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

검색결과 1,239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ABOMASAL INFUSION OF ALANINE AND ASPARTIC ACID ON GROWTH HORMONE SECRETION IN SHEEP

  • Tanizawa, K.;Ashida, K.;Hosoi, E.;Matsui, T.;Yano,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467-470
    • /
    • 1994
  • Effects of animo acids infusion into the abomasum on plasma growth hormone (GH)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ree wethers of 54 kg of average body weight. Wethers were infused with either 3.25 mmol/kg BW/day of sodium chloride solution (control), 3 mmol/kg BW/day of alanine (Ala), or 3 mmol/kg BW/day of aspartic acid (Asp) continuously for five days through an abomasum cathether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ng. On the day of starting infusion (day 0) and day 4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jugular vein every fifteen minutes for six hours after feeding, and their GH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lood samples were also collected immediately before starting infusion (day 0), and before feeding of day 1, day 2 and day 4, and their plasma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he animals infused with Ala, plasma free Al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Ala infusion and it continued for four days. Plasma GH concentration of these animals increased on day 0, but this phenomenon disappeared on day 4. In the animals infused with Asp, the increase in plasma Asp concentration was observed only on day 1. Plasma GH concentration of these animals was not affected by Asp inf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Ala infusion stimulates GH secretion for a short period, but the effect would not last long, and that continuous Asp infusion does not affect plasma GH concentration.

Changes i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mmune blood profiles, fecal microbial and fecal gas emission of growing pigs in response to zinc aspartic acid chelate

  • Jiao, Yang;Li, Xinran;Kim, I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597-60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zinc aspartic acid chelate (Zn-ASP)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fecal microbial and fecal gas emission in growing pigs. Methods: A total of 160 crossbred ([Landrace×Yorkshire]×Duroc) growing pig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25.56±2.22 kg were used in a 6-wk trial.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 of 4 treatments according to their sex and BW (8 replicates with 2 gilts and 3 barrows per replication pen).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CON, basal diet, ii) TRT1, CON+0.1% Zn-ASP, iii) TRT2, CON+0.2% Zn-ASP, and iv) TRT3, CON+0.3% Zn-ASP. Pens were assign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o compensate for known position effects in the experimental facility. Results: In the current study, BW,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s dietary Zn-ASP increased (p<0.05) in growing pigs.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was increased linearly (p<0.05) in pigs fed with Zn-ASP diets. A linear effect (p<0.05) was detected for the Zn concentration in bloo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Zn-ASP supple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were affected linearly (p<0.05) in pigs fed with Zn-ASP die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TTD of nitrogen, energy and Zn. And dietary Zn-ASP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fecal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total mercaptans emissions in growing pigs. Conclusion: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Zn-ASP of diet exerted beneficial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and fecal microbes in growing pigs.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Thunberg) during Growth)

  • 김종국;이원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37
    • /
    • 2002
  • 상주둥시 감잎의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성장시기 별 감잎의 유용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감잎의 적절한 채취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잎의 수분함량은 새잎이 나기 시작하여 성장초기인 5월 5일경에는 79.65%를 보이다가 성장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지방과 조섬유 및 회분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다소 증가 하였으며 조단백질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잎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raffinose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으며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비슷하였고 raffinose는 미량 존재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 levulenic acid, magic acid 및 citric acid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다. 감잎에 함유되어 있는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phenylalanine 및 val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탄닌과 vitamin C 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월 20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 PDF

