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 BOULENGER 의 초기발생단계에 있어서의 유리 아미노산의 정성분석 (Quality Analysis of the Free Amino Acids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Stages of Hynobius leechi)

  • 강영선;하두봉;한원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19
    • /
    • 1961
  • Free amino acids at five different developemntal stages (Gastrulation-Hatching -out stage) of Hynobius leechi BOULENGER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the use of paper paitition chromatograph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free amino acids increased as the development proceeded. The free amino acids identified at each stages are as follows : Gastrulation stage : Alaninie, Aspartic acid, Glutamin acid, Histidine, Methionine. Neural plate formation stage : Alanine ,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MEthionine, Phenylalanine, Proline, Serine, Trypotophan. Middle tail-bud stage : Alanine, Arginine, Asparagine,Aspartic acid, Citrulline,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e,Hydroxyproline, Proline, Leucine, Methionine, Ornithine, Phenylalanine, Serine, Threonine, Tryptophan. Late tail-bud stage : Alanine, Arginine, Asparagine, Aspartic acid, Citrulline,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Hydroxyproline, Leucine, Methionine, Ornithine, Phenyl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Tryptophan, Valine. Hatching -out stage : the same with the late tail-bud stage. It seems probable that the metabolic systems of amino acids before and after the middle tail-bud stage a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fore the middle tail=-bud stage, the reaction system of amino acids is thought not to be completed while after that stage the system has been completed , because in the former period of the development , the number of freeamino acids increased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 and after that stage, there is practically no change in the number of free amino acids.

  • PDF

부숙식물유체(腐熟植物遺體)에서 추출(抽出)한 Fulv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 용액중(溶液中)의 Amino 산함량(酸含量) (Amino Acid Contents in the Hydrolysates of Fulvic Acids Extracted from Decomposing Plant Residues)

  • 김정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8-192
    • /
    • 1990
  • 볏짚, 보릿짚, 밀짚, 호밀짚의 4가지 작물유체(作物遺體)와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針葉樹) 낙엽등(落葉等) 7가지 식물유체(植物遺體)를 부열(腐熱)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추출(抽出)한 fulv산(酸)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amino산(酸)을 정량분석(定量分析)한 결과(結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histidine, lysin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serine, threonine, proline, methionine 등(等) 16종(種)의 amino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1. 부숙(腐熟) 90일(日)후에 유출(抽出)한 fulvic acid중에는 0.15% 내지 0.53%의 amino산(酸)이 함유되어 있었고, 산야초(山野草)에 가장 많이 그리고 밀짚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Humic acid의 함량에 비해 1/5내지 1/31의 정도로 함랑이 적었다. 2. Neutral amino acids, acidic amino acids, basic amino acids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 부숙화(腐熱化)가 잘된 시료(試料)에서는 argi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4. Aromatic amino acid인 phenylalanine과 tyrosine은 일반적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5. Glycine,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주요 amino acid였으며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를 제외하고 비교해 본 결과, 각 amino산중(酸中)에서 분자량(分子量)이 낮을수록 함유된 농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유자중(柚子中) Amino Acids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ontents of Amino Acids in Citrus Junos Sieb)

  • 정지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2호
    • /
    • pp.175-180
    • /
    • 1972
  • 유자(柚子)의 성분(成分)인 Amino acid의 함유량(含有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유자(柚子)와 하귤(夏橘)을 각각(各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유자(柚子)나 하귤중(夏橘中)에 총(總) Amino acid수(數)는 3종(種), 합(合)하여 20종(種)에 달(達)하였다. 2. 과피율(果皮率)에 유자(柚子)와 하귤(夏橘)의 Amino acid 함유량(含有量)은 전자(前者)에 Proline 16.48mg/100mg, 후자(後者)에는 Aspartic acid 32.68mg/100mg이 각각(各各) 최고(最高)이며 Histidine은 공(共)히 함유량(含有量)이 적었다. 3. 과육중(果肉中)에는 유자(柚子)의 경우 Aspartic acid 32.68mg/100mg, 하귤(夏橋)은 Proline 20.92mg/100mg로 가장 많았고, 전자(前者)에 Histidine 1.32 mg/100mg, 후자(後者)에는 Tyrosine 1.18mg/100mg로 비교적(比較的) 적었다. 4. 유자(柚子)나 하귤중(夏橘中)에는 Amino acid중 일반(一般)으로 Aspartic acid, Proline의 함유량(含有量)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고 Histidine이 가장 적게 들어 있으며 과육중(果肉中)에는 과피(果皮)보다 각종(各種) Amino acid 함유량(含有量)이 많고 그 중에서도 Glutamic acid가 다른 Amino acid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

  • PDF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Amino Acid Composition Changes in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 송범석;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1-68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재배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 별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0일차 원료콩의 전체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 3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쥐눈이는 5일 이후 그리고 나머지 품종들은 3일째 이후부터 배축과 뿌리의 aspartic acid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자엽의 glutamic acid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aspartic acid 함량비는 부위별로는 배축, 뿌리, 자엽의 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유태, 백태, 쥐눈이, 수박태 순으로 높았다.

