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해초류(Ascidians)에 공생하는 요각류 I. 동해의 해초류(Ascidians)에 공생는 요각류 1 미기록종 (Copepod Associated with Ascidians from Korea I. A New Record of Notodelphyid (Copepoda, Cyclopoida) Species from Ascidians in the east Sea, Korea)

  • 서인순;이경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9-304
    • /
    • 1995
  • Paranotodelphys villosus Ooishi, 1963, a symbiotic Copepoda, recovered from the ascidian, Ascidia sydneiensis samea (Oka) is reported from the East Sea, Korea.

  • PDF

Doropygus hoi, a New Species, and Redescription of Doropygus pinguls Ooishi, 1962 (Copepoda, Cyclopoida, Notodelphyldae) Associated with Solitary Ascidians in Korea

  • 서인순;이경숙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53-553
    • /
    • 1997
  • One new copepod species (Doropygus hoi n. sp.) i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taken from solitary ascidians collected from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the South Sea. Doropygus pinguis Ooishi, 1962 taken from solitary ascidians, Styela plicata (Lesueur) and Boltenia echinata (Linnaeus), collected from 8 localities of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are redescribed.

진도산 해초류의(Ascidians)의 분류 (The Ascidians (Tunicata) from Chindo Islands, Korea)

  • Boon Jo R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125-145
    • /
    • 1995
  • 진도산 해초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94년 7월과 11월에 진도의 5개 지역(접도, 보전, 군포, 해동, 금갑)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정리한 결과 13종과 1974년 8월에 진도의 4개지역(가학, 녹진, 접도, 가사도)에서 채집하여 이미 보고된 7종을 합하면 모두 7과 11속 16종이다. 이들 모두는 한국산 해초류에 보고된 종들이나 이 중 7과 9종은 진도산 해초류로서 처음 밝혀지는 종들이다. 이들 16종에 대한 수성별 구성은 온수역종이 8종(50%), 그 다음이 온-열대수역종으로서 7종(44%), 열대수역종은 1종(6%)이었다. 그러나 한수역 및 한-온수역종은 전연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진도가 우리나라 황해 남단에 위치하고 있어 남쪽에서 올라오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과 부합한다.

  • PDF

Doropygus hoi, a New Species, and Redescription of Doropygus pinguls Ooishi, 1962 (Copepoda, Cyclopoida, Notodelphyldae) Associated with Solitary Ascidians in Korea

  • 서인순;이경숙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43-563
    • /
    • 1997
  • One new copepod species (Doropygus hoi n. sp.) i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taken from solitary ascidians collected from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the South Sea. Doropygus pinguis Ooishi, 1962 taken from solitary ascidians, Styela plicata (Lesueur) and Boltenia echinata (Linnaeus), collected from 8 localities of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are redescribed.

  • PDF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 3종 (Three Species of the Notodelphyid Copepods(Cyclopoida) Associated with the Solitary Ascidians(Tunicata) in Korea)

  • In-Soon Seo;Kyung-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91-413
    • /
    • 1998
  • 해초류 (피낭류)로부터 채집된 한국산 요각류 3미기록종(Doropygus curvipes Gotto: Notodelphys agilis villosus Ooishi: Bonnierilla curvicaudata Ooishi)이 확인되어 재기재한다. 따라서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는 11종이 보고 되어진다.

  • PDF

단체 해초류(피낭류)에 공생하는 요각류 2종 (Two Species of Notodelphyid Copepoda (Cyclopoida) Associated with Solitary Ascidians (Tunicata))

  • 서인순;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289-304
    • /
    • 1996
  • 동해와 남해에 서식하는 단체 해초류(사메아대추멍게 와 대충멍게류)의 체강내에서 요각류 2종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Lonchidiopsis hartmeyeri Vanhoffen, 1917과 Pachypygus curvatus Ooishi, 1961이며, 한국미기록종으로서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 PDF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 2종 (Two Species of Notodelphyid Copepods(Cyclopoida) Associated with Ascidians in Korea)

