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meter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의 수술적 치료 - 최소 4년 이상 추시 결과 - (Surgical Outcome of Primary Repair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Minimum 4-years follow-up -)

  • 변기용;이광진;이석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27
    • /
    • 2000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후 일차적 봉합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수술을 받았던 25례를 대상으로 IKDC 평가표와 Lysholm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및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를 평가하였다. 대상환자 중 18례에서는 pull-out suture를 시행하였으며, 7례에서는 박근 및 반건양근을 이용한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IKDC 분석 결과, 전체 환자중 3례에서 A군으로, 13례에서 B군으로, 9례에서 C군으로 평가되었다. Lysholm score는 평균 83점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인대 이완도 평가에서는 20lb에서 평균 전방 전위는 3.89mm이었으며, 30lb에서는 평균 7.3mm의 전방 전위를 보였다. 건측 무릎과 환측 무릎의 평균 전방전위도 차이는 20lb에서 1.09mm이었으며, 30lb에서 2.29mm이었고 건측과 환측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IKDC라 Lysholm score는 재건술을 시행한 후 평가한 여타 보고에서의 결과보다 만족스럽지 못하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 평가에서도 건측 무릎에 비해 많은 전방 전위를 보였던 바, 특히 젊고 활동성이 많은 환자에 있어서 인대 봉합술 보다는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동종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Bone-Patellar tendon-Bone Allograft)

  • 전철홍;이병창;김영진;양환덕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2-108
    • /
    • 1999
  • 목 적 : 술 전 장력유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으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 관절경하에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3명, 46례로 주관적, 객관적 지표, Telos stress arthrometer,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27세(18~42세), 평균 추시 기간은 41개월(24~79개월)이었다.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은 술 전에 재수분화 시켰으며, 술 전 장력유지 장치를 이용한 장력은 주지 않았고, 관절경하에서 이중터널 방법을 이용하여 이식건을 이식하고, 슬관절 굴곡 및 신연을 통한 이식건의 장력을 주고 간섭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결 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60점에서 84점으로 24점 증가를 보였고, Telos arthrometer를 이용한 전방 스트레스 단순 방사선 사진상 술 전 7.1mm에서 술 후 2.3mm로 향상되었다. 추시 상 슬관절 운동능력은 정상이었고, 신전 시 굴곡 구축은 보이지 않았으며,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상 양호 이상이 39례(84.7%)이었다. 결 론 :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는 자가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술 전의 장력유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임상적으로 큰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닌 자가 골-슬개건-골 이식건의 대용으로 사용이 기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Outside-in 술기를 이용한 해부학적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Outcomes after the Anatomic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Outside-in Technique)

  • 손명환;김정태;서승석;서진혁;김창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23
    • /
    • 2013
  • 목적: Outside-in 술기를 이용한 해부학적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outside-in 술기를 이용하여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ysholm 점수, 축 이동 검사, one leg hop 검사, KT-1000 관절계검사, Telos 부하 검사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관적, 객관적 증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ysholm점수는 각각 술후 평균 $86.1{\pm}2.1$, $91.2{\pm}3.8$으로 호전되었고(각각 p<0.0001, p<0.0001), KT-1000 관절계검사와 Telos 부하 검사에서도 술후 평균 $2.2{\pm}0.9\;mm$, $2.3{\pm}1.2\;mm$로 호전되었다(각각 p<0.0001, p<0.0001). 축 이동 검사와 one leg hop 검사에서도 술후 양호한 소견을 보였다. 결론: Outside-in 술기를 이용한 해부학적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 전방십자인대 수술에 있어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슬괵건을 이용하여 경골부 잔류 조직을 보존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Quadrupled Hamstring Tendon with Tibial Remnant-preserving Technique)

  • 경희수;오창욱;김풍택;이병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2-98
    • /
    • 2007
  •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경골부 잔류 조직 을 보존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치료받은 35예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2.6개월 이었다. 수상의 원인은 대부분 스포츠와 관련된 외상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 이었다. 경골부 잔류 조직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동안 손상을 입지 않도록 가능한 주의를 기울이며 보존하였다. 수술 후 재활은 신전 제한 보조기로 2주 동안 관절 운동을 연기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일반적 재활과 동일하게 하였다. 임상적 평가에는 운동 범위,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KT-2000 arthrometer로 전방 전위 측정, Lysholm score 및 한 쪽 다리 지지검사(single limb standing test)로 고유수용 감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운동범위는 굴곡 구축 없이 정상이었고 Lachman 검사와 pivot-shift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환측과 건측의 전방전위 차이는 6.7mm에서 2.2 mm로 향상되었다. Lysholm score의 평균은 수술전 81점에서 추시시 96점으로 향상되었다. 고유 수용감각 측정을 위한 한 쪽 다리 지지 검사(single limb standing test)에서는 정상 측 다리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경골부 잔류 조직을 보존하는 재건술은 기계적 수용기와 고유 수용 감각을 보존하고 좋은 기능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증례로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 전철홍;김동철;신호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5-110
    • /
    • 2000
  • 목적 :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자각증상과 운동능력 회복정도 등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동종 이식건의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관절경하에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한 34명 35예를 주관적, 객관적 지표, Telos stress arthrometer와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36.2세($16\~57$세) , 평균 추시 기간은 18 개월($12\~27$개월)이었다. 결과 : 추시 분석 상 Lysholm Knee Scoring System은 술 전 47.5점에서 87.4점, Telos arthrometer를 이용한 후방 스트레스 단순 방사선 사진상 술 전 7.1mm에서 술 후 2.3mm로 회복되었으며,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상 양호 이상이 32예$(91.5\%)$ 이었다. 결론 :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충분한 강도와 길이를 제공하여 자가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자가건의 대치물로써 권장할만한 치료 방법이나 향후 장기적인 추시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 (Arthroscopic Double-Bundle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 정영복;박세진;정호중;유재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2-98
    • /
    • 2007
  •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의 수술 방법을 보고하고 단일 다발 재건술과 이중 다발 재건술의 술 후 임상적 결과 대해 비교하려고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의 손상으로 진단된 총 98예의 환자 중 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이었던 61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연속적으로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검사하였으며 술 전과 술 후 1년째 자료를 이용하여 단일 다발 재건술의 결과와 이중 다발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는 총 30예였으며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는 총 31예이었다. 안정성 검사로는 Telo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과 KT-2000 arthromet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임상적 결과로는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점수와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점수 및 관절 운동 범위와 대퇴 사두근의 둘레를 확인하였다.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술 전 Telo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과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안정성에 있어서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는 각각 $7.9{\pm}3.3$$7.4{\pm}2.0$,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는 $8.3{\pm}3.5$$7.9{\pm}3.2$로 확인되었다. 술 후 1년째 시행한 검사에서는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 각각 $1.9{\pm}1.2$$2.2{\pm}1.6$,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 $1.1{\pm}0.9$$1.0{\pm}1.0$으로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군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와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점수 및 대퇴사두근 둘레와 관절 운동 범위에서는 두 군 사이에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안정성의 측면에서 볼 때,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은 단일 다발 재건술보다 술 후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나 그 외 다른 임상적 결과는 두 군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 PDF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한 단계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One-stage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Tendon Allograft)

