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ured servi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5초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를 위한 자원 할당 및 RIO 변수 설정 방안의 제안 (A Configuration method of RIO for the Assured Service in Differentiated Services)

  • 허경;이형섭;신동범;엄두섭;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C호
    • /
    • pp.571-580
    • /
    • 2002
  • 본 논문은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안으로서 Assured Service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하는 대역폭의 양을 차별화하여 요구되는 버퍼 크기에 따라 서브 클래스별로 보장하는 최대 지연시간을 상대적으로 차등화 하였다. 또한 In-profile 트래픽에 대한 수율과 링크 이용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Assured Service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되는 대역폭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 크기를 기준으로 RIO 변수 값을 설정하고 접속제어의 기준이 되는 출력링크 대역폭의 크기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시물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방식을 통해 Assured Service에 대한 서비스 수용 용량을 도출할 수 있고, 제안된 RIO 변수 값을 적용하여 In-profile 트래픽의 수율 및 링크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최저대역보장형 서비스에 대한 과금 (Charging the Assured-Bandwidth Service)

  • 이훈;이광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3호
    • /
    • pp.179-179
    • /
    • 2004
  •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기존의 정액제 요금에서 종량제가 첨가되는 것과 같은 인터넷서비스의 요금체계에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비하여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품질이 보장되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량기반의 과금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IP 네트워크에서 가장 주류를 이룰 Assured service에 의해서 발생되는 적응성이 있는 트래픽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네트워크 대역의 사용량에 기반한 과금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어떤 형태의 Assured service에도 적용 가능한 과금함수를 제안하고, 간단한 수치계산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효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최저대역보장형 서비스에 대한 과금 (Charging the Assured-Bandwidth Service)

  • Seok, Seung-Hak;Lee, Hoon;Lee, Kwang-Hui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3호
    • /
    • pp.21-28
    • /
    • 2004
  •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기존의 정액제 요금에서 종량제가 첨가되는 것과 같은 인터넷서비스의 요금체계에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비하여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품질이 보장되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량기반의 과금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IP 네트워크에서 가장 주류를 이룰 Assured service에 의해서 발생되는 적응성이 있는 트래픽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네트워크 대역의 사용량에 기반한 과금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어떤 형태의 Assured service에도 적용 가능한 과금함수를 제안하고, 간단한 수치계산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효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에서 QoS 보장을 위한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안 (A Novel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QoS guarantee of Assured Service in Differentiated Services)

  • 허경;조성대;엄두섭;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8C호
    • /
    • pp.758-770
    • /
    • 2002
  • 본 논문은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에 대한 QoS를 보장하고 서비스 수용 용량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자원 할당 방안을 제안하고, RIO 및 Adaptive RIO 버퍼 관리 방식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Adaptive RIO 방식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Assured Service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되는 대역폭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 크기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구간마다 도착 가능한 In-profile 패킷과 전체 패킷의 최대량을 고려하여 RIO 방식의 변수 값들을 재설정함으로써 접속제어가 수행된 상황 하에서 허용된 In-profile 패킷에 대한 Early Random Drop을 방지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자원 할당 방안 및 Adaptive RIO 방식을 적용하여 Assured Service 에 대한 QoS를 보장할 수 있고 서비스 수용 용량을 최대화 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DiffServ 방식에서 Assured Service의 QoS 보장을 위한 RIO 및 RIO-DC 방식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s of RIO and RIO-DC for QoS guarantee of the Assured Service in Differentiated Services)

  • 허경;신동범;이상우;엄두섭;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4C호
    • /
    • pp.342-352
    • /
    • 2002
  • 본 논문은 IETF에서 DiffServ의 Assured Service를 위하여 제안된 AF PHB의 버퍼 관리 방식들 중 RIO 및 RIO-DC 방식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Assured Service의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하는 대역폭의 비율을 차별화하여 서브 클래스별로 보장하는 최대 지연시간을 상대적으로 차등화 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Assured Service의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되는 대역폭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 크기를 기준으로 RIO 및 RIO-DC 방식의 변수 값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In-profile 트래픽에 대한 수율, 링크 이용률 및 플로간 공평성을 성능의 척도로 하여 제안된 두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변수 설정 방안을 적용한 RIO 및 RIO-DC 방식의 Assured Service에 대한 In-profile 트래픽의 수율과 링크 이용률 성능은 동등하나, RIO-DC 방식은 RIO 방식 보다 향상된 플로간 공평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

DiffServ 방식에서 플로별 관리 없이 Assured Service의 End-to-End QoS를 향상하기위한 Aggregate Three Color Marker (An Aggregate Three Color Marker without Per Flow Management for End-to-End QoS Improvement of Assured Service in DiffServ)

