Noisy-speech by Parallel Model Compensation Adaptation Using Frequency-variant added with ML)

  • 최숙남;정현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05-913
    • /
    • 2013
  • 잡음에 강건한 음성 인식을 위한 주파수 변이를 이용한 PMC( Parallel Model Compensation Using Frequency-variant, FV-PMC) 방법은 인식시 입력음성에 혼입이 예상되는 잡음들을 평균 주파수 변이도를 임계치로 하여 몇 가지 잡음 군으로 분류한 후 각 잡음 군 별로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준 임계치를 이용하여 양호하게 분류된 잡음 음성들에 대해서는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이나, 미 분류된 잡음 음성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PMC 방법에서와 같이 무잡음 모델과 결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 인해 평균 음성 인식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하였던 평균주파수 임계치 방법 대신에 최대 우도를 부가하여 미분류를 방지함으로써 입력 잡음음성에 포함되는 잡음의 군별 잡음 분류 율을 높여 인식률을 제고하는 개선된 주파수 변이 PMC 인식방법을 제안하였다. Aurora 2.0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식실험결과, 기존의 FV-PMC 방법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CMM 기반 특징 보상 기법에서 변별력 향상을 위한 Minimum Classification Error 훈련의 적용 (Minimum Classification Error Training to Improve Discriminability of PCMM-Based Feature Compensation)

  • 김우일;고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8-6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강인한 음성 인식을 위하여 특징 보상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성 모델 기반의 특징 보상 기법에서 이용되는 오염 음성 모델 추정 방식은 입력 음성에 대한 변별력 있는 사후 확률 예측을 보장하지 못하며, 부정확하게 계산된 사후 확률은 복구된 음성에서 명료도 하락의 문제를 일으킨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오염 음성 모델 추정 과정에 분별적 훈련 방식의 하나인 최소 분류 오류 (MCE) 훈련 기법을 도입한다. MCE 훈련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변별력 하락의 가능성을 가지는 '경쟁 요소' 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병렬결합된 혼합 모델 (PCMM) 기반의 특징 보상에 MCE 훈련 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을 제안하고 변별력 향상의 영향을 관찰한다. Aurora 2.0 데이터베이스와 실제 자동차 주행 환경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성능 평가를 실시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기법이 음성 인식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입증한다.

시변 잡음에 대처하기 위한 다중 모델을 이용한 PCMM 기반 특징 보상 기법 (PCMM-Based Feature Compensation Method Using Multiple Model to Cope with Time-Varying Noise)

  • 김우일;고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강인한 음성 인식을 위하여 음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효과적인 특징 보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특징 보상 기법은 병렬 결합된 혼합 모델 (PCMM)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의 PCMM 기반의 기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잡음 환경을 반영하기 위하여 매 음성 입력마다 복잡한 과정의 혼합 모델 결합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다중의 혼합 모델을 보간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변하는 배경 잡음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신뢰성 있는 혼합 모델 생성을 위하여 데이터 유도 기반의 방법을 도입하고,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프레임에 동기화된 환경 사후 확률 예측 과정을 제안한다. 다중 모델로 인한 연산량 증가를 막기 위하여 혼합 모델을 공유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가우시안 혼합 모델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선택하여 공유에 필요한 공통 모델을 생성한다. Aurora 2.0 데이터베이스와 실제 자동차 주행 환경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성능 평가를 실시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기법이 모의 환경과 실제 잡음 환경에서 강인한 음성 인식 성능을 가져오고 연산량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한다.

Prospects for e-Science In Korea : The role and impacts ol Korea-UK collaboration

  • Kim, Cha-Young;Suh, Jee-Hyun;Tomlinson, Mark
    • 정보처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28
    • /
    • 2008
  • The Korea UK e-Science Collaboration project has been aimed at supporting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and UK researchers. Its goal is to benefit the nation by reducing cost and time in constructing the National e-Science Research Environment' by studying and benchmarking the cases in countries that have already procured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area. Two joint workshops were held in a year where researchers from the two countries had the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research results with each other. Also, the project has supported exchanges of researchers fostering expertise in the field. In the course of the project, the e-Science Centre in the UK and KISTI have signed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in 2006. Moreover,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the UK.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will share the BioSimGrid data with the Korean counterpart, and the University of York has provided the AURA software. In the future, KISTI and the UK NGS(National Grid Service) will organize a working group at OGF that will work mainly on the standardization of Parameter Sweep and bring it to lead the global standard. KISTI will include its own AURORA system into OMI-UK software stack, which will enable access to NGS resources through AURORA user application. The collaboration with the UK has opened up mor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with other countries as well. KISTI and HLRS in Germany have agreed to share the COVISE and will have research exchanges. As such,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play a major role in e-Science research by building strategic and systematic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its International partners.

