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components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초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농축 (Concentration of Citrus Essence Aroma Model Solution by Pervaporation)

  • 이용택;박중원;신동호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본 연구는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 미량의 감귤 향 성분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하여 막 종류와 구조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의 막을 선정하여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 유속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resistance-in series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통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투과 실험에서 지지층이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이고 활성층이 polyoctylmethyl siloxane (POMS)인 막이 가장 높은 향 성분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유속을 변화시키며 투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는 증가하고 농축계수 값은 감소하였으며 순환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 모두 증가하였다.

전통(傳統) 약주(藥酒)의 향기성분(香氣成分) 비교(比較) (Comparison of the Aroma Components in the Korean Traditional Yakjus.)

  • 정지흔;정순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64-271
    • /
    • 1987
  • 전통약주(傳統藥酒)인 백하주(白霞酒), 녹파주(綠波酒), 동동주(酒), 청명주(淸明酒)를 양조(讓造)하여 휘발성(揮發性) 향기성분(香氣成分)을 head space gas로 포집(捕集)하여 분석(分析)하였다. 향기성분(香氣成分)으로 formaldehyde, acetone, diacetyl, acetaldehyde, ethyl acetate, ethanol, propanol, iso-butanol, iso-amyl alcohol, dimethylsulfide가 분리(分離) 정량(定量)되었으며 acetaldehyde, ethyl acetate, n-propanol은 각주품(各酒品)에 따라 $17.84{\sim}73.74ppm$으로 acetaldehyde는 동동주(酒)가 62.04ppm, ethylacetate는 녹파주(綠波酒)가 41.26ppm, n-propanol은 녹파주(綠波酒)가 73.74ppm으로 가장 많았으며 iso-butanol과 iso-amyl alcohol은 청명주(淸明酒)가 각각(各各) 194.21ppm, 925.04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백하주(白霞酒)는 72.12ppm 및 418.14ppm으로 가장 낮았다. Formaldehyde와 acetone은 $0{\sim}2.15ppm$으로 백하주(白霞酒)에서는 acetone이 정량(定量)되지 않았다. Dimethyl sulfide의 함량(含量)은 주품(酒品)에 따라 $5{\sim}65ppb$로써 동동주가 65ppb로 가장 많았으며 diacetyl은 $0.032{\sim}1.012ppm$으로 주품(酒品)에 따라 차(差)가 컸다.

  • PDF

능이버섯의 건조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during Drying Period)

  • 민용규;정옥진;박지은;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80-786
    • /
    • 2002
  • 능이버섯의 건조특성에 미치는 외부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3수준$(30^{\circ}C,\;50^{\circ}C,\;70^{\circ}C)$과 풍속 3수준(0.5 m/sec, 1.0 m/sec, 1.5 m/sec)에서 능이버섯의 건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의 향기성분과 건조과정 중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능이버섯의 건조는 상당기간이 감률건조기간으로 나타났으며, 건조속도는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으나, 풍속은 건조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건조온도 $50^{\circ}C$, 풍속 1.5 m/sec의 건조조건에서 1-octen-3-ol, 3-octanone, 1-octanol, 3-octanol등의 peak area가 각각 17976, 11570, 1016, 1077로 다른 건조온도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건조시간에 따른 능이버섯의 주요 향기성분 함량 변화를 보면 1-octen-3-ol을 비롯한 1-octanol, 2-octen-1-ol, 3-octanol 등의 $C_8$ 화합물 peak area가 크게 감소하였고, C8 화합물 중 1-octen-3-one, 3-octane등의 상대적 함량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과정 중 butyric acid, propanoic acid, 3-methyl thiopropanol 등과 같은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cent, Colored, and Common Rice Cultivars in Korea

  • Kim, Chang-Yung;Lee, Jong-Chul;Kim, Young-Hoi;Pyon, Jong-Yeong;Lee, Sun-Gy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1-185
    • /
    • 1999
  •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rice, Hyangnambyeo (aromatic cultivar), Heugjinjubyeo (pigmented cultivar) and Dongjinbyeo (normal cultiva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rown rice were isolated by Likens-Nickerson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The flavor concentrates obtaine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 total of 65 components, including 14 aliphatic aldehydes and ketones, 7 aliphatic alcohols, 8 aromatic alcohols, 13 hydrocarbons, 9 esters, 7 aliphatic acids, and 7 miscellaneous components were identified. The aliphatic aldehydes, which are known as contributors to the overall flavor of cooked rice, were present in larger amounts in Hyangnambyeo than in Heugjinjubyeo and Dongjinbyeo, while the difference in quantity of these components between Heugjinjubyeo and Dongjinbyeo was not remarkable. Hyangnambyeo and Heugjinjubeyo contained 562 ng and 259 ng of 2-acetyl-1-pyrroline per gram of brown rice based on dry weight, respectively, which is a key compound contributing to the popcorn-like aroma in aromatic rice. Dongjinbeyo contained about 6 ng.

  • PDF

잎담배중 유리 및 Glycoside형태로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 Components in Tobacco Leaves(Nicotiana tabacum L.))

  • 김영회;나도영;김옥찬;서철원;김용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6
    • /
    • 1992
  •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s from three green tobacco leaves(NC 82, KF 109 and Br-21) were separated by nonionic resin Amberlite XAD-2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election by selective solvents. Aglycones from the glycosidically bound fractions were rel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with almond B-glucosidase. A total of 20 components identified from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fractions, the major components were benzaldehyde, benz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3-oxo- -ionol, 3-hydroxy-B-ionone, 3-oxo-7, 8-dihydro-n-ionol and scopoletin. Six Cl.B norisoprenoids identified in this study, which have been described to possess a characteristic tobacco aroma-enhancing effect, were not presented in free forms but rather bound glycosidic forms.

