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t Valua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교량 자산관리를 위한 가치평가방법 및 체계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t Valuation Method for Bridge Asset management)

  • 이민재;박경훈;박철우;선종완;이동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35-44
    • /
    • 2010
  • 효율적인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순위를 고려한 유지보수비용 예측과 전략적인 예산배분이 가능한 자산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돕기 위한 교량의 자산가치 평가방법 연구를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실효성 있는 자산가치 평가방법의 제안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국내외 교량시설물의 자산가치 평가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그 장단점을 파악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교량자산가치 평가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취득원가에 의한 자산가치 평가방법과 대체원가를 활용한 가치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교량의 가치평가를 위한 모델을 정립하였다. 또한 제안된 두 가지 자산가치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공용중인 교량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회계적 목적의 자산가치 평가 지원을 위해서는 초기건설비용에 근거한 취득원가를 고려한 자산가치 평가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지관리 의사결정의 목적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의사결정 인자의 고려가 가능한 감가상각 후 대체원가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지관리를 위한 교량 시설물 자산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about the Evaluation of Bridge Asset Valuation for Maintenance)

  • 이동현;김주엽;지승구;이상순;김지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23
    • /
    • 2012
  • PURPOSES :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highway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efficiently by method for asset management.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asset values from a Bridge management system to improvement of maintenance system more efficiently. This study is suggested for an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current bridge condition by Written-down replacement cost of the assets. RESULTS : We suggests the optimization methodology of road asset valuation for budge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measure. CONCLUSIONS : We evaluate all of national highway's bridge by the optimization methodology of road asset valuation, and suggest application methods of asset result.

특허가치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luation Factors of Patent)

  • 김영기;박성택;이승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63-70
    • /
    • 2009
  • It is well known that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a firm's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patent is crucial for its competitive advantage. In industrial economy, tangible assets such as land and equipment have been of critical importance for a firm's competitiveness. However, as the paradigm shift to the knowledge-base economy is being accelerated, intangible asse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are considered to be more influential for a firm to be competitive. The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 is as necessary as that of tangible asset. In particular, reasonably accurate valuation of patent which represents a firm'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eems to be of great importance since (1) it is essential for a firm's patent strategy development, (2) it can activate the technology market, and (3)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 patent's technological contribution when multiple patents are used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an innovative product. Unlike that of tangible asset, the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 is very difficult. In order to figure out a value of patent it is necessary to use a number of appropriate valuation factors. In this paper, we surveyed various valuation factors presented by previous researches and several technology valuation organizations to find a set of common valuation factors considered to be of more importance.

  • PDF

BTL 사업 학교시설의 자산 가치평가 기법 연구 (A Study on Asset Valuation Method in Educational Facilities Delivered by BTL)

  • 이영주;소지윤;이준복;한충희;채명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0-49
    • /
    • 2011
  • 최근 신도시 개발의 증가와 학습 효율성 증가를 위한 학급당 학생 수 축소 정책에 따라 BTL 사업의 신설 학교시설물이 증가하고 있다. 국외 SOC 시설물의 사례를 보면 어느 시점 이후 운영 유지관리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되어 예산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BTL 사업 학교시설 또한 어느 시점 이후 운영 유지관리 비용의 예산부족이 예상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산의 가치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자산관리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SOC에 적용된 자산관리 사례를 통해 BTL 사업 학교시설물에 적용 가능한 자산의 가치평가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시설물 세부 평가요소 및 내용을 도출하여 현재 국내 회계법을 기반으로 한 자산의 가치평가 기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학교 시설물의 운영관리 예산계획에 정량적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BTL 사업 교육시설물에 적용 가능한 자산관리 개념의 도입을 촉진시킬 수 있다.

대체적 감가상각기법을 활용한 도로자산의 가치 평가 : 국도 1호선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Road Asset Value using Alternative Depreciation methods : Focusing on National Highway No.1)

