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constitue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Pharmacological Studies of Various Extracts and the Major Constituent, Lupeol, obtained from Hexane Extract of Teclea nobilis in Rodents

  • Al-Rehaily, Adnan J.;El-Tahir, Kamal E.H.;Mossa, Jaber S.;Rafatullah, Syed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76-82
    • /
    • 2001
  •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acetonitrile (MeCN), hexane extracts and isolated pure terpenoidal compound Lupeol from the leaves of Teclea nobilis, Delile (TN), on inflammation induced by carrageenan an implantation of cotton pellets in rats; the nociceptive response using writhing and tail flick tests and the antipyretic activity in yeast-induced fever were examined in mice. Oral administration of TN extracts at doses of 150 and 300 mg/ks and lupeol 5 and 10 mg/kg showed a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ts. The extracts of TN and lupe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contractions and stretchings induced by acetic acid and heat-induced pain in mice. The antipyretic effect of extracts and lupeol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 behavioral observation of animals showed that the hexane extract and lupeol caused CNS depressant activity and did not produce any toxic or lethal effects in animals at various dose leve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clea nobilis extracts and lupeol possesses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 PDF

Evaluation of interaction between organic solutes and a membrane polymer by an inverse HPLC method

  • Kiso, Yoshiaki;Hosogi, Katsuya;Kamimoto, Yuki;Jung, Yong-Ju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5권3호
    • /
    • pp.171-182
    • /
    • 2014
  • Organic compounds are adsorbed on RO/NF membranes, and the adsorption may influence the rejection of organic compounds by the membranes. Because almost RO/NF membranes are composite membranes, the results obtained by adsorption experiment with using membrane pieces are unable to avoid the influence by the support membrane. In this work, the interaction between membrane polymer and organic solutes was examined by an inverse HPLC methodology. Poly (m-phenylenetrimesoylate), the constituent of skin layer of RO/NF membranes, was coated on silica gel particles and used as a stationary phase for HPLC. When water was used as a mobile phase, almost hydrophilic aliphatic compounds were not effectively adsorbed on the stationary phase, although hydrophobic compounds were slightly adsorb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philic aliphatic compounds are useful probe solutes to examine the molecular sieving effect of a membrane. When water was used as a mobile phase, the aromatic compounds were strongly retained, and therefore $CH_3CN/H_2O$ (30/70) was used as a mobile phase. It was revealed that the adsorption of aromatic compounds was controlled by stacking between solute and polymer and was hindered by non-planar structure and substituents.

표고에 따른 더덕의 향기 성분과 정유 함량 (Aromatic Constitu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Cultivated at Different Altitudes)

  • 김상국;강동균;민기군;정상환;이승필;이상철;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2
    • /
    • 1999
  • 본 실험은 더덕을 산지에 재배할 경우 적정 표고와 함께 방향성 향상과 약리성분인 사포닌의 함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안동 재배지(150m), 안동 학가산(550m), 영양 일월산(750m)에 재배 및 야생더덕을 재배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상환경은 최고기온이 안동지역에서 $38^{\circ}C$인 것에 비해 학가산과 일월산에서는$2^{\circ}C$에서 $11^{\circ}C$정도 더 낮았고 지온은 $7^{\circ}C$정도 낮았고 조도량은 65%인 7000lux였다. 토양특성 은 토양산도가 5.6에서 6.1정도로 약산성을 띠며 유기물 함량은 6.7%에서 8.8%로 안동지역보다 4배정도 높았다. 안동 재배지의 근장이 13cm인 것에 비해 학가산이 13.2cm, 일월산이 13.8cm로 다소 길었고 근경도 표고가 높을수록 두꺼웠다. 생근수량은 안동 재배지의 더덕이 평균 238kg인 것에 비해 일월산의 더덕은 281kg으로 표고가 높을수록 증수되었다. 안동 재배지의 정유함량은 야생 및 재배더덕 모두 0.004%로 낮았으나 학가산과 일월산은 각각 0.005%와 0.006%로 높았다. 향기성분은 총 48종으로 지방족 알코올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안동 재배지는 1-hexanol이 $13.40{\sim}14.10\;%area$, cis- 3-hexanol이 $12.20{\sim}13.11\;%area$로 학가산 및 일월산 재배지의 더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rans-2-hexanol은 안동 재배지에 비해 학가산 및 일월산의 분포는 각각 $16.32{\sim}16.82\;%area$, $17.83{\sim}47.22\;%area$로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의 조성변화 (Changes of General Components and Aromatic Constitu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he Native and Cultivated Area)

