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uncus dioicu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9초

대기-엽 수증기압차(VPD)에 의한 어수리와 눈개승마의 광합성 반응 비교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esponses in Heracleum moellendorffii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in Relation to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 이경철;권영휴;이경민;한상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8권1호
    • /
    • pp.63-70
    • /
    • 2016
  • 산채의 일종으로 현재 임업농가에서 활발히 재배되고 있는 눈개승마와 어수리의 수증기압차(vapor pressure deficit; VPD)에 따른 순광합성 속도 등 생리반응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생산과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조한 High-VPD 환경에서 눈개승마가 어수리에 비해 증산량을 줄이면서 수분이용효율을 높이는 기작을 통해 높은 순광합성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어수리에 비해 눈개승마는 엽의 수분 퍼텐셜의 감소가 비교적 크지 않고, 엽의 수분 불포화도 역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건조한 대기 환경에 따른 수분스트레스의 적응력이 비교적 양호한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어수리는 VPD가 3.0kPa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는 건조한 대기상태가 되면 순광합성 속도의 감소가 뚜렷히 나타나고 수분 퍼텐셜의 급속한 저하 및 엽의 수분 불포화도가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건조한 대기 환경에서 생육하기 어려운 종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배지의 환경조건이 VPD 3.0kPa 이상의 건조한 환경이 자주 형성되는 곳은 어수리의 생육에 불리할 수 있으며, 눈개승마의 경우 어수리 보다 다소 건조한 대기환경에 더 높은 적응력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Aruncus aethusifolius (Rosaceae), a species endemic to Korea

  • PARK, Jongsun;SUH, Hwa-Jung;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8-122
    • /
    • 2022
  • Aruncus aethusifolius (H. Lév.) Nakai is an endemic species in Korea and is economically important as an ornamental herb.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is 157,217 bp long with four subregions consisting of 85,207 bp of large singlecopy and 19,222 bp of small single-copy regions separated by 26,394 bp of inverted repeat regions. The genome includes 131 genes (86 protein-coding genes, eight rRNAs, and 37 tRNAs). Phylogenetic analyses demonstrates that th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was sister to A. dioicus var. kamtschaticus, forming the strongly supported clade of Arunc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건조 삼나물과 다래순의 재수화와 고온 가열조리 중 색소와 산화방지성분의 함량 변화 (Content Changes of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ried Samnamul (Aruncus dioicus) and Daraesoon (Actinidia arguta) during Rehydration and High Temperature Cooking)

  • 안해천;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3-38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hydration and subsequent heating at high temperature on the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ried samnamul (Aruncus dioicus) and daraesoon (Actinidia arguta). Methods: Rehydration included 16 h-soaking in cold water, and 30 min-boiling and 1 h-infusion in water. Rehydrated samnamul and daraesoon were heated at $180^{\circ}C$ for 10 or 20 min with or without perilla oil addition (10%) for cooking. Pigments and antioxidants were determined by HPLC and spectrophotometry. Results: Rehydration caused decreases in pigment and polyphenol contents, but increase in tocopherol content. Cooking by heating without addition of perilla oil resulted in increases 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but decreases in polyphenol and tocopherol contents. Decrease in tocopherol content by heating at $180^{\circ}C$ was reversed by the addition of perilla oil. Conclusion: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cooking of samnamul and daraesoon at $180^{\circ}C$ with perilla oil could improve color, texture, and potential health functionality by recovering the loss of antioxidants and pigme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차광처리가 눈개승마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s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Seedling)

  • 이경철;한상균;권영휴;전성렬;이창우;서동진;박완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0-37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_{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mu}mol\;CO_2{\cdot}m^{-2}{\cdot}s^{-1}$, $54.2mmol\;H_2O{\cdot}m^2{\cdot}s^{-1}$, $0.66mmol\;H_2O{\cdot}m^{-2}{\cdot}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_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

차광재배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의 성분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Practices on the Chemical Compounds and Antioxidant in Aruncus dioicus)

  • 권정우;박재호;권기수;김대섭;정진부;이희경;심영은;김미숙;윤지용;정규영;정형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
    • /
    • 2006
  • 눈개승마의 총 엽록소, 총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높았다. 지방산함량은 무차광 재배에 비하여 차광 재배 및 식용 가능시기간의 생육 후기에 감소되었다. 식용가능시기에서의 지방산 종류간의 함량은 oleic acid, palmit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낮았다. 특히 linoleic산의 함량은 타 지방산에 비하여 차광정도에 따른 함량의 감소율이 매우 높았다. 차광율 및 수확시기간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함량은 차광율이 높을 수록 증가하였고, 초기수확이 높았다. DPPH 소거활성은 $6.64-14.49(IC_{50}\;:\;{\mu}g/m{\ell})$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차광정도가 높을 수록 낮았고, 조기 수확 할 수록 높았다. POD 및 SOD 활성은 식물체에 비하여 종자가 매우 낮았고,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 재배 시에 증가하였다. POD활성은 식용가능시기의 생육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았으나, SOD활성은 감소되었다. POD Isozyme band 수는 이식묘의 종자, 잎 및 줄기에서 각 각 6개의 밴드를 나타내었으나, 뿌리에는 없었다. SOD Isozyme band는 송자와 잎에 비하여 뿌리에서 뚜렷하였다.

