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senic(As)

검색결과 878건 처리시간 0.031초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지역 지하수 수질: 배경수질전용측정망에 의한 심도·지질별 특성 (Groundwater Quality in Gyeongnam Region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th and Geological Features by Background Water Quality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 차수연;서양곤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39-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심도와 지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의 배경수질전용측정망을 통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의 503 세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대장균군과 몇 극소량 존재하는 항목 즉 수은, 페놀 등을 제외한 수질매개변수는 심도와 지질에 따라 유의하거나 아주 유의하였다.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고, 수온, 용존산소 산화물 환원 전위, 비소, 총대장균군 그리고 탁도는 감소하였고,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낮아졌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 합은 쇄설성퇴적암에서 가장 높았고 변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변성암에서 가장 높았고 쇄설성퇴적암, 미고결퇴적물, 그리고 관입화성암 순이었다. 상층관정과 쇄설성퇴적암의 일부 지점에서 외부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Na-Cl 수질특성을 보였다.

목재펠릿의 안전성평가 기준 마련을 위한 예비 조사 (Preliminary Survey for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of Wood Pellet Safety)

  • Yang, In;Kang, Sung-Mo;Kim, Young Hu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541-552
    • /
    • 2018
  • 목재펠릿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과 환경에 물리적 화학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목재펠릿 자체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목재펠릿의 안전성평가 기준 제정을 위한 예비조사로서, 국내에서 유통 중인 목재펠릿의 질소, 황, 염소, 비소, 카드뮴, 크롬, 구리, 납, 수은, 니켈, 아연, 세슘방사능의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국내산 목재펠릿의 질소, 황, 염소 및 중금속 함유량은 국립산림과학원의 목재펠릿 품질 1급 기준과 ISO의 비산업용 목재펠릿 A1급 기준 및 목재펠릿 안전성 평가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수입 목재펠릿의 경우 일부 목재펠릿의 질소, 황, 염소 및 중금속 함유량이 안전성 평가기준의 허용량을 초과하였다. 국내산 목재펠릿에서는 세슘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목재펠릿으로부터는 세슘방사능이 검출되었으나, 목재펠릿 안전성평가 기준에 규정된 허용량을 하회하였다. 결론적으로 목재펠릿 안전성 평가기준 설정은 안전한 목재펠릿 이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포천시 공단지역 미세먼지 중 중금속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of Pocheon City)

  • 신형순;정연훈;김진길;정종필;이상수;유한조;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77-58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asses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atmosphere of Pocheon City by measuring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and at the city air measuring station, and also to assess the degree of impact that the industrial area has on urban air quality. Methods: Sampling was carried out between February 2018 and November 2018 at two sites 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in the city air monitoring stations. Results: At the industrial complex in Pocheon City, air pollutant emitting businesses were emitting concentrations of fine dust (PM10) between 45 and 60 ㎍/㎥ higher than in the city air. The daily maximum concentrations of lead (Pb), manganese (Mn), and cadmium (Cd)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 below the WHO recommendation standard (annual average), and the impact on the urban atmosphere is judged to be insignificant. Three to five percent of fine dust (PM10) consists of metallic materials, and as the fine dust increased, metals were detected proportionally. Although cadmium (Cd) and beryllium (Be) were not detected in the city air in Pocheon and chromium (Cr), copper (Cu), and arsenic (As) were found to be 50 percent or less, it is deemed that copper (Cu) was detected at unusually high levels due to unknown air pollutants, which requires regular heavy metal measurement and cause verification. Conclusions: An analysis of the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zone and the urban atmosphere in Pocheon C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near relationship of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zone, or the direct impact relationship, on the heavy metals in the urban atmosphere could not be estimated. The sampling device for equivalent assessment of particulate matter installed at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is highly likely to be used for analysis of fine dust and heavy metals.