  • 이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0-238
    • /
    • 1996
  •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야생(野生)더덕 및 재배(栽培)더덕의 기상환경(氣象環境), 생육특성(生育特性), 일반성분(一般成分),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및 식물성(植物性)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自生地)는 재배지(栽培地에)에 비하여 기온(氣溫)이 $2{\sim}3^{\circ}C$ 지온(地溫)은 $2^{\circ}C$ 정도(程度)로 낮았고 조도(照度) 량(量낮)은 재배지(栽培地)의 2.9%였다.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pH는 재배지(栽培地)보다 다소 낮았으며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은 4.8%로 1.7배(倍) 정도 높게 나타났다. 2.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더덕의 개화기(開花期)가 8월(月)3일(日)로 같았지만 재배지(栽培地) 야생(野生)더덕은 재배(栽培) 더덕 보다 10일(日) 늦은 8월(月)15일(日)이었다. 만장(蔓長), 엽장(葉長), 경경(莖徑) 등(等)은 재배(栽培) 장소(場所)와는 무관(無關)하게 야생(野生)더덕에서 저조(低調)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평균(平均) 5로서 재배(栽培)더덕이 평균(平均) 3.5인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야생(野生)더덕의 생체중(生體重)은 평균(平均) 11g/주(株)인 것에 비하여 재배(栽培)더덕은 23.5g/주(株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자생지(自生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5 정도(程度)로 다소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재배장소별(栽培場所別) 일반성분(一般性分)의 조성(組成)은 조단백질(粗蛋白質)의 경우(境遇)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자생지(自生地)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고 조(粗)사포닌은 재배지(栽培地)보다 자생지(自生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5. 무기성분함양(無機成分含量)의 차이(差異)는 K의 경우(境遇) 자생지(自生地)에서 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평균적(平均的)으로 10배이상(倍以上) 정도(程度) 높은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Mn, Zn, Na, Cu 등(等)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자생지(自生地은)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특(特)히 Arginine은 다른 성분(成分)들과 비교(比較)해 볼 때 가장 높은 조성(組成)의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7.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정유성분수율(精油成分收率)은 자생지재배(自生地栽培)에서는 모두 0.004% 였고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0.005%였다. 8. 더덕의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향기성분(香氣成分)은 총(總) 21종(種)이었으며 自生地(自生地)에서 야생(野生)더덕은 16종(種), 재배(栽培)더덕은 18종(種)이었고, 재배지(栽培地)에서 야생(野生) 더덕은 14종(種), 재배(栽培)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

  • PDF

차광과 유기물 시용이 더덕의 생육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and Organic Matter Applications on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 이승필;김상국;남명숙;최부술;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96-504
    • /
    • 1996
  • 본 연구는 자생지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재배시 재배더덕에서도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차광과 유기물 시용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조건에 따른 기상차이는 무차광구에 비해 차광(55%)에서 최고기온 6.1$^{\circ}C$, 최저기온 0.6$^{\circ}C$, 평균기온 3.4$^{\circ}C$ 낮았고 지온도 3.4$^{\circ}C$ 낮았으며 조도량도 무차광에 비해 44% 정도 적었다. 2. 더덕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유기물 시용양이 많을수록 양호하였으나 그 효과는 차광(55%)에 비하여 무차광에서 현저하였다. 3. 더덕뿌리의 일반성분 조성에서 조단백질은 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무차광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무차광 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조성분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무기성분중에서 다량원소인 K, Ca, Mg등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미량원소는 차광조건과 유기물 시용량에 따른 조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나 유기물 시용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arginine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6. 식물정유 성분의 수율변화는 차광 55%에 비하여 무차광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향기성분은 총 44종이 동정되었는데 1-hexanol, cis-3-hexenol, trans-2-hexanal 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토양 pH가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il pH on Crude Compon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이승필;김상국;정상환;최부술;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9-244
    • /
    • 1998
  • 본 실험은 더덕의 향기성분 향상과 식물정유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토양환경가운데 pH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자생지에서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에 재배할 경우 밭더덕에서도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pH 4.5에서 만장은 247cm로 가장 짧았고 토양 pH 6.5는 299cm로 생육이 가장 촉진되었으며 뿌리의 무게는 토양 pH 5.5와 6.5에서는 각각 17.9g과 15.6g으로 무거웠다. 2. 조단백질은 토양pH가 알칼리 토양으로 진행될수록 함량이 감소되었고 조회분은 토양 pH와는 무관하게 회분함량이 최저 2.99%에서 최고 3.85%로 대한약전 생약규격에 명시된 더덕의 회분함량 허용치인 4.0%이하였다. 3. 식물정유함량은 토양 pH 5.5에서 0.007%로 토양 pH 7.5보다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4. 토양 pH에 따른 더덕 뿌리의 향기성분은 총 48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1-hpxanol, cis-3-hexanol 및 trans-2-hrxanol의 화합물이 큰 변화를 보였다. 5. trans-2-hexanol은 토양 pH 6.5에서 1.87 % area로 가장 높았다.