한국산(韓國産) 주요과채류(主要果菜類) 및 과실류(果實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토마토.수박.참외.복숭아.자두중(中)의 유리(遊離)아미노산 및 당(糖)의 함량(含量)-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On the Free Amino Acid and Sugar Contents in Tomato, Watermelon, Muskmelon, Peach and Plum)

  • 이희봉;양차범;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6-43
    • /
    • 1972
  • 여름철 즐겨먹는 토마토, 수박, 참외, 복숭아, 자두중(中)의 유리(遊離) amino 산(酸) 및 당(糖)을 Amino acid Autoanalyzer와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해 분석(分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과즙중(果汁中)에서 동정(同定)된 amino산(酸) 종류(種類)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serine, asparagine, lysine, valine, glycine, methionine, histidine, thereonine, leucine, isoleucine, proline, arginine의 15개(個)였고 그밖에 1개(個)의 unknown이 발견 되었다. 2) 토마토, 복숭아, 자두 중(中)에는 10개(個)의 amino산(酸)이 수박과 참외(가식부(可食部))중(中)에는 13개(個)의 amino산(酸)이, 그리고 참외(과피부(果皮部))에는 11개(個)의 amino산(酸)이 함유(含有)되었다. 3) 일반적(一般的)으로 이러한 amino산(酸)들은 소량이지만 골고루 함유(含有) 되었다. 4) 토마토에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含有)되었고, 수박에는 asparagine과 lysine이, 참외에는 alanine, serine, aspartic acid가 그리고 복숭아와 자두에는 aspartic acid와 serine이 가장 많이 함유(含有)되었다. 5) 과즙중(果汁中) 유리당(遊離糖)은 다같이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의 4개(個)가 함유(含有)되었고 그중(中) glucose와 fructose는 다량(多量)이고 sucrose, maltose는 소량(少量)이었다.

  • PDF

비중선별(比重選別) 현미중(玄米中) 유리 Amino산 함량 (Free amino acids of brown rice in relation to specific gravity grade)

  • 박훈;전재근;조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35-40
    • /
    • 1972
  •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deembryod brown rice of two varieties were investigated by amino acid autoanalizer in relation to specific gravity grade. The analytical methods of free amino acid were also discussed. 1) The low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unhulled rice the higher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in the deembryod brown rice, and the similar trend appears to hold on each amino acids. 2) Main free amino acids were serine+asparag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and valine, and maximum values of them were 7.3, 5.1, 4.0, 3.4, 0.9mg/100g rice, respectively. They consist about 85% of total free amino acids in most cases. 3) The contents of soluble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ppear to be lower in high protein variety (IR 667) than in low protein variety (Jinhung). The percentage of free amino acid nitrogen to soluble nitrogen, however, appears to be higher in high protein variety (IR 667). 4) Alanine was much lower than aspartic acid in IR 667 having Indica blood while alanine appears to be higher than aspartic acid in Jinhung (Japonica rice) suggesting varietal difference in amino acid metabolism. 5) Threonine peak was overlaped with glutamine, and serine was with asparagine in this study.

  • PDF

피맥품종별(皮麥品種別) 정맥중(精麥中)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Varietal Difference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Polished Barley)

