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7초

칡뿌리의 유리당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 Sugar and Amino Acids in Korean Arrowroot)

  • 신수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
    • /
    • 1997
  • 칡뿌리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의 개발에 필요한 과학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료를 시기별(7월, 11월, 2월), 형태별로 나누어 재료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취시기에 의한 일반성분의 조성은 비슷하였으며 수분의 함량은 $60\sim70%$의 범위로 암칡에 많이 함유되었다. 유리당의 조성은 설탕이 주요 유리당이었으며 그 외에 과당, 포도당, ribose로 함유되어 있고 시기별로는 11월과 2월 칡시료에 많고 암칡에 더 많이 함유되었다. 총아미노산의 조성은 pro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게 나타났다. cysteine과 methionine이 미량 함유되었다.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이 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2월 암칡을 제외하면 모든 재료에서 약 50mg%이상 함유되었으며 histidine, alanine, serine, glutamic acid가 소량이었고 다른 유리아미노산들은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lation of Soya-cerebroside I from the Roo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 Kim, Ju-Sun;Byun, Ji-Hye;Kang, Sam-S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27-32
    • /
    • 2001
  • In addition to known cucurbitacins, a glucosphingosine type cerebroside and amino aci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The structure of cerebroside was determined as soya-cerebroside I by means of spectroscopic methods. Fifteen amino acids were identified as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histidine, citrulline, threonine, alanine, proline, tyros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tryptophan, among which the major components such as citrulline, phenylalanine, leucine/isoleucine and valine were isolated.

  • PDF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질(脂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 (Lipid Oxidation and Proteolysis of Anchovy Pickle during Ripening)

  • 송영옥;변대석;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82
  • 멸치젓의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가 젓갈제품중(製品中)의 양성분(兩成分)의 조성(組成)에 어떤 영향(影響)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脂肪)의 산화과정(酸化過程)은 TBA값, 카아보닐값, 과산화물(過酸化物)값으로, 그리고 단백질(蛋白質)의 분해과정(分解過程)은 단백태질소(蛋白態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 휘발성염기질소(揮發性鹽基雲素)를 각각(各各) 분석(分析)하므로서 검토(檢討)하였다. 그리고 생(生)멸치와 멸치젓갈의 청(請)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과 체단백질(體蛋白質) 구성(構成) 아미노산(酸) 및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도 측정(測定) 검토(檢討)하였다.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質)은 주(主)로 숙성(熟成) 초기(初期)에 산화(酸化)가 진행(進行)되었으며, 단백질(蛋白質) 또한 초기(初期)에 급속(急速)히 분해(分解)되었으나 숙성경과(熟成經過)와 더불어 분해속도(分解速度)가 완만(緩慢)하여졌다.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의 조성(造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생(生)멸치의 지질중(脂質中)에는 포화산(飽和酸)은 주(主)로 $C_{16:0}$산(酸)과 $C_{18:0}$산(酸) 및 $C_{14:0}$산(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들 세 포화산(飽和酸)이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8%, 그리고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22:6}$산(酸)과 $C_{18:1}$산(酸) 및 $C_{16:1}$산(酸)이 주(主)로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들 세 불포화산(不飽和酸)은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8.7%를 차지하였다.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포화산(飽和酸)에 속(屬)하는 $C_{14:0}$산(酸)과 $C_{16:0}$산(酸)이 전(全)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0%를 차지하여 생(生)멸치일 때보다 훨씬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불포화산중(不飽和酸中) $C_{22:6}$산(酸)과 $C_{20:5}$산(酸) 및 $C_{20:1}$산(酸)은 숙성(熟成)된 젓갈시료(試料)에서는 대폭(大幅) 감소(減少)하였으며, 젓갈시료중(試料中)에 많은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16:1}$산(酸)과 $C_{18:1}$산(酸)으로서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를 차지하였다. 생(生)멸치의 체성분(體成分)을 이루는 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alanin은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으며, tryptophan, methionine, tyrosine, serine, phenylalanine 등(等)은 그 함량(含量)이 낮았다. 생(生)멸치중(中)의 필수(遊離)아미노산(酸)에는 histidine, alanine, leucine, lysine, arginine이 많은 양(量)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등(等)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젓갈로 숙성(熟成)시켰을 때 두드러지게 증가(增加)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aspartic acid, glycine, glutamic acid, isoleucine, valine이었고, 반면(反面)에 감소(減少)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histidine이었다.

