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onic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화개산(華蓋散)이 GUINEA PIG의 기관지(氣管支) 평활근(平滑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WA GAE SAN EXTRACT ON THE CONTRACTION OF ISOLATED GUINEA PIG TRACHEA SMOOTH MUSCLE)

  • 김성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5-177
    • /
    • 1990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HWA GAE SAN known clinically for their effects of treatment for cough and asthma,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WA GAE SAN extract on the contractile force of isolated guinea pig trachea smooth muscle and elucidate its mechanism.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Preparation of isolated guinea pig trachea smooth muscle was suspended in the oxygeneted Kreb's Henseleit bicarbonate buffer solution at $37^{\circ}C$ and recorded the developed tension by the drug with the isometric transducer (Nacro F-60). The restin tension was approximately 0.5g. 2. The trachea smooth muscle in normal state showed a significant atony to the increase of density of HWA GAE SAN. 3. The atonic effect of the trachea smooth muscle was restricted after prescription of Pyrilamine& Cyproheptadine. Hireceptor broker, which were prearranged. 4. After 5, 15, 50& $150{\mu}l/ml$ of HWA GAE SAN were prescribed, the atony of trachea smooth muscle was caused by Histamine. 5. After 50& $150{\mu}l/ml$ of HWA GAE SAN were prescribed, the atony of trachea smooth muscle was remarkably dwindled which was caused by Acetylcholine. 6. After $150{\mu}l/ml$ of HWA GAE SAN were prescribed, the atony of trachea smooth muscle was remarkably dwindled which was caused by 5-Hydroxytryptamine.

  • PDF

Plasma Assisted ALD 장비 계발과 PAALD법으로 증착 된 TaN 박막의 전기적 특성 (Development of Plasma Assisted ALD equipment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TaN thin film deposited PAALD method)

  • 도관우;김경민;양충모;박성근;나경일;이정희;이종현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39-145
    • /
    • 2005
  • In the study, in order to deposit TaN thin film using diffusion barrier and bottom electrode we made the Plasma Assisted ALD equipment and confirm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TaN thin films deposited PAALD method, PAALD equipment depositing TaN thin film using PEMAT(pentakis(ethylmethlyamlno) tantalum) Precursor and $NH_3$ reaction gas is aware that TaN thin film deposited of high density and amorphous phase with XRD measurement The degree of diffusion and react ion taking place in Cu/TaN(deposited using 150 W PAALD)/$SiO_2$/Si systems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was estimated from MOS capacitor property and the $SiO_2(600\;\AA)$/Si system surface analysis by C-V measurement and secondary ion material spectrometer(SIMS) after Cu/TaN/$SiO_2(400\;\AA)$ system etching. TaN thin film deposited PAALD method diffusion barrier have a good diffusion barrier property up to $500^{\circ}C$.

  • PDF

Epilepsy in Korean patients with Angelman syndrome

  • Park, Sung-Hee;Yoon, Jung-Rim;Kim, Heung-Dong;Lee, Joon-Soo;Lee, Young-Mock;Kang, Hoon-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5호
    • /
    • pp.171-176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al history of epilepsy and response to anti-epileptic drug treatment in patients with Angelman syndrome (AS)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14 patients diagnosed with epilepsy out of a total of 17 patients with a genetic diagnosis of AS. These patients were seen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Neurology at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from March 2005 to March 2011. Results: Fourteen (9 males and 5 females) subjects (82.3%) were diagnosed with epilepsy in AS. The most common seizure types were generalized tonic-clonic (n=9, 27%) and myoclonic (n=9, 27%), followed by atonic (n=8, 24%), atypical absence (n=4, 12%) and complex partial seizure (n=3, 9%).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antiepileptic drug (AED) was valproic acid (VPA, n=12, 86%), followed by lamotrigine (LTG, n=9, 64%), and topiramate (n=8, 57%). According to questionnaires that determined whether each AED was efficacious or not, VPA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LTG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rate of seizure exacerbation. Complete control of seizures was achieved in 6 patients. Partial control was achieved in 7 patients, while one patient was not controlled. Conclusion: Epilepsy is observed in the great majority of AS patients. It may have early onset and is often refractory to treatment. There are few reports about epilepsy in AS in Korea.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epilepsy in AS in Korea.

Does bilateral uterine artery lig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ovarian reserve markers and ovarian artery blood flow in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 Verit, Fatma Ferda;Cetin, Orkun;Keskin, Seda;Akyol, Hurkan;Zebitay, Ali Galip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1호
    • /
    • pp.30-35
    • /
    • 2019
  • Objective: Bilateral uterine artery ligation (UAL) is a fertility-preserving procedure used in women experiencing postpartum hemorrhage (PPH). However, the long-term effects of this procedure on ovarian function remain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bilateral UAL compromised ovarian reserve and ovarian blood supply.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49 women aged between 21 and 36 years who had undergone a cesarean section for obstetric indications. Of these, 25 underwent uterine bilateral UAL to control intractable atonic PPH.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4 women who had not undergone bilateral UAL. Standard clinical parameters, the results of color Doppler screening, and ovarian reserve markers were assessed in all participants at 6 months after surgery. The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age, parity, cycle history, body mass index, and previous medication and/or surgery. Color Doppler screening findings included the pulsatility index (PI) and resistance index (RI) for both the uterine and ovarian arteries. The ovarian reserve markers included day 3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levels, antral follicle count, and $anti-M\ddot{u}llerian$ hormone (AMH) level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arian reserve markers of day 3 FSH levels, antral follicle count, and AMH levels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groups (p> 0.05 for all).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I and RI indices of the uterine and ovarian arteries (p> 0.05 for all). Conclusion: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bilateral UAL had no negative effects on ovarian reserve or ovarian blood supply, so this treatment should be used as a fertility preservation technique to avoid hysterectomy in patients experiencing PPH.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Water Media and Concentration of Additives on Rooting and Survival of Ternstroemia japonica after Transplanting Cuttings)

