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iope bruennich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Individual physical variables involved in the stabilimentum decoration in the wasp spider, Argiope bruennichi

  • Kim, Kil 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57-162
    • /
    • 2015
  • The physical factors of Argiope bruennichi (Araneae, Araneidae) that influence the stabilimentum decoration on the web, a conspicuous white silk structure reflecting much more ultraviolet light than other spider silks in the web, have been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individual variables involved in decorating the webs with stabilimenta by A. bruennichi were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female A. bruennichi affected the behaviors of the stabilimentum decoration on the web. Among the 82 female spiders building their webs, the 49 female spiders adding upper and lower stabilimenta on their web weighed less, and had a narrower cephalothorax and shorter abdomen than the 33 female spiders that did not use stabilimentum. The heavier females decorated their webs with stabilimentum of greater width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bilimentum area and the female spider's cephalothorax width, and between the stabilimentum area and female spider's abdomen length.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spiders allocate their resources in stabilimentum decoration as a functional response to the spider's physical conditions, and also supports the "prey-attraction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the use of stabilimentum increases the foraging success by attracting more prey to the web.

먹이 종 감각 정보 제공에 따른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의 웹 건축 전략 (Web-Building Strategy of a Wasp Spider, Argiope bruennichi, under Sensory Information Emitted by a Prey Species)

  • 진우영;신현철;김길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09-1015
    • /
    • 2011
  • 거미의 건축물인 웹의 구조는 먹이 포획을 위한 자원의 투자이자 그 자체가 포식 전략이다. 잠재적인 먹이종으로부터 제공되는 감각정보를 바탕으로 포식 전략을 수정하는 개체는 그렇지 못한 개체에 비해 더 높은 적응도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는 공중에 둥근 웹을 건축하는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를 대상으로 자외선을 인식하는 비행성 곤충인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의 정보를 경험한 개체가 자신의 건축 행동을 수정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양뒤영벌(B. terrestris)의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의 개체가 건축한 웹의 구조를 대조군(정보 없음)의 웹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실험군 개체들은 웹과 흰띠줄 건축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이라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당초의 가설을 기각했다. 웹과 흰띠줄 건축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개체는 꽃꿀채집자의 정보에도 불구하고 흰띠줄을 더 길게 만들지도 웹을 확장하지도 않았다.

미소서식지 특성에 따른 긴호랑거미 (Argiope bruennichi)의 웹 구조 분석 (Web Structure of the Wasp Spider, Argiope bruennichi, Depending on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 김길원;김덕래;진우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9
    • /
    • 2010
  • 거미의 건축행동은 유전적 요인의 제한을 받지만 서식지의 다양한 환경 요인을 반영하는 먹이 사냥을 위한 투자 행동이며, 능동적인 의사결정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를 대상으로 나대지 ('dry field')와 논습지('wet field')에 서식하는 개체가 건축한 웹의 물리적 구조를 정량적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습도 46.4%인 나대지(인천시 천마산)에서 35개체, 습도 73.9%의 논습지(충남 태안군)에서 13개체의 웹 구조가 분석되었다.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고 초본이 우거진 나대지 환경에 건축하는 개체의 경우 논습지 환경과 비교해 더 많은 거미실을 투자해($32.5{\pm}12.8$ vs. $16.9{\pm}5.4$ 개의 나선실 사용), 더 넓은 웹을 건축하였다($976{\pm}643cm^2$ vs. $532{\pm}254cm^2$). 또한 나대지에 서식하는 개체가 논습지 개체에 비해 더 높은 웹을 건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1.4{\pm}39.6cm$ vs. $49.6{\pm}31.2cm$). 흰띠줄 건축행동을 측정한 결과 나대지의 개체가 상대적으로 큰 흰띠줄을 건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8{\pm}3.4cm$ vs. $3.9{\pm}3.2cm$). 웹의 기울기를 측정한 수직경사와 동서경사의 경우 나대지와 논습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성체 암컷 긴호랑거미가 환경 요인에 따라 건축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감각 정보 제공에 따른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의 웹 건축 전략 (Web building strategy of a wasp spider, Argiope bruennichi, under sensory stimuli emitted by a cricket, Teleogryllus emma)

  • 진우영;김길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9-148
    • /
    • 2011
  • 거미의 웹 건축 행동은 먹이 사냥을 위한 투자 행동이며, 적극적인 포식 전략의 반영이다. 성공적인 포식전략 수립을 위해서 개체는 먹이 동물로부터 오는 감각 정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대표적 논거미인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의 건축 행동이 피식자인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에 의해 제공되는 감각 정보를 바탕으로 수정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웹의 물리적 구조가 수정되는 양상을 보기 위해 감각 자극 전과 후에 건축된 웹의 구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먹이가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웹 건축 행동을 보인 개체의 수는 대조군(자극 없음)과 실험군(자극 공급)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나타난 증감 양상이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 않았다. 왕귀뚜라미에 의한 자극 공급 1일째에 해당하는 날에 실험군 웹 건축 행동은 전일 대비 3.7% 감소한대 반해 대조군은 11.8% 감소하는 차이를 나타냈다. 흰띠줄 건축 행동 역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조군에서 흰띠줄을 건축한 개체수가 자극 1일에 14.7% 감소한데 비해, 실험군에서는 7.4%로 두 배 가량 감소 경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디자인에 의한 연구 결과는 개체가 감각 정보에 따라 웹의 높이와 넓이를 수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