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diogram Tes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VR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검사 개발 및 사용자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xamination with VR Content and User Satisfaction)

  • 안호원;김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18-326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 및 저출산에 따라 보건의료분야의 만성질환의 증가 및 전문 인력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헬스케어를 제공하고자 VR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검사의 효과성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HTC VIVE Pro VR과 스틱 컨트롤러를 착용하여 원스톱 VR 콘텐츠 신체검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은 1단계부터 5단계까지이며, 색각테스트, 기억력테스트, 청력테스트, 반응속도테스트, 순간인지능력테스트의 5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 신체 나이를 판별하는 솔루션으로 구성된다.또한 본 연구가 개발한 원스톱 VR 콘텐츠 신체검사 시스템에 대해 대전 소재 A 상급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 및 VR/AR 임상시험 센터에 내원한 정상인을 대상으로 사용자 만족도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와 재이용의사가 높게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 5단계 순간인지테스트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서 4단계 반응속도테스트, 5단계 순간인지테스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피볼락의 청각문턱치 (Auditory Thresholds of Black Rock Fish)

  • 박용석;이창헌;문종욱;안장영;서두옥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88-97
    • /
    • 1999
  • 해양목장에서의 음향순치의 기초 자료로 얻기 위하여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을 대상어종으로 80~800 Hz의 수중음과 DC 8V의 전기자극으로 조건학습시켜 조피볼락의 심박간격의 변화로부터 조피볼락이 지각할 수 있는 최소음압올 판단해서 주파수별로 청각문턱치를 구하였다. 그 결과 조피볼락은 측정한 80~800 Hz의 각 주파수에서 대해서 반용올 보여, 2차곡선 모양의 청각문턱치곡선 형상올 보이고 있었으며, 조피볼락의 평균 청각문턱치는 측정 주파수중 100 Hz에서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청각문턱치는 주파수가 300 Hz에서 500 Hz로 변화할 때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조건학습 과정에서도 80~200 Hz의 순음에 대해서는 순음과 전기자극에 대한 조건학습으로부터 순음을 지각하면 방음과 동시에 심박간격이 현저하게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난 반면에 300 Hz 이상의 순음에서는 여러 번의 방성과 전기자극에 의한 조건학습이 쉽게 이뤄지지 않아, 조피볼락의 청각은 200 Hz 이하의 저주파수의 순음에 민감한 반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실험어가 수중음을 지각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azardous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earing Impairment in Adults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 Retrospective Study

  • Park, Jin-A;Suh, Michelle J.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2호
    • /
    • pp.63-6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impairment and alcohol drinking patterns in South Korean adults. Subjects and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2.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from February 20 to March 3, 2018. Data from 3,860 adults 20 years of age or older without a history of malignancy or chronic otitis media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2 database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questionnaires, and who had available results from otologic examinations that included pure tone audiogram, were included. Pure-tone average hearing thresholds were calculated at 500, 1,000, 2,000, and 4,000 Hz. Hearing loss was defined as a pure-tone average >40 dB in one or both ears.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was used to evaluate drinking statuses of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mplex-sample χ2-test of independence and a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29,954,319 individuals in the weighted cross-sectional study population, 15,106,040 (50.4%) were men and 14,848,098 (49.6%) were women. A total of 8.1% of men and 7% of women had hearing impairment. The degrees of drinking with appropriate, risky, and hazardous drinking habits were 58.2, 32.1, and 9.7% among men; and 76.4, 12.5, and 11.1% among women, respectively. Among men, the odds ratio of hearing loss increased by 2.506 times when comparing hazardous and appropriate drinking (confidence interval, 1.083 to 5.800, p=0.002).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2 drinks per day) was not protective for hearing in either group. Conclusions: As hazardous drinking tends to coexist with hearing impairment in men, appropriat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emphasized. A longitudinal study to investigate harmful drinking and the mechanism of hearing loss should be performed.

