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uka period′s cultur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일본 비조시대의 복식에 관한 연구 -지배자층과 저지배자층의 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me in Asuka Period of Japan -Focusing on the Ruling Classes′and the Ruled Classes′Costumes -)

  • 이자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283-292
    • /
    • 2002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 and features in Asuka peri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uka period is the time that the country loader positively imported the continental civilization, founded a new country organization in political society and accepted Buddhism and exerted his best passion for its thriving.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stume and features of Asuka period when the requirement for accepting the foreign culture was met via the present costume regulation and relics material, it was found that the costume had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of the ruling classes with government official and noble as the center and the common people. As for the costume of the ruling-classed official and noble, Korean and Chinese costume regulation was introduced, court dress, ceremonial dress, and uniform were dressed. The composition of costume with introduction of new clothes including Wio, Baedang, Seup, Pil, Kyongsang, for the ruling classes was diversified as well. As the result of looking the clothes for the present ruling classes via the existing and the contemporary relics, it was found that the clothes consisted of Eui and Gon or Eui and Sang style in principle and Po with Banryung or Sooryung was worn over what. However, for the common people, mainly man wore Eui and Gon and woman Eui and Sang, which was the traditional costume style in the ancient tomb days.

  • PDF

일본고대복식에 관한 연구 - 한반도의 경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cient Japanese costume)

  • 이은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1985
  • RESULTS : Considering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it is velieved that the southern culture centered in KuSu and the Nothern Culture centered in the centeral Japan, specially at the estern Japan, existed together with the culture come through the southern regions and northern regions of Japanese Islands in Jomon Culture and Yayoi Culture period. As the center of territory moved from KuSu to GiNae in Tumulus Culture period, two-pieced style of the northern people who have already there became prevalent. The costume of Tumulus Culture period was developed from the coexistence f southern style and northern style to the merge of the two styles by the nomads come from Korean Peninsula. The riding costume was propagated by Koreans, and the style used in Korean Peninsula was more deeply influenced to the costume of the ruling class. The costume of Asuka Culture and MakuHo Culture period succeeds the costume of Tumulus Culture period without wide difference. But the costume of Korean Peninsula lied more deeply as the root of Japanese Costume. While the costume of the ruling class was changed into Tang's style, the costume of the masses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stume of Korean Peninsula. It became the base of current Japanese Folk Costume.

  • PDF

일제강점기 부여고적의 재해석과 고적관광의 성격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interpretation and Tourism on Historic Sites of Buyeo Regi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김종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84-97
    • /
    • 2016
  • 일제는 일선동조론에 바탕을 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우리의 역사를 식민사관에 맞춰 재구성하는 한편 고고학적 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려고 하였다. 경주, 부여 등 고도(古都)에 대한 고적조사 및 고적의 재해석 그리고 고적관광은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었다. 특히, 부여지역의 경우 고적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백제 사비기와 일본 고대 아스카(飛鳥)시기와의 밀접한 관련과 친연성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고적을 식민지 조선인에게 보여주는 고적관광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부여지역에 대한 고적조사와 고적의 재해석 및 고적관광이 어떤 맥락으로 이루어졌고 그것이 일반 대중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첫째, 부여지역의 고적조사는 1909년 세키노 다다시에 의해 처음 시도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고분과 사지(寺址)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세키노는 부여의 고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대 중국(梁) 한국(百濟) 일본(倭)간의 문화적 관계와 영향을 설정하였고 사비시기의 백제문화가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다시 일본에 전달하여 아스카 문화를 형성하게 했다는 문화 전달 자설을 역설하였다. 이는 우리문화의 고유성을 부인하고 백제문화를 중국문화의 아류 또는 단순 전파자 역할로 왜곡 해석한 것으로 이러한 세키노의 관점은 일제강점기 내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둘째, 1915년에 발족한 부여고적보존회는 부여고적에 대한 탈맥락적 해석을 통하여 고대 일본과 백제와의 관계를 동화론적 관점에서 재정립하였다. 특히 낙화암, 고란사, 청마산성 등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일본과의 친연성을 강조함으로써 일제의 동화정책을 역사적 사실관계로 확정지으려고 하였다. 셋째, 부여지역의 고적관광은 부여고적보존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주된 관광대상과 코스는 고적의 재해석을 통해 재구성된 고적들이었다. 일제는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부여를 일본 고대문화의 원형 또는 본향으로 이념화된 공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부여의 고적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고적관광은 서로 밀접한 관련하에서 추진되었고 그 추진 주체가 조선총독부와 친일 관변단체였다는 점에서 타자의 시선에 의해 '만들어지고' '보여진' 것이었으며 그것은 식민지 표상공간으로서 부여의 재발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