  • PDF

향끽미종 연초의 수확시기가 건조엽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ARVEST TIME ON CHARACTERISTICS OF AROMATIC-TYPE TOBACCO)

  • 류명현;김용옥;정형진;김신일;손현주;추홍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7
    • /
    • 1985
  • Normally cultured aromatic tobaccos, KA 101 and KA 103, were primed progressively in three-leaf segments, either 7 days before bud, bud, or early flower stage with 7 days interval, respectively, The cured leaves were weighed for yield, graded, analyzed for quality-related constituents including volatile aroma components. Also the cured leaves were manufactured and smoked by panelists. Yield and quality by price decreased with advancing ripeness. Reducing sugar, total nitrogen, protein nitrogen decreased with successive ripeness, but reverse in this trends with nicotine, petroleum ether extracts and volatile acids components. Among volatile neutral components, furfural, furfuryl alcohol, benzyl alcohol, penethyl alcohol and p-cresol decreased, but solanone increased with delayed harvest. Neophytadiene, oxysolanone, furfuryl aceton was highest at mid harvest, which was judged to be best by panelists. Mid harvest, first primed at bud stage when leaf color comes to pale green to yellow green, seems to be highly recommendable.

  • PDF

Profiling of Volatile Component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in Commercial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 Powder

  • Kim, Joo-Shin;Chung, Hau-Y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45-54
    • /
    • 2011
  •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 powder were extracted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a solvent extraction (SDE) apparatus,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230 compounds divided into 13 group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alcohols (42), ketones (39), aldehydes (32), terpenes (30), alkenes (17), esters (14), furans (14), benzenes (10), alkanes (8), napthalenes (7), acids (6), miscellaneous compounds (6), and phenols (5). Among the 230 compounds identified, 96 compounds were positively confirmed and quantified, and the rest of the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identified at relatively high levels were do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hexanal, benzaldehyde, (Z)-3-hexen-1-ol, 1-penten-3-one, limonene, and $\beta$-caryophyllene oxide. Among the groups, terpenes accounted for 60.18% of the total concentration of all the volatile components. Some volatile components might account for the unique aroma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sample.

남해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from Three Different Areas of Namhae)

  • 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81-90
    • /
    • 2010
  • 남해 유자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남해군 설천, 창선 및 이동 지역에서 재배된 개량종 유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자의 총 중량은 120.51~176.56 g으로 창선 유자가 유의적으로 무거웠으며, 총 중량에 대한 과피의 비율도 가장 높았다. 과피의 표면색은 지역간에 차이가 작았다. 과육의 수분 함량은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당도는 창선 및 이동 유자가 설천 유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이동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 함량이 창선 유자에서 다소 높았으며,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는 과피에서, sucrose는 과육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향기성분 중 dl-limonene의 함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동 유자는 57.60%, 설천 및 창선 유자는 각각 71.02%, 73.04%를 차지하였다. 이와같이 남해 지역에서 재배된 유자간에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는 토양, 수확시기, 재배 조건 등의 영향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Analysis and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Rice Wine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and Regular Commercial Rice Wine

  • Choi, Sung-Hee;Jang, Eun-Young;Choi, Byung-Tae;Im, Sung-Im;Jeong, Young-Kee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2권1호
    • /
    • pp.32-36
    • /
    • 2008
  • This study identified and compared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wo commercial rice wines: one fermented using the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and a regular commercial rice wine.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the infusions by Porapak Q (50-80 mesh) column adsorption. The concentrated aroma extracts were then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Thirty-four kinds of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mycelium-fermented rice wine, including 11 alcohols, 8 esters, 3 ketones, 6 acids, 3 hydrocarbones, and 4 others. In the regular commercial rice wine, 36 kindss of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9 alcohols, 6 esters, 4 ketones, 6 acids, 9 hydrocarbones, and 2 others. Therefore, the data indicate that the primary flavor components in the rice wines were alcohols and esters.

  • PDF

감귤과피분말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한 돈육 소시지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s with Added Citrus Peel and Dried Lentinus edodes Powders)

  • 김정현;최주락;김민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23-1630
    • /
    • 2011
  • 감귤과피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를 대조군으로, 감귤과피분말 0.5%(C1), 1.0%(C2), 2.0%(C3), 건표고버섯 0.5%(L1), 1.0%(L2), 2.0%(L3) 그리고 감귤과피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0.5%(CL1), 1.0%(CL2), 2.0%(CL3)를 첨가하여 소시지의 품질 및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와 색도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을 이용한 조직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시지 관능특성 중 8개의 특성들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제1주성분(PC1)과 제2주성분(PC2)의 변동은 58.96%와 23.08%로 총 변동의 82.04%가 설명되었다. 관능적 특성에 따른 제1주성분은 향미 특성인 짠맛, 신맛, 감귤향과 부서짐성, 돼지고기향, 단맛 그리고 부패취 3부분으로 관찰되었다. 제2주성분은 향미와 부패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PCA)결과 소시지 제조 시 0.5~1% 건 표고버섯 첨가는 단맛과 돼지고기향과 관련되어 있으며, 감귤과 피분말 첨가는 신맛과 짠맛을 만드는 주요한 성분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 강도 간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PLSR) 수행 결과, 제1주성분(T1)과 제2주성분(T2)이 각각 총 변동의 46.98%와 14.75%를 설명하여 총 변동의 61.73%를 설명되었으며 관능적 특성인 감귤향과 신맛, 짠맛, 색상이 양의 방향으로 높게 부하되어 있고, 감귤과피 분말 2.0%(C3) 및 감귤과피 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2.0%(CL3) 또한 T1에 대하여 양의 방향으로 부하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