  • PDF

Volatile Aroma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

  • Chang, Kyung-Mi;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22-127
    • /
    • 2008
  • The aroma constituen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were separa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 was 2.0% (w/w) and the color was light golden yellow. Sixty-thr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ich make up 89.28% of the total aroma composition of the flower oil,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This essential oil contained 35 hydrocarbons (48.75%), 12 alcohols (19.92%), 6 ketones (15.31%), 3 esters (4.61%), 5 aldehydes (0.43%), 1 oxide (0.22%),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0.04%). ${\alpha}$-Pinene (14.63%), 1,8-cineol (10.71%) and chrysanthenone (10.01%) were the predominant volatile components in Chrysanthemum indicum L., an aromatic medicinal herbaceous plant.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wo Different Regions)

  • 이승필;김상국;최부술;이상철;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87-593
    • /
    • 1995
  •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특성, 품질 및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의 기상환경은 재배지에 비해 기온이 4∼8 낮고 지온도 3 낮았으며 조도량은 재배지의 1.7% 정도였다. 2. 자생지 토양의 환경조건은 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은 3배 이상 높았다. 3.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염색체 수는 2n =16으로 같았고 자방수도 3개로 동일하였으나, 종자수는 재배더덕이 62개, 야생더덕이 132개로 야생더덕 이 2배 정도 많았다. 4.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생육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저조하였으나 야생더덕은 재배지에서도 재배더덕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다. 5.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방향성분의 extract수율은 야생더덕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높았으나 재배더덕은 재배장소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xtract수율도 50% 정도 낮았다. 6. 재배지에 따른 주요 무기성분함량은 자생지보다 재배지에서 많았으며 야생더덕보다 재배더덕에서 많았다 7. 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주요 방향성분의 변화는 dimethylbenzene, 3-ethyl-5-2- ( ethylbutyl ) -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 -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등이 재배더덕에서는 없는 향기성분이 야생더덕에서 검출되었으며 더덕의 향을 내는 성분은 단일성분이 작용하기 보다는 peak면적이 높게 나타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기를 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씀바귀의 Flavonoid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noidal constituent in Korean Lactuca dentata Makino)

  • 정강현;윤광로;김준평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1994
  • 한국산 씀바귀(Lactuca dentata Makino)의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6 종류의 flavonoid 성분이 TLC에 의해서 검출 되었으며, 이들은 극성에 따라서 A에서 F가지 명명되었다. 그들 중 주성분으로 생각되는 물질 E를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물질 E의 녹는 점은 $249.5^{\circ}C-251^{\circ}C$ 로 나타났으며, 그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물질 E와 이를 가수분해한 genin에 대한 여러가지 shift reagent에서 UV와 IR분석을 하고 또한 물질 E와 그의 acetyl 유도체에 대한 NMR 분석을 하였으며 물질 E에 결합된 당은 TLC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분석 결과에서 물질 E는 luteolin 모핵에 glucose가 결합된 $luteolin-7-0-{\beta}-D-glucoside$로서 확인되었다.

  • PDF

Santalum album Linn wood and its oil: An aromatic Unani traditional medicine with versatile pharmacological activities

  • Sultana, Arshiya;Rahman, Khaleequr
    • 셀메드
    • /
    • 제8권3호
    • /
    • pp.14.1-14.6
    • /
    • 2018
  • Santalum album Linn. [Family: Santalaceae] is commonly known as white sandalwood, sandal safaid and safed chandan. It is one of the most valuable trees and second costliest wood in the world. Sandalwood and its oil is extensively used in the Unani and other traditional systems of medicine as it has blood purifier, anti-inflammatory, analgesic, exhilarant, cardiotonic, antiseptic, nervine tonic and expectorant properties. It is used in skin, cardiac, liver,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integument and urogenital disorders. These uses are supported and proven by many in vitro or in vivo studies. The proven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S. album ar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utagenic and anti-fatigue. The research has proven that sandal oil or its constituents have anti-microbial activity. Sandalwood oil showed skin cancer preventive effect in mice and its constituent alpha santalol showed the anticancer property. The methanolic extract of wood was confirmed for antioxidant, free radical scavenging,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lpha}$ and ${\beta}$ santalols present in sandal oil showed sedative effects. Sandalwood t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rt muscles of frog and showed increased myocardial contractility. Its oil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hepatic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Sandalwood oil and its major constituents showed less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in laboratory animals. Hence, the aforementioned studies justify the uses of sandalwood and its oil mentioned in the classical Unani literature. However, further clinical trials are suggested to confirm its efficacy and safety in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