  • 허경;박지훈;노영섭;엄두섭;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6B호
    • /
    • pp.588-603
    • /
    • 2003
  • 본 논문은 Diffserv 방식에서 플로별 관리없이 Assured Service의 End-to-End 005를 향상시키기 위해 DiffServ 도메인의 입구라우터에서 플로별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Aggregate Three Color Marker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Aggregate Three Color Marker는 Diffserv 방식에서 개별 플로에 대한 관리 없이 Assured Service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Adaptive RIO-DC 버퍼 관리 방식과 함께 사용된다. 제안하는 Aggregate Three Color Marker는 Assured Service에 대한 접속제어가 수행된 상황에서 입구라우터를 경유하는 개별 플로들이 전송하는 In-profile 트래픽 전송률들의 총합 만큼의 Token rate로서 입구 라우터로 유입되는 전체 In-profile 트래픽의 양을 측정하고, 허용된 In-profile 트래픽의 Aggregate Trafile profile 범위에 속하는 손실된 Token 양만큼 경유하는 Out-of-profile 패킷들을 Yellow 패킷들로 표기한다. 그리고 DiffServ 내부라우터에서는 In-profile 패킷과 Yellow 패킷을 동일하게 처리하며, 플로간의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전 도메인에서 입구라우터로 유입되는 Yellow 패킷은 Out-of-profile 패킷으로 환원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Aggregate Three Color Maker를 Adaptive RIO-DC와 함께 적용하여 다중 DiffServ 도메인 환경에서 플로별 관리없이 Assured Service에 대한 End-to-End QoS를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에서 QoS 보장을 위한 Adaptive RIO 방식의 제안 (An Adaptive RIO buffer management scheme for QoS guarantee of Assured Service in Differentiated Services)

  • 허경;김문규;이승현;조성대;엄두섭;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C호
    • /
    • pp.581-593
    • /
    • 2002
  • 본 논문은 DiffServ 방식의 Assured Service를 이용하는 플로에게 QoS를 보장하기 위해 Admission Control이 수행된 상황 하에서 발생하는 RIO 방식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Adaptive RIO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Adaptive RIO 방식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Assured Service 서브 클래스별로 할당되는 대역폭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 크기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구간마다 도착 가능한 In-profile 패킷과 전체 패킷의 최대량을 고려하여 RIO의 변수 값들을 재설정함으로써 허용된 In-profile 패킷에 대한 확률적인 폐기 (Early Random Drop)를 방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Assured Service에 대해 Admission Control이 수행된 상황과 Congestion 상황에서 제안하는 Adaptive RIO 방식이 RIO 방식보다 In-profile 트래픽에 대한 보호와 수율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A modified RIO queue management scheme that reduces the bandwidth skew problem in Assured Service

  • Kim, hyogon;Park, Won-Hyoung;Saewoong Bahk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423-426
    • /
    • 1999
  • In offering a statistical end-to-end bandwidth guarantee service, typically called Assured Service, in Differentiated Serviced (Diff-Serv) framework, the biggest issue is its inconsistency. Larger profile TCP flows fail to achieve the guaranteed rate when competing with many smaller profile flows. This phenomenon, which we call "bandwidth skew", stems from the fact that larger profile flows take longer time to recover from the congestion window size backoff after a packet drop. Proposed solutions to this problem, therefore, are focused on modifying the TCP behavior. However, TCP modification is not practicable, mainly due to its large installation base. We look to other mechanisms in the Diff-Serv framework to find more realistic solutions. In particular, we demonstrate that RIO, the de facto standard packet differentiation mechanism used for Assured Service, also contributes to the bandwidth skew. Based on this new finding, we design a modified RIO mechanism called RI+O. RI+O uses OUT queue length in addition to IN and IN+OUT queue length to calculate OUT packet drop probability. We show through extensive simulation that RI+O significantly alleviates the bandwidth skew, expanding the operating regime for Assured Service.d Service.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Random Early Dropping Effect at an Edge Router for TCP Fairness of DiffServ Assured Service

  • 허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B호
    • /
    • pp.255-269
    • /
    • 2006
  • The differentiated services(DiffServ) architecture provides packet level servic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simple and predefined Per-Hop Behaviors(PHBs). The Assured Forwarding(AF) PHB proposed as the assured services uses the RED-in/out(RIO) approach to ensusre the expected capacity specified by the service profile. However, the AF PHB fails to give good QoS and fairness to the TCP flows. This is because OUT(out- of-profile) packet droppings at the RIO buffer are unfair and sporadic during only network congestion while the TCP's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works with a different round trip time(RT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Regulating Drop(ARD) marker, as a novel dropping strategy at the ingressive edge router, to improve TCP fairness in assured services without a decrease in the link utilization. To drop packets pertinently, the ARD marker adaptively changes a Temporary Permitted Rate(TPR) for aggregate TCP flows. To reduce the excessive use of greedy TCP flows by notifying droppings of their IN packets constantly to them without a decrease in the link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TPR, the ARD marker performs random early fair remarking and dropping of their excessive IN packets at the aggregate flow level. Thus, the throughput of a TCP flow no more depends on only the sporadic and unfair OUT packet droppings at the RIO buffer in the core router. Then, the ARD marker regulates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of each TCP flow to the contract rate by increasing TCP fairness, without a decrease in the link utilization.

DiffServ Assured Service에서 TCP 공평성 보장을 위한 적응적인 패킷 Re-Marking 방안 (A novel Adaptive Re-Marking Strategy for TCP Fairness of DiffServ Assured Services)

  • 허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9-106
    • /
    • 2008
  • 본 논문은 DiffServ Assured Service에서 TCP 플로들간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Ingressive Edge router에서 필요한 새로운 패킷 Re-marking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패킷 Re-marking 방안에서는 Temporary Permitted Rate (TPR)의 설정 방안이 제안되어, 네트워크 트래픽이 변화할 때 마다 설정된 TPR 값에 따라 Greedy TCP 플로틀의 IN 패킷들을 OUT 패킷들로 지속적이면서 적응적으로 Re-marking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된 패킷 Re-marking 방안을 적용하여, 링크 이용률의 감소 없이 각 TCP 플로의 패킷 전송률을 계약된 전송률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