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heric Plastic Len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3초

Feedrate Control에 의한 초경코어 표면조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WC Core Surface Roughness by Feedrate Control)

  • 김현욱;정상화;이동길;김상석;김혜정;김정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7-62
    • /
    • 2009
  •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lightness and miniaturization of high resolution camera phones, the demand for aspheric glass lens has increased because plastic and spherical lens are unable to satisfy the required performance. An aspheric glass lens is fabricat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molding using a tungsten carbide molding core, so precision grinding technology for the molding core surface are required. This paper reports a development of feedrate control grinding method for aspherical molding core using parallel grinding method. A plane molding core was ground using conventional and feedrate control grinding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feedrate control method was evaluated by measurement of surface roughnes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was reduced to 1.5 nm,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grinding method.

1매의 구면 SELFOC 렌즈와 1매의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광학계의 설계 (Optical System Design Composed of Spherical SELFOC Lens and Aspherical Plastic Lens for Mobile Phone Camera)

  • 이용선;이종웅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8-115
    • /
    • 2008
  • 구면 SELFOC 렌즈와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mobile phone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SELFOC 소재는 radial GRIN(gradient index) 분포를 가지며, 이것은 설계에 추가적인 자유도를 제공하므로, 비구면을 구면으로 대치할 수 있다. 두개의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로 구성된 통상적인 2P 광학계와 결상특성을 비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SELFOC 소재를 사용하여 1GRIN 1P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1GRIN 1P의 성능보다 통상적인 2P 광학계의 성능이 좋았다. 1GRIN 1P 설계에서 성능은 GRIN 소재의 굴절률 구배에 의지하므로 굴절률 구배가 클수록 좋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므로 큰 굴절률 구배를 갖는 가상의 GRIN 소재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현재 시판되는 SELFOC 소재보다 3배 정도 굴절률 구배가 큰 GRIN 소재가 개발된다면, 1GRIN 1P 광학계의 성능이 통상적인 2P 광학계의 성능과 유사하거나 더 좋아 질 것이다.

ASPHERIC LENS 금형개발

  • 김부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47
    • /
    • 1992
  • 물체공간의 한점에서 출발하여 광학계에 입사한 광속은 전부 상공간의 한점에서 집속되고 물체공간의 점 과 상공간의 점은 1:1로 대응해야 하나 현실의 광학계는 필히 수차가 존재하기때문에 이상 결상을 맺지 못다. 이러한 원인으로 생기는 수차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 할 수 없을때 비구면 LENS를 사용한다. 비구 면 LENS는 축대칭성을 갖고 단면형상이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곡면을 갖는 LENS로 종래의 구면체로 구성 된 광학계에서 보정될 수 없었던 수차를 근본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비구면 LENS를 사용하므로써 화질 의 향상을 기할 수 있고 LENS 매수를 줄임으로써 LENS계 전체의 COMPACT 화, COST DOWN, 중량경감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장점이 있는 비구면 LENS가 사용되지 못했던 것은 설계기술보다는 생산기 술에 있었는데, 최근 비구면 LENS 가공이가능한 기계와 LASER를 이용한 측정기술, MOLD MASTER에 의한 사출기술이 발전함에따라 PLASTIC LENS의 양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에서는 신 제품 개발능력 확보와 제품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한 비구면 LENS 금형의 초정밀가공 정도 (비구면 가공정도 : FORM ERROR 0.2 .mu. m 이하) 달성방법과 측정평가에 대해 논했다.

정밀모형안을 이용한 Head Mounted Display용 렌즈계 설계 (Lens system design for head mounted display using schematic eyes)

  • 박성찬;안현경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6-24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구면수차와 Stiles-Crowford 효과를 고려하여 인간의 눈을 모델링한 정밀모형안과 등가인 렌즈모듈 모형안의 설계에 관하여 논의하였고, 렌즈모듈 모형안을 적용한 Head Mounted Display(HMD)용 광학계를 설계 및 평가하였다. HMD용 광학계에서 요구되는 소형화, 고성능 및 고해상도 등의 필수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회절광학소자와 비구면을 이용하여 색수차와 단색수차를 보정하였다. SVGA급 480,000화소를 갖는 0.47 인치 micro-display, 플라스틱 hybrid 렌즈, 그리고 렌즈모듈 모형안으로 HMD용 광학계를 구성하였다. 설계된 광학계의 초점거리는 31.25 mm, FOV는 24H$\times$18V$\times$30D degrees, 그리고 전장길이는 59.1 mm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HMD에 유용한 광학계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