Hazardous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earing Impairment in Adults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 Retrospective Study

  • Park, Jin-A;Suh, Michelle J.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3-6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impairment and alcohol drinking patterns in South Korean adults. Subjects and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2.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from February 20 to March 3, 2018. Data from 3,860 adults 20 years of age or older without a history of malignancy or chronic otitis media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2 database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questionnaires, and who had available results from otologic examinations that included pure tone audiogram, were included. Pure-tone average hearing thresholds were calculated at 500, 1,000, 2,000, and 4,000 Hz. Hearing loss was defined as a pure-tone average >40 dB in one or both ears.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was used to evaluate drinking statuses of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mplex-sample χ2-test of independence and a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29,954,319 individuals in the weighted cross-sectional study population, 15,106,040 (50.4%) were men and 14,848,098 (49.6%) were women. A total of 8.1% of men and 7% of women had hearing impairment. The degrees of drinking with appropriate, risky, and hazardous drinking habits were 58.2, 32.1, and 9.7% among men; and 76.4, 12.5, and 11.1% among women, respectively. Among men, the odds ratio of hearing loss increased by 2.506 times when comparing hazardous and appropriate drinking (confidence interval, 1.083 to 5.800, p=0.002).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2 drinks per day) was not protective for hearing in either group. Conclusions: As hazardous drinking tends to coexist with hearing impairment in men, appropriat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emphasized. A longitudinal study to investigate harmful drinking and the mechanism of hearing loss should be performed.

PC 기반의 Békésy 청력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Békésy Audiometry System based on PC)

  • 강덕훈;송복득;신범주;김진동;왕수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7-84
    • /
    • 2011
  • B$\'{e}$k$\'{e}$sy 청력검사는 피검자의 청력 역치를 결정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누가현상을 추정 할 수 있고 난청의 병변위치를 규명하는데도 도움을 주는 청력검사 방법이다. 본 논문은 가격 경쟁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PC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ANSI 표준을 준수하는 B$\'{e}$k$\'{e}$sy 청력검사 시스템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동적으로 검사 신호를 생성하며, 실시간으로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표준에서 요구하는 최대 청력 레벨을 지원하기 위해 증폭기를 구현한다. 그리고 구현된 시스템이 ANSI 표준을 준수하는지 검증한다.

Comparison of the Marginal Utility and Disease Burden of Hearing Loss and Other Chronic Diseases

  • Kwon, Oh Deog;Jung, Se Young;Park, Hwa Yeon;Peak, Sue Kyoung;Cho, Su Hwan;Cho, Sang Jin
    • 가정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64-369
    • /
    • 2018
  • Background: Compared with other chronic diseases, hearing loss is generally overlooked from the perspective of disease burden. However, hearing los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current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ease burdens and marginal utilitie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and other chronic diseas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ross-sectional data of 32,986 participants aged 19 years and older who completed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between 2009 and 2013. Additionally, this study used the pure tone audiometric test, European Quality of Life-Five Dimensions Questionnaire, and chronic disease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Results: The data of 23,297 people who underwent a pure tone audiogram and completed the European Quality of Life-Five Dimensions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is analysis. The marginal utility of hearing loss ranked fifth among nine chronic diseases. The estimated loss of quality-adjusted life year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was -93.69 years per 100,000 people, which is similar to other chronic diseases. Conclusion: This study assessed the marginal utilities and public burdens of hearing loss and eight chronic diseases in a South Korean population. Although the values may vary depending on country and race, this study may provide an indispensable foundation for more detailed studies on hearing loss.

일개 종합병원을 방문한 어선원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of Fishermen Visiting a General Hospital)

