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mospheric aerosols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 나라 배경농도지역의 1996~1997년 미세입자상 탄소성분 측정 결과 (Measurement of Carbonaceous Species in Fine Particles at the Background Sites in Korea During 1996 and 1997)

  • 김용표;이종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1-630
    • /
    • 1998
  •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in fine aerosols were determin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at the two background sites of Kosan in Cheju Island and Kangwha. Sampling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spring and winter of 1996 and the fall and winter of 1997. PM25 particles were collected on the prefired quartz filters for 24 hours and analyzed by the selective thermal oxidation method. The concentrations of OC at the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commonly observed from clean areas around the world, but those of EC at both sites were lower than, or comparable to, other clean areas in the world. Both the OC and EC levels at Kangwha were higher than those at Kosan. According to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most air pollutants collected at the two sites were from China. It was found that the OC and EC concentrations in air masses from southern China were higher than those from northern China.

  • PDF

1993년 8월의 서울지역 시정 연구 (Visibility study in Seoul in Aug., 1993.)

  • 이종훈;백남준;김용표;문길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1-298
    • /
    • 1995
  • An intensive field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Aug. 1993 in Seoul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time visibility and diurnal trend of ionic composition of ambient particles. A transmissometer, nephelometer with heated and unheated inlets, PM3 fine particle sampler, and cascade impactor were used to measure optical and particle properties of ambient air. During this study period, a weak smog episode has occurred. Light scattering by particles is the most dominant factor on total light extinction. The effect of light absorption by particles in Seoul is much higher than other major cities in U.S.A. throughout the summer and fall with relatively constant values. The effect of water on $b_{sp}$ was small during the perio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ows a typical bimodal one. Sulfate, ammonium, chloride, and nitrate are the major chemical species in fine fraction aerosols, about 30% of toral mass concentration. Concentraion of sulfate is higher during the daytime while those of nitrate and chloride are higher during the nighttime. Ammonium concentration is constant through the daytime.

  • PDF

제주도 고산지역과 한라산 1100고지 대기 에어로졸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for Atmospheric Aerosols between Gosan Site and 1100 Site in Mt. Halla, Jeiu Isalnd)

  • 고희철;강창희;고선영;고수연;김용표;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375
    • /
    • 2003
  • 산업화에 따른 화석 연료의 연소, 기타 오염원에 의하여 생성되는 대류권의 에어로졸은 전 지구적인 평균값으로 볼 때, 약 -0.5 W/$m^2$의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음의 복사강제력은 일산화탄소, 염화불화탄소, 메탄 등과 같은 온실기체에 의한 양의 복사강제력을 상쇄시키는 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추측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정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제주도 고산 측정소와 한라산 1100 고지 지역에서 에어로졸 시료를 채취하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조성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성분의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황사 시 대기 에어로졸의 금속과 황 조성 변화: 1998-2001년 측정 결과 (Composition Variation of Metals and Sulfur in Atmospheric Aerosols during Yellow-Sand : Mea- surements between 1998 and 2001)

  • 현진욱;강창희;김원형;양경희;김기현;김조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6-387
    • /
    • 2003
  • 매년 3~5월에 주로 발생되고 있는 황사는 평상시 10~50$\mu\textrm{g}$/㎥인 먼지농도를 100~500$\mu\textrm{g}$/㎥ 정도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황사의 주성분인 Si, Al, Ca, K, Na 등의 농도를 크게 상승시킨다. 우리나라에서 관측되어지는 봄철 황사 자체는 자연 발생적인 현상이지만, 이 시기에 측정된 여러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좀 더 가시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대기부유분진 중 미량 금속원소의 입경별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Concentrations in the Ambient Aerosols)

  • 신훈중;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7-77
    • /
    • 1996
  •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TSP) were collected based on a size segregation method by a cascade impactor for 6 consecutive years (form Dec. 1989 to sep. 1994) in the Kyung Hee University-Suwon Campus, and 6 trace metals (Ca, Si, Fe, Pb, Cu, Zn) were determined by an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Total number of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are 118 sets and each set of sample comsists of 9 filters. The levels of TSP and 6 trace metals were then used to examine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with respects to their size distributions. For statistical analyses, raw data were initially transformed by both logarithmic and root transformating to approximately normalize them, and then size distribution functions for each trace element were separately developed season-to-season by a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obtain maximum amount of physical information, Subsequently, each developed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supervised data collected on 1994. The result showed that each prediction model was in good agreement except the fall, partly due to lack of the data collected on fall, 1994.