  • In-Soon Seo;Boon-Ju R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105-116
    • /
    • 1998
  • 이화여자대학교 생물과학과에 보관중인 해초류(피낭류)로부터 요각류 2 미기록종이 발견되어 재기재하였다. 이 중에서 Doroixys uncinata Kerschner, 1879는 만두멍게과에 속하는 군체멍게인 미끈만두멍게[Aplidium glabrum(verrill,1871)]의 test로부터 발견되었고, Doropygus rigidus Ooishi, 1962는 미더덕과에 속하는 단체멍에인 유두멍게[Cnemidocarpa irene(Hartmeyer, 1906)]와 세줄미더덕(Styela tokiokai Nishikawa, 1991)의 새낭에서 발견되었다.

  • PDF

제주도산 해초류(Ascidians)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idians from Cheju Island, Korea)

  • Rho, Boon-Jo;Lee, Ji-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1호
    • /
    • pp.59-76
    • /
    • 1989
  • 제주도산 해초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1969년 12월부터 1989년 1월까지 제주도의 11개 지역(Fig.1.)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 분류하였고, 본 연구자에 의해 이미 보고된 것을 합하여 제주도산 해초류의 분류 목록을 작성하였따. 본 연구의 결과, 제주도산 해초류는 모두 10과 50종으로 밝혀졌고 이들 중 3종(Didemnum apersum, Didemnum translucidum, Botrylloides perspicuum)은 한국미기록종이었으며 10종은 제주도에서만 분포하는 종이었다. 한국미기록종에 대해서는 기재를 하고 그림을 작성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산 해초류 73종중,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종은 50종(68%)으로서 전체종의 반이상을 차지하였고, 이들을 수성별로 보면 냉수종이 1종(2%), 냉온수종이 7종(14%), 난온수종이 38종(76%), 열대수종이 4종(8%)으로서 많은 종이 난온수종으로 나타났다.

  • PDF

통영산 물렁증 멍게 피막의 편모충 감염 (Occurrence of bi-flagellated protists in the tunics of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with tunic-softness syndrome collected from Tongyeong,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김현중;박경일;최민순;전제천;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멍게 물렁증 원인규명의 일환으로 2011년 3월에 경남 통영에서 채집된 물렁증 멍게와 건강한 멍게를 대상으로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물렁증 멍게의 경우 체액량, 비만도 및 피막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물렁증 멍게의 피막 imprint 관찰과 배양 시 2개의 편모를 가진 원생동물이 확인되었으며, 물렁증 멍게에 대한 이들 편모충의 감염률은 97.5%인 반면 건강한 멍게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본 편모충은 물렁증 멍게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학적 검사결과 물렁증 멍게에서 피막섬 유질다발의 붕괴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편모충으로 추정되는 원생동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통영산 물렁증 멍게에서 확인된 편모충은 일본에서 검출된 그것과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향후 공격실험 등 물렁증 유발과 편모충과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Hemaggulutinin and Hemolysin in Korean Ascidians

  • 박경숙;이인숙;로분조;목제원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07-111
    • /
    • 1998
  • Two kinds of humoral factors were observed in 2 orders, 7 families, 10 genera, and 15 different species of Korean ascidians. They are the naturally occuring hemagglutinins and/or hemolysins against human erythrocytes A, B, and 0. All but two species showed aggregative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titer. The weak agglutinating and lytic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Ca^{++}$. Much higher activities of agglutination and/or lysis were shown in the hemolymph than extracts from tissues, and a higher response was shown in adults than in juveniles. No distinct differences from collected locations were observed. The hemolymph of Ciona intestinalis showed a strong hemolytic (cytotoxic) and weak agglutinins capacities. In addition, hemolymph of Styela plicata and Styela clava clava also showed hemoagglutining and hemolytic activities. Botryllus tuberatus had hemagglutining and weak lytic activities. Other species showed only hemagglutining activity. These agglutining activities are probably responsible for carbohydrate recognition in solitary or colonial ascidian. The lytic activity is probably responsible for antibacterial defense and nonfusion reactions between allogeneic colonial ascidians, especially the genus of Botryllus. The occurrences of humoral factors in ascidians were independent of their geographic distribu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