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of Word-of-Mouth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9초

펨버타이징 광고 태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 연구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 엄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6-74
    • /
    • 2021
  • 국내 및 해외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평등 및 권리 신장을 주제로 한 펨버타이징이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펨버타이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펨버타이징 광고 태도의 선행요인들 및 결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요인들로 본 연구는 지각된 적합성과 지각된 진실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결과로써는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및 온라인 구전 의도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는 278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참여학생들은 별도의 추가 점수를 받았다. 연구결과, 지각된 적합성 및 지각된 진실성은 모두 펨버타이징 광고 태도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소비자들이 펨퍼타이징 메시지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적합하다고 지각하고, 그 광고 메시지가 진실하다고 지각하면 긍정적인 광고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펨버타이징 광고 태도는 종속변수인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는 토의 부분에서 설명하고 있다.

항공사의 브랜드 증거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irline Brand Evidence on Brand Value, Brand Trust, Brand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 이진영;김기웅;김근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71-80
    • /
    • 2019
  • 본 연구는 항공시장의 소비자인 승객들이 인지하는 항공사의 다양한 브랜드 증거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으며, 222명의 항공여행 및 항공사 이용을 경험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항공사의 브랜드 증거의 하위요인이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종사자 서비스를 제외한 지각된 가격, 핵심 서비스, 브랜드명, 브랜드 로고는 브랜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태도, 브랜드 태도는 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증거의 하위요인으로 브랜드 로고를 추가하여 확장된 범위를 살펴보았지만 향후 브랜드 감정 등의 변수를 포함하여 확장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온라인 구전 여행정보의 신뢰와 구전효과 연구 (Credibility of e-WOM in Travel Industry, and Its Influence in WOM Effect)

  • 천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24-432
    • /
    • 2011
  • 오늘날 인터넷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게시판 등을 통해 다양한 구전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여행에 있어 관광객의 정보교류 및 획득이 수월해짐에 따라 온라인 구전(e-WOM: Eloctronic Word-of-Mouth)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 하나로 부상하였다. 이는 여행사 입장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재학중인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구전에 대한 신뢰, 브랜드 태도, 구전수용, 구전활동, 여행상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구전의 신뢰는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태도는 구전수용, 구전활동 및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전수용은 구전활동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여행상품 구매의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사는 자사의 홈페이지나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한 온라인 구전의 관리에 있어서,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긍정적 브랜드 태도의 형성을 통해 고객이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널리 전파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QRIS as a Drivers of Product Distribution Flows in Indonesia: Factor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e Use of Fintech Payments

  • Ariani BAKHITAH;Ricardo INDRA;Wandy HALIM;Vicky FERBIAN;Zinggara HIDAYAT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2호
    • /
    • pp.59-69
    • /
    • 2023
  • Purpose: Consumers can experience better service for distribution of products with payment technology such as QRIS (Quick Response Code Indonesian Standard) compared to conventional purchase methods.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experience of QRIS service users in Indonesia.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Perceived Security were independent facto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is the dependent variable. Furthermore, Word of Mouth Attitude is an intervening variab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volving active QRIS users in a survey-based quantitative study in Indonesia. A survey sample of 400 people was taken from data records of 30.87 million QRIS users in Indonesia. Data were analyzed using SEM-PLS.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ignificantly impact Attitudes Word of Mouth,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is research also found that Behavioral Intention to Use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Perceived Security. Conclusion: QRIS, as a revolutionary innovation, offers faster payments than previous methods, with a payment time of no more than one minute. QRIS is seen as valuable, simple, and safe,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and continuing to use QRI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very significant in accelerating the flow of distribu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facilitating transactions.

Linking Service Perception to Intention to Return and Word-of-Mouth about a Restaurant Chain: Empirical Evidence

  • GARA, Edwen Huang;GARA, Edwin Huang;RAHMAN, Fathony;WIBOWO, Alexander Joseph Ibnu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73-8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restaurant service percep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ts implications on customers' attitude towards, intention to return to, and word-of-mouth (WOM) regarding a restaurant chai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from 421 respondents were col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analyzing the data normality and removing responses with missing data and outliers, 342 responses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We found that service perception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ed the customers' attitude toward the restaurant chain, which affected customers' intention to return and WOM about the restaurant chain. Conclusions: This paper provides one of the most important empirical results for managers in the restaurant sector, especially in Indonesia. Restaurant managers should thus provide training to their employe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action with the customers and thereby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lis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clusion of respondents' income. For future research, we suggest investigating models of customer participation or consumer value co-creation for restaurant marketing success. Consumers are generic actors in the service ecosystem engaged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외식업소에 대한 구전 메시지 발신자 신뢰도와 구전효과의 상관성 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ord-of Mouth Message Sender Credibility and WOM Effect)