  • PDF

야생 돌복숭아 씨와 과육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5-131
    • /
    • 2007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92% 와 75.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7.85%, 12.77%, 수분 3.61%, 4.69%, 조지 방이 1.21%, 4.80% 그리고 조회분이 3.41%와 2.63%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복숭아 씨 중의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3,444.35 mg%로 이 중 aspartic acid가 681.10 mg%, glutamic acid 495.48 mg%, alanine 283.66 mg%, serine 251.36 mg%, proline 229.80 mg%, lysine 192.31 mg% 및 leucine이 191.34 mg%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돌복숭아 과육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1,064.02 mg%로, aspartic acid 250.15 mg%, glutamic acid는 129.63 mg%로 과육의 주요 총 아미노산이었고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ser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돌복숭아 씨 중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215.34 mg%로, 이 중 glutamic acid가 827.25 mg%로 가장 많았으며, threonine, valine, $\beta-aminobutyric$ acid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 중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83.82 mg%로, glutamic acid(339.49 mg%)가 대부분 이었으며, serine, proline, alanine, $\gamma-amino-n-butyr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2.49%, 단불포화지방산 13.1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74.36%의 함유비율을 보였으며, 필수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속 잎의 성분 분석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 황병호;조재현;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
    • /
    • 2000
  • 침엽수 속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류 4수종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는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비교적 많은 1534 IU로 나타났으며, 비타민 C는 해송에서 158 mg%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4수종에서 19종이 분석되었으며,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icd는 4수종에서 다량 분석되었고, 특히 리기다에서 23.86%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glutanic acid, leueine, arginine, aspartic acid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분석되었고, 이들 중에는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Rut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헤송 잎이 10.34%로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 5.61%, 소나무 3.76% 그리고 리기다 1.3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고 침엽수 4수종중 소나무에서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A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방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해송과 잣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수종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나무잎의 일반 및 특수성분들이 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건강식품개발을 위해서는 풍부한 원료자원면이나 식품영양학측면에서 소나무 잎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자료는 우선 솔잎가공식품 분야와 임산화학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공기가 포화된 인공해수에서 몇 가지 아미노산의 구리 부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a Few Amino Acids on the Corrosion of Copper in Aerated Artificial Sea Water)

  • 김연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680-686
    • /
    • 2010
  • 인공해수에서 일어나는 구리의 부식에 대하여 알라닌, 아스파라긴, 아스파틱산, 글루타민 그리고 메티오닌의 부식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아미노산들의 흡착은 흡착 분자들의 상호작용 때문에 Temkin의 logarithmic isotherm이 잘 적용되었으며, 부식억제 효율은 아미노산의 농도에 의존하였다.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 이규선
    • 약학회지
    • /
    • 제23권3_4호
    • /
    • pp.153-158
    • /
    • 1979
  • Free amino acids in extract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of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were analyzed by an amino acid autoanalyzer. Twenty amino acids were analyzed in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1) of all free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alanine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glutamic acid, serine, arginine, proline and histidine in that order. Of all total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glutamic acid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proline, valine, aspartic acid, alanine, leucine in that order. Especially Russula fragilis and Lepiota procera contain large quantity of glutamic acid. 2) Gros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the extracts is high in order of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Tylopilus felleu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is high in Phylloporus rhodoxanthus, Lepiota procera, Russula fragilis, Lentinus lepideus. 3)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in the extracts was high in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Tylopilus felleus, Xylaria hypoxylon, Lentinus lepideus, Russula fragilis, Lactarius piperatus and Calocybe gambosa and in the hydrolysates of Phyllopa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Lepiota procera, Tylopilus felleus, Lentinus lepideus, Lactarius piperatus, Calocybe gambosa and Xylaria hypoxylon in that order, respectively.

  • PDF

천연 및 양식산 담수어의 식품성분 (Food Components of Wild and Cultured Fresh Water Fishes)