  • PDF

1994년 봄철의 LIDAR관측을 통한 황사특성 (Properties of Yellow Sand with a Lidar Measurement in Spring 1994)

  • 權成顔;岩坂泰信;紫田降;金潤信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5-32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lidar measurement of depolarization ratios of particulate matter (Depolarization Ratio of Yellow Sand) and to discuss the transformation of aerosols due to Yellow Sand event. The scattering profile shows high level during Yellow Sand event and scattering layers are thicker as compared to other seasons in about 3 .sim. 8km, and the values and mode height of scattering ratio corresponed with depolarization ratio. A distribution of total depolarization ratio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as 44.7 percent among total cases of 0.03 < Dt < 0.5 with scattering ratio > 30 and relative humidity < 30 was satisfied (popular Yellow Sand type).

  • PDF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Ambient Particles in Seoul

  • Kim, Yong-Py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권1호
    • /
    • pp.9-13
    • /
    • 2007
  • Various aspects of the air quality problems caused by ambient particles in and around the city of Seoul are discussed. First, the trend of the air quality in Seoul over time i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types and quantities of energy consumption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air quality in Seoul has improved over the last twenty years because of a change in the primary fuel used in Korea. However, the visibility in Seoul, a representation of the ambient particle concentration, is still worse than in other cities in Korea. In the air around Seoul, secondary particle generation might be as important as particles directly emitted from within the city or transported from outside.

Ozone and Aerosols in the Tibetan Plateau Atmosphere during Asian Summer Monsoon : Balloon-Borne Measurements

  • Y. Iwasaka;Kim, Y.S.;G.Y. Shi;K. Kawahira;T. Shibata;D. Zhang;T. Ohashi;K. Tamura;Y.B. Bai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4
    • /
    • 2002
  • Active upwelling air motion in every summer over the Tibetan plateau is an essential process controlling activities of asian summer monsoon which affects water cycle and precipitation in eastern Asia. Large heating rate of surface air on the high plateau with average height of 4000m is considered to cause such large scale upwelling over the plateau. (omitted)

  • PDF

에어로졸 광학변수가 대기복사가열률 산정에 미치는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of Aerosol Optical Parameters on the Atmospheric Radiative Heating Rate)