  • 강현우;김민수;김동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41-152
    • /
    • 2011
  • 물을 배지로 하는 삽목은 토양을 배지로 하는 삽목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물배지에서 발근이 되는 수종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물배지 삽목은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배지에서는 삽수의 생존율은 높으나 발근이 잘 되지 않고 캘러스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삽목묘가 토양에 정식된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다면 물배지 삽목도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배지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후피향나무의 삽수를 여러 종류의 물 배지에 침적시킨 후 캘러스의 형성과 발근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물배지 삽목묘를 토양에 이식한 후, 활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만 형성된 삽목묘도 정식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 형성 상태가 양호한 삽목묘일수록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배지 내에서 발근된 삽목묘는 정식 후 96. 6%의 높은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4. 후피향나무의 물배지 삽목 시기는 7월말이나 8월말이 6월말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IBA 50ppm24시간 침적 처리한 처리구가 IBA전 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IBA 50ppm 24시간 침적 처리하고 아토닉 오천배액, 포리옥신 오천배액, 포리옥신 일만배액에서 물배지 삽목한 삽목묘는 80~85%의 발근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배지 삽목은 삽수의 발근율은 낮지만 삽목시기와 식물호르몬처리, 물배지의 선정을 적절하게 하면 높은 발근 활착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지 삽목은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필요로 하는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원자흡광법에 의한 고속도로변 경작지토양중의 납함량분석에 관한 연구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Lead (Pb) in the Soils of Cropping Areas Near Highways)

  • 박승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48
    • /
    • 1979
  • 자동차의 배기중에 함량된 납에 의한 우리나라 고속도로변 농경지에 축적된 납의 함유량을 파악코져, 고속도로와의 방향과 거리 및 토심별로 밭과 논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원자흡광법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통량(10,000 대/일)이 많은 서울매표소와 경기${\cdot}$죽전에서는 도로변에 동${\cdot}$서로 $3\~5m$까지 밭 토양에서 납의 축적현상을 나타냈으며, 그 수준은 $11\~110\;ppm$정도 이었고, 도로변에 가까울수록 납의 함유량이 많았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축적되지 않았다. 2. 교통량(5,000 대/일)이 다소 많은 대전${\cdot}$회덕 지방은 동쭉 1m 지점에서만 약간의 축적된 경향 (16.3ppm)을 보였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아직 그 축적은 인정되지 않았다. 3. 논${\cdot}$밭을 부문하고 경부선의 대전 이남과 호남 및 남해고속도로의 기지 지역에 있어서는 김해${\cdot}$동래 지구(약 12 ppm)를 제외하고는 납의 축적경향은 없었다. 4. 토심별로는 대부분 표토층$(0\~5cm)$에 납이 축적되어 있고, 토심으로의 납의 이전은 인정하기 어려웠다. 5. 시료채취지점의 고속도로와의 방위에 있어서는 경기${\cdot}$죽전에 있어서 동${\cdot}$서간에 약 4배의 축적량의 차이를 나타냈을 뿐이며, 그 밖의 지점에 있어서는 대차가 없고 일관성있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6. 농경지의 대부분은 고속도로 양변의 15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여 있고, 또한 남의 함유량은 최고 5 ppm 정도로서 자연부존량의 수준에 불과하였다.

  • PDF

제왕절개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urvey of Cesarean Section)

  • 김재웅;이영기;김종욱;이태형;박완석;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249-260
    • /
    • 1986
  • 1983년 5월부터 1986년 11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제절로 분만한 510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관찰분석을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절발생빈도는 15.7%였으며 그중 일차제절은 10.9%, 반복제절은 4.7%였으며 제절수술이 점차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2. 연령분포는 26세에서 30세사이의 연령군에서 60.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3. 적응증은 기왕제절 30.2%, 아두골반불균형 26.9%, 이상태위 22.7%의 순이었으며, 일차초산 부제절은 아두골반균형이 일차경산부제절은 이상태위가 가장 많았다. 4. 제절시행 임신주수는 40주에 31.6%로 가장 많았다. 5. 신생아체중분포는 3,000~3,499gm군이 39.8%로 가장 많았으며 미숙아가 9.1%, 거대아는 5.6%였다. 6. 제절술식은 자궁협부횡절개술이 97.5%였다. 7. 제절술시 병행한 수술로는 난관결찰술, 난소낭종제거술, 자궁적출술, 충수제거술, 자궁근종제거술의 순이었다. 8. 마취방법으로 전신마취가 83.5%였다. 9. 모성이환율은 14.7%였으며 그 원인은 창상 감염, 요로감염, 불명열, 산후출혈의 순이었다. 10. 입원당시 빈혈의 정도별 모성이환율은 혈색소치가 10이하인 경우 18.4%의 모성이환율을 보였고, 낮을수록 모성이환율이 증가되었다. 11. 양수파막 24시간이상 경과군에서의 모성이환율이 44.4%였다. 12. 분만진통시간이 12시간이상군에서 24.6%의 모성이환율을 보였고, 진통시간이 길수록 되었다. 13. 자궁협부절개술에서 14.1%로서 가장 낮은 모성이환율을 보였다. 14. 응급수술시행군에서 선택적수술군보다 모성이환율이 2배정도 높았다. 15. 모성사망은 1예도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