  • 김경삼;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11
    • /
    • 1986
  • 한국산 양식어의 식품성분을 개선하기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 가물치, 잉어를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고, 식품성분에 관하여 분석비교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담수어의 일반 성분중 공통적 특징은 천연산은 조단백질 함량이 많고 양식산은 조지질 함량이 많았다. 2. 천연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육 중의 무기질중 나트륨, 칼리움, 칼슘, 마그네슘 등은 분석한 9종의 무기질 총량의 $99.75{\sim}99.90%$를 차지하였으며, 양식산에서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52{\sim}99.92%$의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68{\sim}99.92%$로 많았다. 3. 지질획분은 중성지질이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55.7{\sim}95.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가물치는 인지질이 $24.5{\sim}41.5%$로서 뱀장어, 잉어에 비하여 많았다. 4. 천연산 및 양식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85.0{\sim}95.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 free sterol 및 sterol ester, hydrocarbo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5. 뱀장어와 잉어의 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71.3{\sim}83.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of $12.1{\sim}23.5%$, phosphatidyl serine이 $2.1{\sim}9.8%$로 소량 확인되었다. 또한 가물치의 인지질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50.7{\sim}64.5%$로서 그 함량이 뱀장어와 잉어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phosphatidyl choline은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그 함량이 많았으며 phosphatidyl ethanolamine 및 phosphatidyl serine은 양식산이 많았다. 6.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천연산은 $C_{16:0},\;C_{20:5}$가 많았고, 양식산에는 $C_{18:1},\;C_{18:2}\;,C_{22:6}$이 많았다.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과 유사하였으며, 인지질은 양식산이 $C_{18:1}$$C_{18:2}$가 많았고, 또한 당지질은 천연산이 $C_{20:5}$$C_{22:6}$이, 양식산은 $C_{18:2}$가 많았다. 7. 양식어와 이들 사료중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mono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의 함량이 높았고, 포화산과 poly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이 낮은 경향이었다. 8.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6.65\%$$15.99\%$로서 양자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leucine, aspartic acid, lysine 순이었다. 가물치는 천연산이 $18.06\%$이며, 양식산은 $18.52\%$이며 천연산은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및 leucine은 많았으며 양식산은 aspartic acid 및 proline이 많았다. 또한 잉어는 천연산이 $16.94\%$, 양식산은 $20.95\%$로서 양식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proline 및 alamine이 천연산에 비해 그 함량이 다소 많았으나 이외의 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9. 양식산 뱀장어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가 총 유리아미노산의 약 $1.0\%$였으나 천연산은 $2.9\%$를 차지하였다. 반면 histidine, arginine 및 tyrosine등은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약 2배 가량 많았다. 그러나 양식산지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물치의 경우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methionine, phenylalanine 함량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그 함량이 많았으나 lysine, histidine, glycine 및 alanine은 그 반대였다. 천연산 잉어의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ne, glycine 및 lysine 함량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6.9\%$를 차지하였다. lysine, histidine, aspartic acid, alanine, valine 및 leucine은 양식산에 비해 천연산의 함량이 많았으나 glycine과 tyrosine은 그 반대였다. 10. 양식 뱀장어 육중의 유리아미노산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 사료중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다.

  • PDF

옥돔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SCIDS OF YELLOW SEA BREAM B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DURING DEHYDRATION)

  • 하진환;이응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80
  • 제주도에서 즐겨 먹어온 전통적인 수산식품중의 하나인 옥돔, E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생원료와 건조옥돔에서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분리 고정할 수 있었다. 생원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lanine, threonine, arginine이고 그 다음이 taurine, serine,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leucine이고 valine,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적었고 특히 aspartic acid와 histidine은 그 함량이 제일 적었다. 옥돔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생원료에 비하여 $40\%$ 증가하였다. 건조옥돔에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중 lysine이 $18.4\%$, alanine 이 $14.7\%$, glutamic acid가 $8.8\%$, arginine이 $7.3\%$로서 이들4종 아미노산이 전 유리아미노산의 $48.4\%$를 차지하였다. 또 건조중 특히 많이 증가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각각 2.9배, 2.1배 증가하였으나 taurine과 histidine은 $48\%,\;44\%$씩 감소하였다. 건조옥돔의 유리아미노산 중에는 좋은 맞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TMAO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복합적으로 건조옥돔의 독특한 맛에 중요한 구실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아미노산의 광학이성화 및 GC, GC/MS, HPLC에 의한 광학이성질체의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cemization of Amino acids and its Separation with GC, GC/MS and HPLC)

  • 이재성;홍종기;어연우;김택제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41-52
    • /
    • 1994
  • 아미노산 중 alanine, threonine, isoleucine, leucine, aspartic acid, methionine, glutamic acid, tyrosine을 대상으로 열처리, 산처리, UV 광선 조사, 효소(trypsin)의 영향을 살펴보고 6N-HCl, $105^{\circ}C$로 가열했을 때 이성화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할 때 각 아미노산의 fragment되는 과정을 조사하여 GC에서 서로 겹칠 때 분석하는 법을 개발하였다. HPLC에서 cyclodextrin bonded phase를 이용해서 dansyl amino acid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