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compound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56초

디카페인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decaffeinated coffee beans)

  • 이진영;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2-501
    • /
    • 2023
  • 본 연구는 브라질산 커피생두를 디카페인 처리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디카페인 무처리(RC), SWP 디카페인(SWDC), 초임계 CO2 디카페인(SCDC)에 대한 로스팅 이후 원두의 향기성분변화를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로스팅 후 Agtron(#)은 SWDC와 SCDC가 RC보다 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한 세 가지 시료의 주요 향기성분은 propanol-2-one, 3-methylbutanoic acid, 1-methyl-4-isopropenyl-1-cyclohexene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propanol-2-one은 fruity, glue의 향에 관련한 것으로 디카페인 공정 유무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강도로 분석되었다. 한편, SCDC의 향기성분 중 propanol-2-one, methyl formate의 함량이 RC와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성분 패턴의 PCA 분석결과 디카페인 무처리구인 RC와 처리구인 SWDC 및 SCDC의 향기성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영향은 SCDC에서 더 크게 분석되었다. RC, SWDC와 SCDC의 주요 향기성분들이 propan-2-one과 hexan-2-one은 ketone, hexanal과 (E)-2-pentenal은 aldehyde, 3-methyl-1-butanol, 4-methylhexan-1-ol, 2-octanol은 alcohol에 해당하였으며, 로스팅 후 원두에서 주로 나타나는 향기성분의 구성은 유사하였으나 상대적 강도에서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HS-SPME-GC-MS를 사용한 RC, SWDC와 SCDC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모두 2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세 가지 시료에서 공통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상위 향기성분은 furfural, 2,5-dimethylpyrazine, 2-furanmethanol, 2-formyl-5-methylfuran, furfuryl acetate, 2-ethyl-3-methylpyrazine 등 총 10종으로 분석되었다. RC에서 분석된 휘발성 향기성분 20여 종은 SWDC와 SCDC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이며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영향으로 차별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로스팅 후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분석에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조성 및 상대적 강도, 함량에 대한 패턴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로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향미 특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Volatile Compounds of Zanthoxylum piperitum A.P. DC.

  • Chung, Mi-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29-532
    • /
    • 2005
  •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 DC.) using steam distillatio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 Forty-six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12 hydrocarbons, 8 aldehydes, 5 esters, 12 alcohols, 4 ketones, 4 oxides and 1 acid,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hopi. Un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7.2% of the total peak area. Limonene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geranyl acetate, citronellal, cryptone and ${\beta}$-myrcene. In addition, aroma-active compounds, in particular citronellal and limonene, which are related to the citrus and Chopi flavors of Chopi essential oil, were detected. The aroma of Chopi essential oil had a score of 4.8 on the preference test (neither like nor dislike) and a score of 5.97 on the intensity test (slightly strong)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Zanthoxylum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69-674
    • /
    • 2008
  •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A.P. DC. belong to the Rutaceae family and are perennial, aromatic, and medicinal herbaceous plants. In this study, their aroma compounds were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then further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P. DC. were 2.5 and 2.0%(w/w), respectively, and the color of their oils was quite similar, a pale yellow. From the distilled oil of Z. schinifolium, 60 volatile compounds which make up 87.24% of the total composition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monoterpenes predominating. $\beta$-Phellandrene (22.54%), citronellal (16.48%), and geranyl acetate (11.39%) were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s of Z. schinifolium. In the essential oil of Z. piperitum AP. DC., 60 volatile flavor components constituted 94.78%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Limonene (18.04%), geranyl acetate (15.33%), and cryptone (8.52%) were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Z. piperitum A.P. DC.

로즈마리 향기성분의 기-액 평형과 무차원 헨리의 상수 (Dimensionless Henry's Constant and Liquid-Vapour Equilibrium of Rosemary Aroma Compounds)

  • 윤향식;정헌상;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8-742
    • /
    • 2003
  • 로즈마리의 주요 항기 성분인 pinene, myrcene, cineol이 에탄올 용액에 흡수되는 물질전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에탄올 농도에 따른 가스상 향기성분의 농도와 70% 에탄올 농도에서의 무차원 헨리상수를 구하였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가스상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3가지 화합물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eadspace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유형을 나타내었다. Cineol의 에탄올 농도(x)에 따른 무차원 헨리상수식은 $Hi=(-5.75+x)/(-7017.6+257.3{\times}x)$이며 1 atm, $25^{\circ}C$, 70% 에탄올 용액에서 무차원 헨리상수는 cineol은 0.0058, myrcene은 0.0182, pinene은 0.0365 이었다.

배전 및 원두 커피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Aroma Components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 백희준;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18
    • /
    • 1996
  • 국내외 시판되고 있는 roasted and ground 커피 20종에 대해서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신맛이 강한 R & G 커피의 평균 pH는 5.02, TA는 3.98, 배전색도는 54.7이었으며, 신맛이 약한 R & G 커피의 평균 pH는 5.40, TA는 2.27, 배전색도는 34.6으로 향기성분중 2-methylfuran은 커피의 거친맛(harshness)과 관계하며 배전정도가 강할수록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므로 이들 관계는 측정치에서 산출된 회귀식 Y=4.45-0.06 X에 의해서 이 관계를 71.2%정도 설명할 수 있다.

  • PDF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 김지윤;박은영;김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4
    • /
    • 2006
  •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들을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62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7개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 8개의 terpenes, 5개의 esters, 8개의 acids, 15개의 alcohols, 2개의 nitriles, 2개의 ketones,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miscellaneous compounds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특히, acids인 acetic acid와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묵은 배추김치에서 향기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및 농축 후 향 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FD$)를 구하였으며, GC-MS 및 GC-Olfactometry(GC-O)법으로 휘발성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 묵은 배추김치에서 총 16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중 시큼한 냄새,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acetic acid, butanoic acid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acids외에 높은 (FD > 9)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linalool, 2-vinyl-4H-1,3-dithin 등이 있었다.