중금속 오염지 및 건전지역에서 수집된 담자균류의 분포 (Population and transfer factor of basidiomycota collected in the heavy metal-contaminated and healthy soils)

  • 장갑열;최선규;이강효;석순자;정종천;정구복;김규현;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45-153
    • /
    • 2005
  •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 폐광과 도곡 폐광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 동정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내 중금속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아본 결과, Amanita volvata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 결과, Russula와 Collybia 속은 비오염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이상의 결과, Laccaria laccata 등 일부 담자균은 중금속 오염지 저감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 PDF

Monitoring of Ambient Air Particles and Inorganic Elements in China and Korea during an Asian Dust Storm

  • Park, Eun-Jung;Kim, Dae-Seon;Park, Chung-Hee;Song, Sang-Whan;Lee, Byung-Hoon;Hong, Yun-Chul;Pan, Xiaochuan;Wang, Jin-Gyu;Zhang, Yi-Xiang;Park, Kwang-S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0-372
    • /
    • 2010
  • Concentrations of ambient air particles such as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particulate matter $(PM)_{10}$, and $PM_{2.5}$, were monitored simultaneously from May to June, 2007, at four locations at Alashan and Beijing in China, and Seoul and Gosan in South Korea. These monitoring sites are in the pathway of Asian dust (AD) storms traveling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An AD event was observed in the Korean peninsula on May 25-26.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and PM10 were each higher than $150\;{\mu}g/m^3$ in Alashan and Beijing, but not in Seoul and Gosan. The concentration of TSP in Alashan (where the dust storm originated) on the day of the AD event reached $1824.7\;{\mu}g/m^3$, this be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ir particles observ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level was decreased to 15% of this ($274.7\;{\mu}g/m^3$) in Seoul and to 8.7% ($159.0\;{\mu}g/m^3$) in Gosan when the AD was observed two days later in Korea. Gosan, a representative background site in East Asia, display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particles, with this maximal TSP concentration of $159\;{\mu}g/m^3$. Inorganic element contents in the air particles were also measured, and the concentrations in the four different regions compared.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ally-enriched heavy metals in $PM_{10}$ and $PM_{2.5}$, such as lead, arsenic, cadmium, and mercury, were higher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Beijing and Seoul compared to non-industrialized regions of Alashan and Gosan.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soil elements including iron, magnesium, aluminum sodium, and manganese, were higher in Alashan compared to those in other sampling sites.

인삼 및 산양삼의 부위별 유해중금속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Heavy Metals in Ginseng and Wood-cultivated Ginseng)

  • 양승현;이태우;이재인;최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3
    • /
    • 2019
  • 본 연구는 인삼과 산양삼의 부위별 중금속 분포양상을 조사하여 중금속 식이노출 저감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삼과 산양삼은 지역별 배분을 통해 각각 14개 지역 및 5개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각 부위별 중량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중금속 분석을 위해 microwave 장치를 이용해 전처리한 후 납, 카드뮴 및 비소는 ICP-MS로 측정하고 알루미늄은 ICP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인삼의 겉껍질은 전체의 16.2% 중량비를 차지하였으며, 산양삼의 겉껍질 및 잔뿌리는 각각 전체의 21.8%, 16.8%의 중량비를 차지하였다. 각 부위별 중량비와 중금속 농도를 고려하여 각 부위별 중금속 분포도를 산출하였다.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은 전체에 차지하는 중량비에 비해 높은 중금속 함유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인삼의 경우 납의 40.3%, 카드뮴 25.9%, 비소 47.6%, 알루미늄 89.9%가 겉껍질에 잔존하고 있었으며 산양삼의 경우 납 27.2%, 카드뮴 28.2%, 비소 48.3%, 알루미늄 56.8%가 겉껍질에 존재하였다. 알루미늄을 제외하고 산양삼의 잔뿌리내 중금속 분포량은 겉껍질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을 벗기고 섭취한다면 중금속 식이노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유통 어린이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에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 실태 조사 (A Study on UV Filters, Preservative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Children's and Inorganic Sunscreens Distributed in Korea)

  • 김애란;이유진;조윤식;김현주;조상훈;김양희;노정원;박용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89-29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민감성 피부 대상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조사를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 27 건 및 어린이용 자외선 차단제 23 건을 수거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 17 종, 보존제 13 종 및 중금속 5 종의 사용 및 혼입 실태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41 건), 징크옥사이드(29 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10 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8 건)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8 건)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6 건), 안식향산(1 건), 디히드로초산(1 건) 순으로 검출되었다.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은 모두 표시 사항에 적합 하였으나, 1 개 제품에서 표시사항 외 보존제 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이 0.1%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안티몬, 니켈은 불검출에서 3.6 ㎍/g로 다양한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은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성분별 최대 배합한도 및 최대 허용량 기준에 적합하였다.