  • 정유선;김창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1호
    • /
    • pp.41-49
    • /
    • 2023
  •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 중에서 소음성 난청을 가진 어선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소음성 난청을 가진 총 10명의 19개 귀의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두 60세 이상의 남자였고 소음에 노출된 기간은 평균적으로 38.9 ± 10.8년으로 장기간 소음에 노출되었으나 난청기간은 평균적으로 13.4 ± 4.3년으로 소음노출에 비해서 늦게 난청을 인지하였다. 고음역 평균역치가 저음역 평균역치보다 높지만, 8 kHz에서 하강하는 청력도를 보였고 고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75 dB 초과인 경우는 10.5%이나 저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40 dB 초과인 경우가 57.9%를 차지하였다. 순음청력검사상 평균 청력역치는 52.2 ± 7.1 dB, 어음청취역치는 34.0 ± 11.1 dB, 어음명료도검사는 81.5 ± 11.4%, 청성뇌간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56.8 ± 6.7 dB, 청성지속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63.7 ± 7.6 dB였다. 향후 다기관 연구에서는 어선의 소음의 크기 및 근로시간 등 근로환경에 대한 조사를 같이 시행하여 소음노출을 확인 후 어선원 소음성 난청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한국인의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성별 연령별 순음청력에 의한 기준청력 (Age- and Gender- Specific Reference Levels for Hearing Thresholds of Normal Aging in Korean)

  • 김성희;신종헌;여창기;한영경;이중기;장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53-357
    • /
    • 2005
  • 이과적인 질환이나, 소음에 의한 청력소실이 없는 경우에도 노화에 의한 청력의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인들의 청력에 대한보고는 있었지만, 한국인의 노화에 의한 청력변화에 관한 보고는 드물고, 남녀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아직도 이견이 있다. 최근 조선대학교에서 개발한 청력검사결과 관리 프로그램 (ARCISM)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노화성 난청에 대한 기준 청력범위를 구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일 년여 동안 대구파티마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방문한 환자 중 문진에 응한 1603명의 청력검사결과를 소음에 노출된 경우나 기타 이과적인 질환을 배제한 후, 노화에 따른 청력의 변화에 대해 20대에서 80대까지의 청력도를 구하였다. 나이에 의한 주파수 대역별 청력역치의 상승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고주파수로 갈수록 그 정도가 심하였다. 특히 4kHz와 8kHz에서 남자에 있어서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청력소실이 더 크게 나타났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운용으로 방대한 청각검사자료를 이용하여 쉽게 노화에 따른 청력 변화에 대해 기준청력범위를 구할 수 있었고, 향후 노화성 난청의 재활이나 한국형 보청기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소음성 난청 선별검사에 HHIE-S(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Screening version)의 적용 (Application of HHIE-S(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Screening version) to screening test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 이미영;서석권;이충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539-553
    • /
    • 1996
  • 이 연구는 1994년도 5월부터 9월까지 동산병원 건강 관리과에서 소음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1차 선별 순음청력검사에 난청선별 설문지(HHIE-S)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이 기간중의 특수검진 수진자들로서 총 6,700명 중 계통적 표본추출법에 의하여 매 5번째의 근로자가 추출되었다. 최종분석 대상은 자료가 미비한 14명을 제외한 1,019명으로 남자 488명, 여자 531명이었다. 소음성 난청의 1차 선별검사로 순음청력검사와 HHIE-S를 포함한 설문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청력검사의 1차 선별기준은 양쪽 어느 귀의 청력손실이 4000Hz 에서 40dB이상인 자로 하였고 2차 정밀검사에서 난청의 기준은 3분법으로 계산하여 30dB 이상이면서 4000Hz에서 50dB 이상의 청력손실이 있는 자로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0.84였다. 청력장애와 관련된 변수들의 단일변량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남자에서 HHIE-S 총척도와 사회적/상황적 소척도에서 근무기간, 군복무력,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였으며 여자에서 총척도와 소척도 모두에서 연령, 근무기간,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였다. 다단계 다중회귀분적에서 남자에서 1000Hz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가 선택되었으며 여자에서는 총척도와 사회적/상황적 소척도에서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 역치, 근무기간, 연령이 선택되었다. 2차 순음청력검사를 황금기준으로 하여 1차 선별청력검사와 HHIE-S점수를 기준으로 한 ROC곡선을 그린 결과, 최적의 타당도는 병행검사에서 HHIE-S점수 8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였으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5%와 67%이었으며 위음성이 15%로 최소였다. 이러한 결과는 HHIE-S가 우리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가 비교적 적절하며 소음성 난청 1차 선별검사에 순음청력검사와 함께 병행해서 사용하면 민감도를 높이고 위음성을 떨어뜨림으로써 순음청력검사의 병행검사로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