  • 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9-135
    • /
    • 1976
  • 대맥(大麥) 16개(個) 품종(品種)(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최고(最高) 15.4%에서 최저(最低) 6.1%)의 정맥중(精麥中) amino산(酸)의 조성(組成)과 이들 상호간(相互間) 및 이들과 단백질(蛋白質)과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는 다음과 같았다. 1) 제한(制限) amino 산(酸)은 lysine 이었으며 threonine과 tyrosine이 적고 leucine과 phenylalanine이 특히 많은 편이며 필수(必須) amino산(酸) 총량(總量)은 많은 편이다. 2) 단백질(蛋白質)은 단백질당(蛋白質當) amino산(酸) 함량(含量)과의 상관(相關)에서 lysine, arginine, total basic amino acid와 1%수준에서 threonine, alanine 및 aspartic acid와 5%수준에서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phenylalanine과 1%수준에서 proline, cystine과 5%수준에서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갖는다. 3) Lysine은 arginine 및 aspartic acid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이므로 대맥(大麥)에서도 aspartic acid가 lysine 대사에 관련됨을 시사하며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 또는 다비조건(多肥條件)은 aspartic acid pool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로 lysine이 적어지는 것같다. 4) Lysine은 색소결합능(色素結合能)(Dye binding capacity)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r=0.7377^{**})$ 5) Tryptophan은 histidine, 염기성 amino산총량(酸總量) 및 arginine 과만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6) 필수(必須) amino산(酸) 중(中) lysine, tryptophan, threonine, valine은 같이 증감하며 함황(含黃) amino산(酸)과 방향성(芳香性) amino산(酸) 및 isoleucine, leucine은 이들과 반대로 증감한다.

  • PDF

한국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섬유질, 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분석 (Content Analyses of Fiber, Protein and Amino Acids of Fully Ripe Fruits of Korea Native Squash, Cucurbita moschata Poir)

  • 윤선주;전하준;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03-408
    • /
    • 2004
  • 한국산 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총세포벽 물질, 펙틴, 총단백질,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과육의 단백질 함량은 ‘제주 2’가 $2,830\;{\mu}g/g$으로 가장 높았고 '상주'는 $1,319\;{\mu}g/g$으로 가장 낮았다. 세포벽물질은 ‘강화’가 2,961 mg%로 가장 높았고, '남해'는 1,582 mg%로 가장 낮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의 함량은 ‘강화'(2,198 mg%), '제주 2'(2,178 mg%) 및 ’제주 1'(1,461 mg%)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은 수용성과 불용성 펙틴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함량조성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및 valine이 주를 이루어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특이하게도 '제주 2'는 aspartic acid와 threo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완숙과 호박의 과육 내 유리 아미노산은 8종의 필수아미노산(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methionine, threonine 및 valine)을 비롯해 총 34종류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중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이뇨작용과 관련된 ornithine, citrulline, arginine이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었으며 ornithine과 citrulline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arginine은 ‘남해’가 4.3 mg%이었으며, ‘태안’이 29.34 mg%로 품종간에 7배의 큰 차이를 보였다.

굴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Glycogen and Protein in Pickled Oyster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김장양;변재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6-71
    • /
    • 1981
  • 굴의 주요구성분인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굴젓갈 숙성중의 분해과정과 분해생성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글리코겐의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의 생성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의 젓갈 숙성 전후의 구성변화 및 유리환원당과 유리아미노산간의 첫갈숙성조건에서의 반응성의 지표로서 유효성라이신의 양의변화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글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은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에로 분해하여 갔으며, 유효성라이신의 양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생굴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이 많았으며, tryptophan과 methionine, histidine 및 tyrosine은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굴젓갈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생굴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 valine과 histdine isoleucine 및 lysine이 감소된 것이 주목을 끌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을 보면 생굴중에는 proline,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이 특히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생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약 $69\%$에 달하였다. 그리고 젓갈중에는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유리아미노산은 전체 굴 젓갈 유리아미노산의 약 $65\%$에 달하였다. 굴젓갈 숙성중에 증가한 유리아미노산은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isoleucine, tyrosine등을, 그리고 감소한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leucine등을 들 수 있었다.

  • PDF

도 건전엽과 도열병에 있어서의 Free Amino Acid 함량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free amino acid content between healthy leaves and blasted leaves of rice plants.)

  • 백수봉;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1968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the diseased and healthy leaves of the resistance and susceptible rice varieties, to blast by means of paper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healthy and diseased leaves, the former was founded nine to tell sorts of free amino acids and later was observed eleven. In the both of leaves, alanine and valine were contained in larger amount, and aspartic acid, glycine and arginine were found relatively less in general. (2) In the diseased leaves, the amino acids were increased in quantity, especially glutamine and aspartic acid were remarkable, and cystine were found only in the diseased ones. (3) It seems to that the health leaves in all varieties were observed the amino acid contents, in notably increase and decrease, but in the diseased ones were not changed in amount. Tatacho, susceptible variety was more contained the amount of glutamine and aspartic acid than Zenith, resistance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