콩가공부산물을 이용한 눈개승마의 효과 증진 가공연구 (Research on Co-processing Effect of Aruncus dioicus with Soybean Processing by-products)

  • 박채영;천희순;엄병헌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3-103
    • /
    • 2020
  • 눈개승마 (Aruncus dioicus)는 장미과(Rosaceae) 눈개승마속(Aruncus)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잎줄기 채소이다. 독특한 향기가 특징이며, 인삼맛, 두릅맛, 고기맛이 나는 산채로 세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예로부터 삼나물로도 불러왔다. 눈개승마에는 caffeic acid, 1-O-Caffeoyl-β-D-glucopyranose 등의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전초는 해독,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쓰이고 어린순은 탄수화물과 무기물 함량이 풍부하다. 비지는 대두를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대두로부터 수용성 단백질이 추출되었지만 나머지 약 23%의 단백질, 57%의 식이섬유와 이소플라본 등의 유용한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지의 단백질은 다른 식품에는 부족한 황 함유 아미노산과 리신의 함량이 비교적 많고, 두부에 거의 없는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고 식이섬유 소재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콩비지를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건조 미세분말 비지를 제조하고, 이를 산채와의 혼합 가공을 통한 기능증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산채는 쓴맛 제거와 보관성 증진을 위해 데침공정을 주로 하나 산채를 물에 데칠 경우 산채의 유용성분이 대부분 손실된다. 눈개승마의 경우 유용성분이 17.25%, 그 중 폴리페놀 성분이 약 90% 손실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데침공정 대신 찜공정을 이용하여 산채의 유용성분을 보존하고 콩비지를 첨가하여 산채 유용성분의 생이용성 증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눈개승마를 콩비지와 혼합하여 고온고압 가공함으로써 산채의 쓴맛을 줄이고 보관성을 높이는 동시에 눈개승마 폴리페놀의 단량체화를 통해 눈개승마 단독가공에 비하여, 단량체 비율이 약 100~200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비지의 고부가가치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산채의 다이어트·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산업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눈개승마속(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genus Aruncus (Rosaceae))

  • 옥민경;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3-152
    • /
    • 2018
  •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times}7.50-16.99{\mu}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times}13.47{\mu}m$)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A. gombalanus (평균 $11.11{\times}8.94{\mu}m$)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모두 불규칙형(anomocytic)으로 확인되었다. 기공의 빈도는 면적당($0.05mm^2$) 평균 27.54개로, A. gombalanus에서 가장 높은 빈도(60.4개/$0.05mm^2$), A. dioicus var. acuminatus에서 가장 낮은 빈도(11.6개/$0.05mm^2$)로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2종류로 짧은 자루의 두상선모(short stalked capitate glandular trichome)와 비선모(non-glandular trichomes)가 확인되었고, 비선모는 부세포(subsidiary cells)의 유무와 발달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타입으로 구별되었다. 불규칙형의 기공형태와 이면기공엽, 두상선모의 분포는 본 속을 인식하는 주요형질로 판단되었으며, 기공의 크기와 빈도, 표피세포의 미세형태, 모용의 종류와 분포양상 등은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 인식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속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눈개승마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sis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김미선;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5-521
    • /
    • 2014
  • 한방에서 지혈 및 어혈 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눈개승마는, 최근 약용 산채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고자 눈개승마 지상부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눈개승마의 에탄올 추출물(0.5 mg/ml)에서 1.4~2.3배의 우수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내인성 혈액응고 인자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분획물에서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aPTT 연장효과를, butanol 분획에서는 혈액응고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anol 분획은 0.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 0.5 mg/ml 에 해당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활성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아, 눈개승마가 천연물 유래의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활성분획들이 높은 함량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를 포함함을 고려할 때, 활성물질의 정제시에는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다.

Assessing Soil Fertility Status of Edible Wild Plants Fields in Ulleung Island

  • Park, Sang-Jo;Park, Jun-Hong;Kim, Byung-Sung;Chung, Yun-Hak;Lee, Dong-Jun;Kwon, Oh-Heun;Park, So-Deuk;Lee, Suk-He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8-374
    • /
    • 2016
  • The perennial edible wild plants such as Aster glehnii,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n, Allium ochotense, Athyrium acutipinnulu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and Codonopsis lanceolata have cultivated as the main income crops introduced into the fields about 30 years ago in Ulleung isl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90 fields and assessed the effects of management practice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t wild edible plant fields under no-till system. The strong acidic soils of pH 5.4 or less were detected in 45% of the soil samples. The level of soil organic matter was being held at mean $63{\pm}28g\;kg^{-1}$, 2.7 times higher than upland soils in Korea.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showed more than recommended levels of upland crops as $680{\pm}489mg\;kg^{-1}$ and $1.94{\pm}1.7cmol_c\;kg^{-1}$, respectively. The fields of Solidago and Aster showing strong soil acidity and high level of available phosphate and water soluble $NO_3{^-}$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crops in analysis of varianc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oil chemica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frequency of acidic soil and high levels of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_2O$ and water soluble $NO_3{^-}$ were accompanied with the use of urea and NPK-fertilizer based on nitrogen in the fiel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fertilization and the prevention of soil acidification for wild edible plants.

화이트 칼라소재의 알도즈 환원효소 억제작용 탐색 (Screening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white-color natural products)

  • 목소연;신현철;이상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69-7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naturally occurring aldose reductase (AR) inhibitors from white-color natural products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Chionanthus retusa, Cosmos bipinnatus, Hibiscus syriacus, Hydrangea paniculata, Magnolia denudata, Prunus padus, Robinia pseudo-accacia,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albiflorum, Spiraea blumei, and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The MeOH extract of white-color natural products were tested on rat lens AR inhibition in vitro. Among them, the MeOH extract of R. mucronulatum for. albiflorum showed highest inhibition on AR ($IC_{50}$ value, 1.07 ${\mu}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 mucronulatum for. albiflorum, a white-color natural product, could be a useful resource in the development of a novel AR inhibitory agent against diabetic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