미꾸라지의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김희숙;이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6-300
    • /
    • 1985
  • 1984년 6월 26일 경상남도 기장읍에서 구입한 미꾸라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꾸라지의 총질소중 단백태질소는 2189.1mg%, 유리아미노태질소는 408.1mg%, 휘발성염기질소는 46.3mg%를 차지하였다. 2. 미꾸라지의 구성아미노산조성은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proline, aspartic acid,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glutamic acid는 1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 총 정제지질중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인지질, 당지질순이었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포화지방산과 monoene 산이 많았으며 주요지방산은 16:0, 16:1, 18:1 산이었다. polyene산에서는 18:2 산이 많았다.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중성지질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인지질에서는 중성지질이나 당지질보다 포화지방산과 polyene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o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 김봉순;최옥자;심기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81-686
    • /
    • 2005
  •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catechin, chlorophyll 및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동백 잎의 조단백과 조지방 및 ascorbic acid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 당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총함량은 증가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구성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총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동백 잎에 함유된 무기질은 P, Ca, K, Na, Fe등으로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동백 잎의 chlorophyll 함량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성분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8-492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생강나무잎을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여러가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차의 환원당, 유리당 및 아미노산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강나무잎차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4종의 유리당이 동정되었으며, 덖음차에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sparagine, glycine 등이 대체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덖음처리한 생강나무잎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11.6 mg/100g(덖음차), 101.5 mg/100g(찐후덖음차)로 가장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 phosphoserine, $\alpha$-aminobtyric acid, $\beta$-aminobutyric acid, anserine 등은 함량이 높았으며, 제조방법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미숙 복숭아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 이주백;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3
    • /
    • 2008
  • 4월 20일과 5월 2일 적과된 미숙 복숭아의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평균중량은 각각 $4{\sim}6g$, $10{\sim}15g$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ir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기산의 구성비가 변화하였다. 적과시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arabinose가 검출되었으며, 부위별로 유리당 조성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4월 20일과 5월 2일 과육부 당의 주체는 arabinose와 sucrose이었으며 과피부의 당의 주체는 각각arabinose와 glucose 및 sucrose 이었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로서 함량이 가장 높아 전체 아미노산의 $22{\sim}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roline, glutamic acid, serine, leucine, Iys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중 K의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Ca, Mg, Na 순이었다.

제조과정에 따른 자소엽의 화학적 성분 및 자소숙수의 기호적 특성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by the Making Process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 김성미;정현숙;최옥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scuta Kudo) according to the making process, and to examine Hunter's color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by extraction time. Perilla leaves were prepared in three types; fresh leaf, dried leaf in the shade and roasted leaf after being dried in the shade in order to make Jasosuksu.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ee sugars(sucrose, glucose, fructose) and organic acids(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were present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15{\sim}16$ 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aspartic acid were determined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ser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The major total amino acids of til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were glutamic acid, histinine, and glycine. The major fatty acids of Perilla leaves were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content ratio of linolenic acid in fresh leaves was the highest, but that of palmitic acid was lower than that of dried leaves and roasted leaves. L value, a value, and b value of Perilla leaf were the highest in the roasted leaves followed by the order of dried leaves and fresh leaves. L value and b valu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ere higher than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sweetness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0 min. at $70^{\circ}C$, but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5 min. at $70^{\circ}C$.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tast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higher than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 PDF

옥돔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SCIDS OF YELLOW SEA BREAM B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DURING DEHYDRATION)

  • 하진환;이응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80
  • 제주도에서 즐겨 먹어온 전통적인 수산식품중의 하나인 옥돔, E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생원료와 건조옥돔에서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분리 고정할 수 있었다. 생원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lanine, threonine, arginine이고 그 다음이 taurine, serine,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leucine이고 valine,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적었고 특히 aspartic acid와 histidine은 그 함량이 제일 적었다. 옥돔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생원료에 비하여 $40\%$ 증가하였다. 건조옥돔에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중 lysine이 $18.4\%$, alanine 이 $14.7\%$, glutamic acid가 $8.8\%$, arginine이 $7.3\%$로서 이들4종 아미노산이 전 유리아미노산의 $48.4\%$를 차지하였다. 또 건조중 특히 많이 증가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각각 2.9배, 2.1배 증가하였으나 taurine과 histidine은 $48\%,\;44\%$씩 감소하였다. 건조옥돔의 유리아미노산 중에는 좋은 맞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TMAO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복합적으로 건조옥돔의 독특한 맛에 중요한 구실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특수미 품종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 및 열적 특성 (Fatty Acids, Amino Acids and Thermal Properties of Specialty Rice Cultivars)

  • 최인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405-1409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유색미, 향미, 거대배아미의 지방산 및 아미조산 조성과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이며, 특히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75~80%를 차지하였다. 아미노산은 품종 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분석되었으며, 적진주 품종인 경우는 cysteine과 GABA가 주요 아미노산이었고, 특히, 큰눈에는 cysteine과 GABA가 유의하게 높게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미의 호화특성을 DSC 분석한 결과, 찰성인 조생흑찰과 화선찰벼가 호화에 필요한 흡열 엔탈피(${\Delta}H$)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색미 품종인 흑진주와 적진주의 열적 특성인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및 호화종결온도가 일반 메성 쌀인 일품현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유색미 품종의 취반 특성이 일반 현미에 비하여 낮을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