인지기능 저하와 체내 중금속 10종 간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Decline and Ten Heavy Metals)

  • 임채린;이승호;서상민;박경원;김권민;최병무;김병권;임현주;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06-314
    • /
    • 2022
  • Background: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dementia are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dementia i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ag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en heavy metals in the body: arsenic, aluminum, chromium, manganese, cobalt, nickel, iron, copper, zinc, and lead. Methods: From 2018 to 2019, a total of 120 participants who suffered from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heavy metal concentrations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Demographic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face-to-fac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a trained investigator.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e Waiting Test. The associ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score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120 participants was 72.7 years, and 69.2% were female. The mean of the MMSE-K and K-BNT scores were 22.9 and 37.9,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aluminum (Al) was 8.42 ㎍/L. MMSE-K was associated with iron (Fe), but the significance was removed in the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24 points. K-B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uminum and the odds ratio for K-BNT above 38 decreased by 45% as the aluminum concentration increased. Conclusions: The association between aluminum and the K-BNT score indicated that aluminum is associated with language-related cognitive decline. Based on this result,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by considering co-exposure effects of heavy metals including aluminum.

채색문화재에 적용된 전통 황색 광물안료 석황의 채색 특성 (The Discoloration Characteristics of Orpiment used as Traditional Yellow Mineral Pigments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 도진영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1-17
    • /
    • 2023
  • 전통 황색 광물안료 석황이 적용된 채색문화재에서 석황부위의 색상변질이 빈번히 발생된다. 채색문화재에서 변색되는 원인을 밝히고자 석황과 석황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몇가지 안료를 분말과 채색상태로 제작하여 연구하였다. 석황에 연백, 연단, 주사를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아교에 넣어 한지와 견에 채색하였다. 명반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색을 고려하기 위해서 채색시편에 대해 명반처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편들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시험기로 내광성시험을 3단계, 총 96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을 거친 시편에 대하여 색도계를 사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XRD와 Raman 스펙트로메터로 광물과 구조변이, SEM/EDS로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내광성시험에 따른 순수 석황 분말의 색변화는 적었던 반면, 채색시편에서는 약간 어두워졌다. 견바탕에 채색한 것의 색변화가 컸으며, 명반이 처리된 시편의 색변화가 컸다. 석황분말에서는 자외선시험 후 orpiment가 변질된 백색의 arsenolite가 생성되었다. 석황-연백 혼합분말에서는 석황과 연백의 구성광물만이 검출되었고, 변질물질은 생성되지 않은 반면, 자외선시험 후에는 orpiment와 orpiment의 변질물인 arsenolite, 그리고 연백의 구성광물이 검출되였다. 두 안료의 분말상태의 혼합에서는 자외선시험에 의해서도 암흑화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혼합분말로 채색된 시편은 자외선시험에 의해 암흑화되었다. 채색시편에서 혼합된 안료와 바탕재에 따라 석황의 색상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며, 명반처리한 경우는 안한 경우보다 큰 색변화를 보여 명반도 석황의 색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질아메바 한국분리주 YS-27의 무균 배양화 (Axenization of Entamoeba histolytica, a Korean strain YS-27)

  • 장재경;임경일;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87-390
    • /
    • 1995
  • 1969년 8월 10일 서울 고려병원의 입원친자 김00의 간농양에서 채취한 고름을 modified diphasic배지(Faust and Russell 1964)에서 배양하여 이필아메바 한국븐리쿠 YS-27을 얻었다. 이를 1985년 2월부터 TTY-53 배지에 넣어 Crithidia와 함께 $37^{\circ}C$에서 혼합 배양하였으며 3~4일 간격으로 계대하였다 Crithidia는 Dr. L.S. Diamond(미. NIH)로 부터 분양받아 TW-SB 배지 10 ml에 500만개씩 넣어 $25^{\circ}C$에서 1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Monoxenic 배지인 TIY-SB 에서 이질아메바와 Crithidia를 혼합배양하면서 세균 제거를 위하여 배지 100 ml 당 Penicilin G 2,000-10,000 I.U.와 Streptomycin 2-10 mg을 첨가하였으며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고 monoxenic 상태로 되기까지 1년 이상 걸렸다. TIY-SB배지에러 arsenic배지 TYI-5-,B3으로 바꾸었더니 저음 이직아메바 영양형의 증식이 피지 않았으나 Crithdia를 넣어 주었더니 이질아메바의 증식이 잘 되었다. 3-4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1하였으며 수수간 배양후에는 Crithidia를 보충하지 않아도 이질아메바 영양1형만 잘 증식되었다. 이질아메바 한국분지주 YS-27은 1995년 10월 현재 TYI-5-33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지속적으로 계대 배양되고 있으며 영양형의 증식도 양호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