  • 도명식;박성환;최승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9-30
    • /
    • 2017
  • PURPOSES : This study proposes the road asset valuation approach using alternative depreciation methods. It has become necessary to have asse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accrual basis accounting for governmental financial reporting and the amendment of the road ac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effect of depreciation methods on road asset value as a basic research for road asset management system. METHODS :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has mainly performed road asset valuation based on Write down Replacement Cost and Straight Line depreciation method. This study suggests some appropriate asset valuation methods for road assets through case analysis using three depreciation methods: Consump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Condi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and Straight Line depreciation method. A road asset valuation data of national highway route 1 (year 2014)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ree depreciation methods on the road asset value. Road assets include land and structures (pavement, bridge, and tunnel).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because according to governmental accounting standards, land and road pavement assets do not depreciate. RESULTS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verall asset value of national highway route 1 was estimated at 6.97 trillion KRW when MOSF's method (straight-line depreciation method) is applied. Secondly, asset value was estimated at 4.85 trillion KRW on application of consump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Thirdly, asset value was estimated at 4.37 trillion KRW when condi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is applied. Therefore, either consumption-based or condition-based depreciation methods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n straight-line depreciation method if we can use the condition data of road assets including land that are available in real time. CONCLUSIONS : Since road assets such as pavements, bridges, and tunnels have various patterns of deteriora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perio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pecific 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each road asset. Firstly, even though road pavements do not depreciate, asset valuation through condi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would be more appropriate when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non-depreciation approach are not satisfied. Since bridge and tunnel facilities show various patterns of deteriora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period by type and condition level, consump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based on deterioration model would be appropri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reasonable asset management system to apply condition-based depreciation method and a periodic condition investigation to manage road assets well.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 Jeong, Seongy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91-692
    • /
    • 2015
  • Several scholars in South Korea have predicted that maintenance costs of social infrastructure will sharply increase from the mid-2020s, and cause budgetary deficits among facilities management agencies. Interest in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AM) is rising as a solution to such problem. In this study, an information system for asset valuation that reflects the salvage value and deferred cost of social infrastructure based on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AM. To reuse the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such as the acquisition cost, the interconnection between CBS (cost breakdown structure) and WBS was considered. Furthermore, asset valuation information was developed with XML schema to facilitate the exchange and reuse of the inform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 PDF

도로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자산가치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t Valuation Method for Road Facilities Maintenance)

  • 안재민;박종범;이동열;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41-151
    • /
    • 2012
  • 도로시설물은 국가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물이며 국가에 필수적인 기반 시설물이다. 현재 국내 관리대상 도로시설물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관리비 예산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건설되어 축적된 도로시설물에 대한 비용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산이 지닌 가치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지표는 자산가치로써 화폐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국외에서는 자산관리 및 자산가치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실제 공용중인 도로시설물에 적용을 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로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자산가치평가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산가치평가방법을 기존의 문헌과 연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정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시설물에 자산가치평가방법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과 특성이 반영된 자산가치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산가치 프로세스에 따라 실제 공용중인 도로시설물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각 자산가치평가방법들의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가장 활용성이 높은WDRC(Written Down Replacement Cost)방법을 이용하여 자산관리업무 수행 절차를 위한 자산 관리 업무지원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측정을 위한 요소분류체계 개발 (Classification of Factors for Intangible Asset Valuat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nsulting Firm)

  • 피승우;허영란;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57-769
    • /
    • 2013
  •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은 대표적인 지식기반산업으로서 무형자산의 평가 및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무형자산 분류체계를 작성하고, 설문과 인과지도구축을 통해 주요요소를 추출하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무형자산 측정을 위한 요소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기업가치 상승을 위한 무형자산 관리는 각 무형자산 세부요소 간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돼야 하므로, System Dynamics 분석을 통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제시된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통하여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의 특성이 고려된 무형자산을 인식하게 되어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무형자산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데 기여함으로써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량 성능 정보에 기초한 자산가치 평가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sset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Bridge )

  • 이용준;박경훈;선종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57-66
    • /
    • 2023
  • 사회기반시설의 자산가치 평가는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필수적이며, 자산을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국내 자산가치 평가는 일반적으로 정액법 기반의 상각후대체원가를 적용하고 있어 내용연수 기간 동안 일정하게 감가상각되어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교량의 성능을 합리적으로 고려한 자산가치 평가를 위해 와이블 분포를 활용하여 교량의 평균수명, 신뢰도, 고장율 등 교량의 성능지표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성능지표와 결함도지수를 활용하여 새로운 자산가치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 방법과 비교·분석하였다. 제안한 가치평가 방법은 교량의 성능을 고려할 수 있어 기존 방법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성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igital Transformation, Manipulation of Asset Evaluation and M&A Performance: Discussion on the Intermediary Effect of Internal Control

  • Chen Chen;Hee-Jung Lee;Nan Hui;Xue-Hua Qia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9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nal relevance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manipulation of asset evaluation and corporate M&A performance and further explores the impact path of manipulation of asset valuation on corporate M&A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based on the financial data of A-share listed companies in Shanghai and Shenzhen Stock Exchanges from 2013 to 2021. Findings - First, manipulation of asset evalu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 performance. Second, Digital transformation significantly weaken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nipulation of asset evaluation and corporate M&A performance. Third, The effectiveness of internal control plays a partially intermediary role in the process of manipulation of asset evaluation affecting M&A performa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Enrich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the study can also provide useful referenc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regulating asset valuation, promo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nterprises and improving internal control mechanisms, with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