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rbyl palmitat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레시틴의 산화방지 작용 (Antioxidative Effect of Commercial Lecithin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

  • 안태회;김종수;박성준;김현위;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1-255
    • /
    • 1991
  • 들기름의 산화안정성 향상을 위해 primary antioxidant로 이용한 몇 가지 상업용 레시틴에 토코페롤, 구연산, ascorbyl palmitate 등의 항산화제 및 상승제를 첨가하여 들기름의 산화방지 효과 및 상승효과를 AOM 시험과 OVEN 시험에 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AOM시간이 2시간인 들기름에 5%의 상업용 레시틴을 첨가했을 때 우제유사(迂製油社) I 제품만이 8시간인 것을 제외하고 AOM 시간이 16시간인 정제 대두유의 유도시간 보다 길었다. 레시틴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AOM 시험 조건에서의 산화안정성과 $60,\;37^{\circ}C$ OVEN 시험에서의 산화안정성은 유사한 실험결과를 나타냈다. 토코페롤은 일반 유지의 경우와는 다르게 ${\gamma}-rich-tocopherol$${\dalta}-rich-tocopherol$과 mixed tocopherol를 첨가한 경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들기름에 레시틴의 첨가량을 증가할 수록 유도시간이 증가되었으며 레시틴에 대한 토코페롤, 구연산, ascorbyl palmitate의 혼합물은 상승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Freeze-dried Liposomes Loaded with Ascorbyl Palmitate Enabling Anti-aging Therapy of the Skin

  • Lee, Sang-Kil;Lee, Jae-Hwi;Choi, Young-W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99-102
    • /
    • 2007
  • To prepare freeze-dried ascorbyl palmitate (AsP)-containing liposome which can protect the drug from moisture attack and be used instantly by mixing with water for anti-aging and skin whitening therapy, AsP was encapsulated into liposomes and freeze-dried with trehalose. The freeze-dried liposome formulations were characterized by measuring water contents, particle size, time required for complete reconstitution. With the freeze-dried liposomes, we performed the stability test under accelerated conditions, skin permeation and localization test. The measurement of the time to perfect reconstitution showed that the freeze-dried liposomes can be changed to their initial state rapidly and short term stability test of AsP in reconstituted liposomes under accelerated conditions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of AsP was considerably enhanced as compared to freshly prepared liposomes. The skin permeation and localization properties of AsP in reconstituted liposo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liposomal structures were maintained before and after freezedrying. In conclusion, the freeze-drying method provided a possible way to overcome the instability issue of AsP induced by the moisture and reproduced similar skin permeation and localization properties as shown by freshly prepared liposomes.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유채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박연보;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라면제조용 튀김유지로 사용되어온 돼지기름, 쇠기름과 팜유 등의 수입유지의 대체유로서 유채유의 사용 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절한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팜유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이들의 라면 튀김유로서의 산화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제로는 천연 토코페롤,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tertiarybutyl hydroquinone (TBHQ), 그리고 ascorbyl palmitate의 경우에는 구연산과 함께 각각 0.02%의 농도로 시판유채유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혼합유로서는 이상의 유채유에 정제팜유를 각각 30, 50, 7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실에서 튀겨서 만든 시제라면을 $35.0{\pm}0.5^{\circ}C$의 항온기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그 일부를 일정기간 마다 취하여 여기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아니시딘가, 유전항수와 불포화 지방산도 비율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그 변화들과 저장 중인 시제라면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등을 검토하여, 사용한 튀김유들의 산화안정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항산화제들의 튀김유로 사용한 유채유에 대한 항산화효과의 순서는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BHA>천연 토코페롤의 순서였다. 여기서 천연 토코페롤과 BHA는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약했으나.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했을 때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한편, TBHQ는 항산화제로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HQ를 0.02% 함유한 유채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이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성질로 추정할 때,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2. 한편, 혼합유로 튀겨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혼합유 중의 장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경우, 그 추출유지의 성질로 판단할 때 그 저장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그 예로서 팜유를 70% 혼합한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비슷했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돈지의 산패에 산화방지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Lard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이경행;육홍선;이주운;이현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47-1052
    • /
    • 1998
  • The effects of antioxidants such as ascorbyl palmitate(AP), tocopherol( Toc), BHA and ascorbyl palmitate+ tocopherol(AP+ Toc) on lipid peroxide formations in lard have been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gamma irradiation with the dose of 1~10kGy. Immediately gamma irradiation greatly increased the initiative oxidation of lard as expected. But antioxidants were found to be greatly effective in minimizing the radiation induced peroxidation of lard. The decreasing order of effects on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AP>AP+ Toc>BHA> Toc. Oxidation of lar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irradiation induced the acceleration of autooxidation. But the additions of an tioxidants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during storage were BHA> AP+ Toc> Toc>AP. Especially AP+ Toc mix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HA (p>0.05).

  • PDF

$\beta$-Glucosidase 처리된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Effect of Sesame Oil Cake Extract Treated from $\beta$-Glucosidase)

  • 손종연;강동우;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1-595
    • /
    • 2001
  • 참깨 탈지박에 다량존재하는 수용성 lignan화합물을 $\beta$-glucosidase로 처리하여 얻어진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과의 상승효과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참깨박 추출물 중에서도 sesamin 및 sesamolin이 peak가 확인되었으며, 각각 8.32%(8,315.4mg/100g) 및 0.28%(2,824.5mg/100g)의 함량을 나타냈다. Sesamin과 sesamolin은 배당체의 aglycone으로서 탈지박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같은 농도(100ppm)의 $\alpha$-tocopherol이나 ascorbyl palmitate 첨가구보다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나 BHA보다는 다소 약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가수분해 물은 $\alpha$-tocopherol과 강한 상승 작용을 보여주었으나 ascorbyl palmitate와는 비교적 약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아스코르빈산 팔미테이트를 함유한 리포겔의 피부 투과 및 잔류 특성 (Skin Penetration and Localization Characteristics of Lipogel Containing Ascorbyl Palmitate)