  • 김상우;최인진;윤순창;김유미
    • 대기
    • /
    • 제23권1호
    • /
    • pp.85-92
    • /
    • 2013
  • 2001년 4월 제주 고산기후관측소에서 AERONET sun/sky radiometer와 MPL을 통해 관측된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 단산란 알베도, 비대칭 변수, 에어로졸 소산계수 프로파일 등을 대기복사모델의 입력 자료로 이용하여 대기가열효과를 산정하고, 이들 광학변수가 대기복사가열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CAR Climate Community Model (CCM-3.6)에 포함되어 있는 복사 모듈인 Column Radiation Model (CRM-2.1.2)을 연직 54층으로, AERONET sun/sky radiometer로부터 관측된 4 파장 (440, 670, 870, 그리고 1020 nm)에서의 관측 자료를 19개의 파장에서 계산 가능하도록 수정하였다. 에어로졸층이 존재하지 않은 맑은 날 (4월 14일과 16일)은 지표면과 대기상단에서의 에어로졸 직접복사강제력이 각각 $-20{\sim}-25\;W\;m^{-2}$$-10{\sim}-15\;W\;m^{-2}$로, 대기 중 흡수는 $+10{\sim}+15\;W\;m^{-2}$였다. 에어로졸층이 관측된 4월 15일과 4월 17~18일의 경우 지표면, 대기, 대기상단의 에어로졸 복사강제력이 맑은 날에 비해 3~4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4월 14일과 16일에의 대기복사가열률 (${\Delta}H$)는 $1{\sim}2\;K\;day^{-1}$ 범위에서 산출되었으며, 4월 15일과 4월 17~18일에는 MPL 관측에서 보여지는 에어로졸층에서의 ${\Delta}H$${\Delta}H_{aerosol}$가 각각 $3\;K\;day^{-1}$ 이상과 $1{\sim}3\;K\;day^{-1}$ 범위에서 산정되었다.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와 비대칭 변수의 변화에 따른 에어로졸층의 ${\Delta}H$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단산란 알베도의 10% 변화는 지표면과 대기상단에서의 에어로졸 직접복사강제력의 30%, 대기복사강제력의 약 60%, 그리고 에어로졸층 ${\Delta}H$의 약 35% 변화를 유발하였다. 이는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 10% 변화와 비교하여 대기흡수 또는 에어로졸층의 가열 및 냉각 효과가 6배 가량 큰 결과로, 태양복사를 효과적으로 잘 흡수하는 에어로졸의 양에 의해 대기 가열 또는 ${\Delta}H$가 크게 좌우됨을 의미한다. 2001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제주 고산기후관측소에서의 AERONET sun/sky radiometer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Delta}H$${\Delta}H_{aerosol}$의 월변화를 보면, ${\Delta}H$는 4~8월 사이에 대류권 하부에서 약 $1.0\;K\;day^{-1}$ 이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Delta}H_{aerosol}$의 경우 2월부터 6월까지 고도 2 km 이하에서 약 $0.8\;K\;day^{-1}$ 이하의 범위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대부분의 에어로졸이 지표면 부근의 대기경계층에 존재하며, 봄철 황사와 오염 에어로졸의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CAGEX 관측자료를 이용한 LOWTRAN7의 대기 복사전달 모의에 대한 조사 (Study on the LOWTRAN7 Simulation of the Atmospheric Radiative Transfer Using CAGEX Data.)

  • 장광미;권태영;박경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20
    • /
    • 1997
  • 위성 탐사 지구 관측 자료, 특히 가시광선 영역의 자료는 태양광이 지구 대기계와 복잡 한 상호 작용을 거친후 위성센서에 의해서 감지되어 수집된 것이다. 따라서 가시광선 영역의 지 구 관측 위성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기의 산란과 흡수에 의한 대기효과에 대한 정량적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효과에 대한 정량적 보정을 위해서 복사 전달 모델 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 원격탐사 응용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복사 전달 모델 중의 하나인 LOWTRAN7의 복사 전달 모의 결과 중 단파 자료를 복사 관측 자료인 CAGEX 자료와 비교하였다. CAGEX 관측 자료는 대기복사 모델의 검정을 위하여 NASA Langley Research Center에서 수집한 자료로써, 1)대기 sounding, aerosols, 구름의 특성 자료, 2) 지구복사계, 직달일사계, 차광전천일사계에 의해 측정된 ARM(Aerosol Radiation Measurement) 자료, 3)Fu-Luio 모델에 의해 모의된 장파, 단파 flux 등의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복사 전달 모의를 위하여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은 CAGEX의 column optical depth, Spinhime의 산란 계 수 수직 분포와 D' Almeida의 에어로졸 복사 특성 값으로부터 도출되었다. LOWTRAN7의 복사 모의는 완전히 맑은 날에 해당하는 31개의 경우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이 모의 결과 중 단파영 역에서의 지표면에서의 상향복사와 지표면으로의 하향직달복사 및 하향 확산 복사 그리고 대기 상단에서의 상향 복사를 CAGEX 관측 자료와 각각 비교 하였다. 비교 결과 CAGEX 자료에 대한 LOWTRAN7 결과의 표준 오차는 지표면에서의 하향 확산 복사(6.9%)를 제외한 모든 복사 항목 들이 5%이내였다. 이 결과로 보아 하향 확산 복사항의 오차가 가장 크며 이 오차가 관련된 나머 지 항목의 오차를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표면에서의 하향 확산 복사 항목은 에어로졸에 의해 생기는 항목이므로 향후 복사 모델을 고려할 때 에어로졸의 산란에 의한 부분이 더 고려 된다면 복사 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대기 효과를 보정하 는데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