동결건조 시스템에서 동결속도가 향미물질 보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reezing Rate on the Aroma Retention in a Freeze Drying System)

  • 변명희;최미정;이성;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6-184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zing rate on aroma retention an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aroma retention during freeze drying process. Ou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self-manufactured freeze-dryer. Gelatin gels (2% w / w, 80${\times}$20mm) containing diacetyl(2mg/ml) were frozen unidirectionally (Neumann's model) from the bottom at -45, -30, -20, and -15$^{\circ}C$ and followed with freeze-drying. Under the upper conditions we measured freezing rate and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during freeze drying. Freeze-dried gelatins were cut horizontally into 5 mm thickness from the bottom measured and diacetly contents. Besides, we observed the effect of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diacetyl contents freeze-dried gelatin during storage. The retained diacetyl content was increased at high freezing temperature and in order of 0∼5, 5∼10, 10∼15, 15∼20 mm s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ample. It was observed that the retained diacetyl content was high in 15∼20 mm section. The retained diacetyl content and freeze-dried gelatin stored in the condition of high relative humid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in the low relative humidity case, was it decreased in small amount.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 resents that the low temperature freezing and low humidity storing condition is effective for preserving aroma compound in food.

  • PDF

한국전통간장의 맛과 향에 관여하는 주요 향미인자의 분석(III) -향기성분 분석 -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ye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I) - Aroma Compound Analysis -)

  • 박현경;손경희;박옥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2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aroma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Volatile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olvent extraction, TMS esterification of methyl acetate extracts and SDE, and analyzed by GC/MSD. 140 voltile aroma compounds were detected by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s were acids and phenols and identified aldehydes, hydrocarbons, ketones, furans, furanone, alcohols, esters, nitrogen compounds, sulfur compounds and thiazoles, too. In the analytical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arom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soy sauce sample in all test item. To sum up, Sweet odor was high in Kyupjang. Nutty odor and traditional soy sauce odor were similarly high in Kyupjang and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Kyupjang had high score in overall odor preference than Chungiang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of soy sauce odor characteristics and gas chromatography pattern demonstrated that offensive and sour odor was affected by octadecanoic acid. Contributive compounds to sweet odor were 1,2-benzenedicarboxylic acid and 3,6-dioxa-2,7-disilacotane. Benzoic acid 4-methyl ethyl ester and nonacotane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of nutty odor. Contribu live variables of traditional soy sauce odor were benzoic acid 4-methyl ethyl ester and 9,12-octadecadienoic acid. The main factors of odor preference were 3-methyl pentanoic acid, acetic acid, 2,6-dimethyl heptadecane and 3,6-dioxa-2,7-disilacotane.

  • PDF

역삼투압 시스템으로 처리한 포도주의 향기성분 변화 (The Changes of Aroma in Wine Treated with Reverse Osmosis System)

  • 이승룡;이규회;장규섭;이석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날로 그 생산 및 소비량이 중대 되어가는 추세에 있는 포도주의 품질향상을 이루고자 역삼투 처리기술을 이에 적용하여 시도하였는데, 포도주의 제조공정에서 필요로하는 보당과정 없이 역삼투 처리에 의해 포도 착즙액중의 순수(純水)를 제거함으로써 자체 당도를 농인 상태에서 포도주를 제조하여 일반적인 제법으로 제조한 포도주와의 비교 분석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GC-O(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와C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그리고, 훈련된 검사자들을 통한 관능검사의 실시로 그 차이점을 구명하였는데, 관능검사 결과 RO 28 시료가 General D사(社)의 제품에 비해 전체적인 선호도면에서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GC-O및 GC-MS를 이용한 분석결과 RO 28시료가 General 및 D사(社) 제품에 비하여 훨씬 긍정적인 향기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긍정적인 향기성분으로 사료되어지는 ethanol, ethyl acetate 등의 chemical compound를 동정해 낼 수 있었다.

  • PDF

보리의 로스팅법에 따른 보리차의 향 특성 (Effects of barley roasting methods on the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 정우영;김수정;김병구;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64-473
    • /
    • 2018
  • 보리의 로스팅법이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세 종류의 로스팅법(에어, 드럼과 혼합)으로 로스팅하였다. 로스팅한 보리로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법을 이용하여 보리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및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에서는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에어 로스팅과 혼합 로스팅 순으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의 경우에도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로스팅법에서 퓨란류와 피라진류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는 페놀류의 함량이,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는 피롤류의 함량이 높았다.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로 과이어콜, 2-아세틸피라진, 푸르푸릴알코올, 2-메톡시-4-바이페놀, 감마-뷰티로락톤, 푸르푸랄 및 3-에틸-2,5-다이메틸피라진 등이 동정되었다. 보리의 로스팅법은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에 영향을 주었으며 생보리와 자숙보리 모두 드럼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가 가장 강했고, 혼합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는 약하였다. 특히, 에어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는 과이어콜과 2-메톡시-4-바이닐페놀 같은 페놀류 향 활성 화합물의 향 강도가 높았다. 에어 로스팅법은 로스팅 시간(약 5분)이 드럼 로스팅(35-55분) 보다 짧아 시간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다른 로스팅법에 비해 탄 향을 나타내는 페놀류의 함량이 높아서 보리차의 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드럼 로스팅법은 캐러멜향 및 고소한 향 특성을 갖는 퓨란류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보리차의 향미 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보리보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하면 향의 강도가 더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