  • 이상길;우혜승;이연아;권용남;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4호
    • /
    • pp.225-232
    • /
    • 2001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 of liposome dispersed gel formulation (Lipogel) on topical delivery of ascorbyl palmitate (AsP). Neutral and negatively charged MLV liposomes containing AsP were prepared with dimyristoylphosphadtidylcholine (DMPC) and dicetyl phosphate (DCP), and dispersed to poloxamer gel matrix. In the hydrolysis study in rat's skin homogenates, AsP hydrolyzed to ascorbic acid (AsA) according to the first-order kinetics with the rate constant of $2.46{\times}10^{-2}\;min^{-1}$. In the passive skin penetration study using Franz diffusion cell, lipogel systems exhibited the greater values in the flux $(J_s)$ and the amount penetrated $(Q_p)$ compared to control hydrogels containing diethyleneglycol monoethyl ether $(Transcutol^{\circledR})$ as a solubilizing agent and a penetration enhancer for AsP. The total amount penetrated $(Q_{Total})$, which is expressed as a summation of $Q_P\;and\;Q_L$, for lipogel system was about 1.4 times higher in average than that of control hydrogel. However the amount localized in the skin $(Q_L)$ was similar in both formulations. As a result, lipogel system enhanced the skin penetration of AsP, possibly due to the increase in local concentration of AsP by preferential adsorption of liposome to the skin and the enhancing effect of phospholipid in liposome composition. Moreover it was expected that the penetrated AsP would generate AsA during skin penetration by the skin esterase. In conclusion, lipogel formulation was considered as a good candidate for topical delivery of AsP.

  • PDF

감마선 조사시 우지 산패억제를 위한 항산화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Tallow by Gamma Irradiation)

  • 이경행;육홍선;이주운;김성;김미정;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9
  • 우지에 항산화제로 ascorbyl palmitate (AP), ${\alpha}-tocopherol\;({\alpha}-Toc)$, BHA 및 ascorbyl $palmitate+{\alpha}-tocopherol\;(AP+{\alpha}-Toc)$을 첨가하여 $0{\sim}1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였고,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조사직후와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형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의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고, 억제 활성은 $AP>BHA>AP+{\alpha}-Toc>{\alpha}-Toc$로 AP가 초기산화 억제능을 가진 천연항산화제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자동산화를 상당히 촉진시키지만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과산화물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능은 $BHA>AP+{\alpha}-Toc>{\alpha}-Toc>AP$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장말기까지도 효과가 높았던 천연 항산화제 혼합물인 $AP+{\alpha}-Toc$은 BHA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 PDF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미강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강동호;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9-418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라면제조시 미강유를 튀김유로 사용했을 때, 그 산화 안정성에 대한 ${\alpha}-tocopherol$, BHA,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의 첨가효과와 미강유에 팜유를 가각 30, 50, 70%(w/w) 혼합한 혼합유의 경우 그 혼합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했다. 이상의 항산화제들은 미강유에 0.02%의 수준으로 첨가했으며, 혼합유의 경우에는 전술한대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했다. 이상의 기름으로 튀긴 시제라면들을 각각 30분식을 무색, 투명의 polypropylene 봉지에 넣어 $35.0{\pm}0.5^{\circ}C$의 항온기내에서 90일간 저장했다. 일정기간마다 각 시료구와 실험대조구에서 라면시료를 채취한 후 그 속의 유지를 추출하여, 추출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유전항수, 지방산조성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상의 측정치들의 변과를 토대로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과 시제라면의 저장 안정성을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조구와 각 항산화제 첨가구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유전항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에서 판단할 때 ${\alpha}-tocopherol$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한편 BHA는 약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한 경우와 TBHQ의 경우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특히, TBHQ를 0.02% 첨가한 미강유를 사용했을 경우의 그 산화 안정성은 팜유를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혼합유 시료구들의 경우, 튀김에 사용한 혼합유 중의 팜유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 산화 안정성은 증가했다. 즉, 팜유가 30% 혼합된 혼합유로 만든 시제라면의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은 미강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히 증가했다. 그리고 팜유가 70% 함유된 혼합유를 사용했을 경우 그 산화 안정성은 함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의 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 PDF

콩기름 및 콩기름-물 에멀젼기질(基質)에서의 마이얄형(型) 갈색화반응생성물(褐色化反應生成物)과 일부(一部)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from a Maillard Browning Mixture and Some Antioxidants in Soybean Oil and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s)

  • 맹영선;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282
    • /
    • 1981
  • 콩기름기질(基質)과 에멀젼기질(基質)에서 반응(反應) 2 및 30시간(時間) 후(後)의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抽出物)(M-2와 M-30, 각각 10 ml과 BHA, BHT, TBHQ와 ascorbyl palmitate (각각 0,02%, w/w)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를 비교(比較)하고저 하였다. Control 및 각(各) 기질(氣質)은 $45.0{\pm}0.5^{\circ}C$에서 저장(貯藏)되었으며, 5일(日)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과 TBA값을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주로 POV 측정결과(測定結果)에 의거한 무수기질(無水氣質)에서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TBHQ >> M-30, M-2 > BHT, TBHQ ,BHA 였으며, 에멀전기질(基質)에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 M-30, M-2 > BHT, TBHQ, BHA였었다. 한편,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추출물(抽出物)들은 무수기질(無水基質)에서 보다는 에멀전 기질(基質)에서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에멀전 기질(基質)에서는 그 효과(效果)는 phenol계(系)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인 BHT, TBHQ, BHA 보다 더 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