  • PDF

SNR 매핑을 이용한 환경적응 기반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based on Environment Adaptation using SNR Mapping)

  • 정용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43-548
    • /
    • 2014
  • 다 모델 기반의 음성인식기는 음성인식에서 매우 성공적임이 알려져 있다. 그것은 다양한 신호-대-잡음비(SNR)와 잡음종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HMM을 사용함으로서 선택된 음향모델이 인식잡음음성에 매우 근접한 일치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사용시에 HMM의 개수가 제한됨에 따라서 음향모델의 불일치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잡음음성과 HMM 간의 SNR 불일치를 줄이고자 이들 간의 최적의 SNR 매핑 (mapping)을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인식잡음음성으로 부터 추정된 SNR 값을 사용하는 대신 제안된 SNR 매핑을 사용함으로서 향상된 인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 모델 기반인식기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Aurora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인식 실험한 결과 기존의 MTR 이나 다 모델 기반 음성인식기에 비해서 6.3%와 9.4%의 상대적 단어 오인식율 감소를 이룰 수 있었다.

ARMA 필터를 이용한 로그 에너지 특징의 정규화 방법 (A Log-Energy Feature Normalization Method Using ARMA Filter)

  • 신광호;정호열;정현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325-1337
    • /
    • 2008
  • 훈련과 인식의 환경적 차이가 음성 인식 성능 저하의 주요 요인이며, 이러한 환경적 불일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잡음 처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 가운데 로그 에너지 특징에 대한 ERN(log-Energy dynamic Range Normalization), SEN(Silence Energy Normalization) 등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상대적으로 큰 갈을 갖는 로그 에너지 특징에 대해서는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이으며, 특히 SNR값이 작은 환경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환경적 불일치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자동 회귀 방식으로 이동 평균을 계산하여 로그 에너지 특징을 스무딩(smoothing)하는 ARMA(Auto-Regression and Moving Average) 필터를 후처리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urora 2.0 DB를 이용한 인식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향상된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극점 필터링 및 스케일 정규화를 이용한 켑스트럼 특징 정규화 방식 (Cepstral Feature Normalization Methods Using Pole Filtering and Scale Normaliza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 최보경;반성민;김형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6-3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Cepstral Mean Normalization(CMN)과 Cepstral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CMVN) 프레임워크에서 극점 필터링(pole filtering) 개념을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MFCC) 특징 벡터에 적용한다. 또한 분산 정규화를 대신하여 스케일 정규화를 사용하는 Cepstral Mean and Scale Normalization(CMSN)의 성능을 잡음 환경 음성인식 실험을 통해 평가한다. CMN과 CMVN은 보통 발화 단위로 수행되기 때문에 짧은 발화의 경우 특징에 대한 평균과 분산의 추정 신뢰도가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는데, 극점 필터링과 스케일 정규화 방식을 적용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Aurora 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험 결과, 극점 필터링과 스케일 정규화를 결합한 특징 정규화 방식의 성능이 가장 높은 성능 향상을 보인다.

켑스트럼 정규화와 켑스트럼 거리기반 묵음특징정규화 방법을 이용한 잡음음성 인식 (Cepstral Normalization Combined with CSFN for Noisy Speech Recognition)

  • 최숙남;신광호;정현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221-1228
    • /
    • 2011
  • 일반적인 음성인식 시스템은 보통 실내 환경에서는 잘 동작하지만 잡음이 존재하는 실제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잡음의 영향으로 그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환경에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하여 훈련 환경과 실제 환경의 불일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켑스트럼 거리기반 묵음특징 정규화(CSFN: Cepstral distance based SFN) 방법에 켑스트럼 정규화 방법(CMVN:cepstral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을 결합한 CSFN-CMVN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켑스트럼 특징의 분포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켑스트럼 유클리디언 거리를 결합하여 음성/묵음 분류에 사용하여 묵음특징을 정규화하는 CSFN 방법에 켑스트럼 정규화 방법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Aurora 2.0 DB를 이용한 실험결과, 제안한 CSFN-CMVN은 기존의 대표적인 묵음특징 정규화 방법인 SFN-I 과 비교했을 때 모든 테스트 세트에 대한 평균 단어인식 정확도에서 약 7%의 인식률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SFN-II, CSFN에 비해서도 약 6%, 5% 향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