  • 조성도;고상훈;박문수;정광환;차재룡;곽창열;어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4
    • /
    • 2006
  • 서론: 신선 동결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실패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의 술기 및 슬관절의 안정성 및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패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 재건술을 시행한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 재건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61.8개월 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8.4개월이었다. 술기는 아킬레스건에 부착된 종골을 골결손부에 이식하고 재확공을 하여 한 단계로 시행하였다.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였고 술 후 평가는 Lysholm knee score,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패의 원인은 부적절한 수술 수기가 10예로 가장 많았다. 최종 추시점에서 Lysholm knee score는 10(75.9%) 예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Lachman 검사는 12예(92.3%) 에서 음성 또는 경도의 전방전위를 보였으며 pivot shift 검사는 음성인 경우가 11(84.6%) 예이었다. KT-1000 검사는 최대 전방 전위차가 3 mm 미만이 9예였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면 한 단계로 골이식 및 재확공을 할 수 있고 안정성 면에서 좋은 이식물의 하나이며 추후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2~4년 추시 결과 (Two to Four Year Follow-Up Result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 조성도;염윤석;정지영;박한창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9
  • 목적: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2-4년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종 경골건을 사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하였던 8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KT-1000 arthrometer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 및 2차 관절경 검사를 포함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는 80점 이상이 75예(87.2%), Lachman 검사상 1+ firm end 이하의 전위는 83예(96.5%), Pivot-shift 검사상 음성은 78예(90.7%), KT-1000 전방 전위 검사상 차이가 5 mm 이하인 경우는 83예(96.5%)였다. IKDC 슬관절 검사상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이 80예(93.0%)였다. 2차 관절경 검사는 15예에서 시행되었으며 9예(60%)에서 전방 십자 인대 이식물의 양호한 활액막 형성을, 4예(26.7%)에서 부분적인 활액막 형성을, 2예(13.3%)에서 불량한 활액막 형성을 보였고 이식물의 실패는 1예(6.67%)가 있었다. 결론: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전후방 안정성뿐만 아니라 회전 안정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보존적으로 치료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 (Natural History of Conservatively Tre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안진환;서희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7
  • 목적: 동반 손상이 없는 급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2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초기 진찰과 추시 관찰시 이학적 검사, KT-2000TM 관절검사(arthrometer) 및 후방십자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를 관찰하기 위한 MRI 촬영을 시행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e와 대퇴 사두근 근력 정도, 수상 전 운동 능력으로의 복귀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초기 진찰시와 추시 관찰시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보존적 치료를 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평균 추시 기간은 22.7개월이었다. 결과: 초기 진찰시 이학적 검사에서 관찰된 후방 불안정성은 Grade I이 14례, Grade II가 6례, Grade III가 1례였으며, 추시는 Grade I이 18예, Grade II가 3예였다. KT-2000TM 관절검사는 초기 진찰시 건측과 평균 5.7 mm($3{\sim}12\;mm$)의 차이에서 추시에서는 평균 2.7 mm($0{\sim}7\;mm$)의 차이를 보였고, MRI 촬영을 통한 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는 48.1%에서 69.7%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대퇴 사두근 근력은 평균Good등급이었고, 평균 IKDC knee score는 A등급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급성기 초기에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Volume on Recovery of Knee Joint Stability in Patient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Shim, Jae-Kwang;Choi, Ho-Su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1호
    • /
    • pp.27-3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on knee joint stabilit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sixteen 16 adults who received anterior cruciate reconstruction by arthroscopy, and underwent sensorimotor training for which was to have them maintenanceain of a standing position with a step Balance ball on the affected side over 30 degrees knee flexion with 100% weight bearing for 15-20 seconds. Before the genuine experiment commenced, the Lysholm scale was had been used to assess functional disorders on the affected knee joint. KT-2000 Arthrometer measurement equipment was used to measure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against to femur before and after the sensorimotor training.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relaxation on the affected side in tibia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affected and sound sides on in supine position before the sensorimotor training.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bia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affected knee joints on in the supin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sensorimotor trainin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difference of tibia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affected knee joints on in the standing 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on knee joint stabilit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s to induce the change of tibia anterior displacement against femur and the variation of muscles activation. Conclusion: The sensorimotor training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joint functional stability in people who are in post-operation state and with orthopedic musculoskelectal inju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