  • 차성미;신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6-540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d-of-Mouth(WOM) message sender credibility and WOM effect and 2)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WOM message sender creadibility and WOM effect in off-line and on-line WOM communication. The messages were created as a form of scenario for this study.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message sender credibility and predict WOM behaviors after reading given scenario.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customers and a total of 1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87.5%).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12.0) for descriptive analysis,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positive off-line WOM message sender was considered as more credible(p<.001) than on-line WOM message sender. 'Message sender credibility' is correlated with 'attitude formation' in both channels, but 'reliable' factor of 'credibility' variable i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 change'.

온라인 구전의 정보방향과 평가내용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휴대폰 구매 관련 온라인 구전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s of Internet WOM(word Of Mouth) Information Valence and Contents to WOM Effects - Focus on Cell Phon Purchasing for Student via Online WOM -)

  • 김창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4호
    • /
    • pp.23-41
    • /
    • 2006
  • The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on line word of mouth(WOM) information valence and information contents to the information searcher. Specially,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it's two variables. For that purpose, we categorize WOM information valence into two subcategories; positive and negative, and WOM content into two subcategories; objective evalu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We conducted experimentation design 2*2 and subjects are asked to thei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fter they are exposed each of four different types of WOM informati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negative WOM has stronger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positive. Second, factual WOM has stronger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subject. Finally, when consumer face negative WOM, subjective WOM has mor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factual. On the contrary, when consumer face positive WOM, factual WOM has mor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subject. In conclusion, the korean Foreign Trade Act and other relative acts should be revised, and both educational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should be contained within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trade" for the governmental benefits of supporting the services exportation.

  • PDF

서포터즈의 온라인 리뷰 유형에 따른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인상형성과 구전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shion Brand Online Impression Formation and its WOM Effect According to Online Review Types of Supporters)

  • 채희주;박수현;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6
    • /
    • 2016
  • Many brands are attempting to use consumers as a part of their marketing strategies, due to the fashion industry's sensitive response to consumers' reaction. In addition, due to the popularity of e-WOM(electronic Word-Of-Mouth), fashion brands are highly sensitive to their supporters' online reviews. Amid this background,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effect of online reviews' attributes and valences on forming an impression about a fashion brand; 2) to examine the online re-WOM(word-of-mouth) effect of online reviews by fashion brand supporters on brand attitude; and 3)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in online re-WOM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a 2 (utilitarian vs. hedonic review attributes) by 2 (positive vs. negative review valences) model is constructed and gathers 215 responden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nsumers form the highest reliable impression based on utilitarian and negative online reviews.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online reviews and the formation of a favorable impression. Findings also reveal that the impression formed by online reviews has a positive effect on re-WOM intention, contributing to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hypothesis about the moderating effect produced by fashion involvement on re-WOM is support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reviews by fashion brand supporters have a powerful effect on forming a consumer's impression towards a fashion brand, affecting re-WOM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광고의 상호작용성이 한·중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vertising's Interactivity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마사범;조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1-99
    • /
    • 2016
  •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높은 광고와 낮은 광고의 비교를 통해 상호작용성이 한 중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인지도,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험물은 상호작용성이 높은 광고와 상호작용성이 낮은 광고 각각 1개를 선정하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은 한국인과 중국인이 각 120명, 총240명의 유효 표본을 회수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가 동일하게 상호작용성이 높은 광고에 대해 광고태도, 브랜드 인지도,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작용성이 낮은 광고에 대해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소비자들 보다 구매의도가 더 높았고, 상호작용성이 높은 광고에 대해 한 중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다 높게 나타났지만, 양국 간 비교에서는 중국 소비들이 한국 소비자들보다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University Image, Student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 정현화;정기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3-109
    • /
    • 2017
  • 본 논문은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274부의 설문지가 가설검정에 사용되었으며, 2차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검정한 결과 상대적 영향정도는 교수방법, 강의내용, 교수태도,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이미지가 학생만족과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이미지는 학생만족에 상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만족은 긍정적으로 형성된 대학브랜드 이미지를 보유한 대학은 고객만족을 창출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만족이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서비스품질 하위차원의 요인적재 값에서 교수방법(0.972)과 강의내용(0.934)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대해 이들의 영향이 다른 요인들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기관은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등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방법과 강의내용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